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 제조기업 75.5% "미국 관세정책에 직·간접 영향받아"

창원상의 조사 "대응책은 미흡…통상당국·기업 간 정보공유 채널 필요"
김선경

입력 : 2025.04.01 11:40:17


창원상공회의소
[연합뉴스 자료사진]

(창원=연합뉴스) 김선경 기자 = 경남 창원지역 제조기업의 75.5%가 미국 관세정책으로 인해 직·간접적인 영향을 받는다고 인식하고 있지만 대응책 마련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창원상공회의소는 1일 창원 제조기업 131개사를 대상으로 '미 관세정책에 따른 지역기업 영향 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발표했다.

미 관세정책에 따라 '간접적인 영향'을 받는다고 응답한 기업은 51.1%, '직접 영향권'에 있다고 응답한 곳은 22.9%이었다.

1.5%는 '반사이익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했다.

관세 영향권으로는 '미국 수출기업에 부품·원자재 납품'(30.3%), '미국에 부품·원자재 수출'(18.2%), '미국에 완제품 직접 수출'(16.2%), '중국에 부품·원자재 수출'(11.1%) 등을 들었다.

트럼프 관세정책 중 창원지역 기업이 가장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하는 정책은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자동차·반도체·의약품에 25% 관세 부과'(38.9%)였다.

이어 '미국으로 수입되는 철강·알루미늄 제품에 대해 25% 추가 관세 부과'(31%),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10% 추가 관세 부과 및 최소 면세 혜택 박탈'(20.6%) 등으로 나타났다.

창원지역 기업들은 관세정책이 현실화할 경우 '고객사 및 유통망과의 계약조건 악화'(29.1%), '부품·원자재 조달망 조정'(25.5%), '생산기지 이전 등 추가 비용 부담'(14.9%), '간접 영향으로 기업 매출 감소'(14.9%) 순서로 우려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그러나 창원 제조기업들은 향후 트럼프 관세정책에 대한 대응책 마련이 미흡한 것으로 조사됐다.

전체 기업의 43.4%는 '아직 동향 모니터링 중'이라고 답변했다.

29.3%는 '원가절감 등 자체 대응책 모색 중', 21.2%는 '대응계획 없음', 6.1%는 '현지생산, 시장 다각화 등 근본적인 관세 회피 대응책 모색 중'이라고 응답했다.

창원상의 관계자는 "창원지역 기업의 대부분이 직·간접적으로 미국의 관세정책 영향권 내에 있어 현실적 경영 위험이 우려되는 상황"이라며 "외교 및 통상당국과 기업 간 긴밀한 정보공유 채널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ksk@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7.08 20:26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