창원 제조기업 75.5% "미국 관세정책에 직·간접 영향받아"
창원상의 조사 "대응책은 미흡…통상당국·기업 간 정보공유 채널 필요"
김선경
입력 : 2025.04.01 11:40:17
입력 : 2025.04.01 11:40:17

[연합뉴스 자료사진]
(창원=연합뉴스) 김선경 기자 = 경남 창원지역 제조기업의 75.5%가 미국 관세정책으로 인해 직·간접적인 영향을 받는다고 인식하고 있지만 대응책 마련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창원상공회의소는 1일 창원 제조기업 131개사를 대상으로 '미 관세정책에 따른 지역기업 영향 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발표했다.
미 관세정책에 따라 '간접적인 영향'을 받는다고 응답한 기업은 51.1%, '직접 영향권'에 있다고 응답한 곳은 22.9%이었다.
1.5%는 '반사이익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했다.
관세 영향권으로는 '미국 수출기업에 부품·원자재 납품'(30.3%), '미국에 부품·원자재 수출'(18.2%), '미국에 완제품 직접 수출'(16.2%), '중국에 부품·원자재 수출'(11.1%) 등을 들었다.
트럼프 관세정책 중 창원지역 기업이 가장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하는 정책은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자동차·반도체·의약품에 25% 관세 부과'(38.9%)였다.
이어 '미국으로 수입되는 철강·알루미늄 제품에 대해 25% 추가 관세 부과'(31%),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10% 추가 관세 부과 및 최소 면세 혜택 박탈'(20.6%) 등으로 나타났다.
창원지역 기업들은 관세정책이 현실화할 경우 '고객사 및 유통망과의 계약조건 악화'(29.1%), '부품·원자재 조달망 조정'(25.5%), '생산기지 이전 등 추가 비용 부담'(14.9%), '간접 영향으로 기업 매출 감소'(14.9%) 순서로 우려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그러나 창원 제조기업들은 향후 트럼프 관세정책에 대한 대응책 마련이 미흡한 것으로 조사됐다.
전체 기업의 43.4%는 '아직 동향 모니터링 중'이라고 답변했다.
29.3%는 '원가절감 등 자체 대응책 모색 중', 21.2%는 '대응계획 없음', 6.1%는 '현지생산, 시장 다각화 등 근본적인 관세 회피 대응책 모색 중'이라고 응답했다.
창원상의 관계자는 "창원지역 기업의 대부분이 직·간접적으로 미국의 관세정책 영향권 내에 있어 현실적 경영 위험이 우려되는 상황"이라며 "외교 및 통상당국과 기업 간 긴밀한 정보공유 채널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ksk@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한화솔루션, 부동산 담을 리츠 설립 검토
-
2
영업이익 56% 줄어든 삼성, 2분기 바닥 찍었나…하반기 반등 가능성 무게
-
3
검찰, 520억원대 회삿돈 유용 메디콕스 경영진 구속기소
-
4
유럽 '끝 안보이는' 여름…아크로폴리스 폐쇄, 폴란드선 강 말라(종합)
-
5
폭염에 전남서 하루 만에 가축 2만마리 폐사
-
6
李대통령 당부에…금융위, 소상공인 '금융애로' 첫 현장 청취
-
7
한화오션, 미 해군 함정 정비사업 3번째 수주했다
-
8
아세안 외교장관들, 트럼프 상호관세 통보에 "우려" 표명할 듯
-
9
1년간 성실히 빚 갚으면 '개인회생 낙인' 지워준다
-
10
“전세사기 피해자 더는 못 버텨”...비장의 무기 ‘배드뱅크’ 들고나온 정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