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K·홈플러스, 신용하락 알고도 채권 발행 가능성"
문재용 기자(moon.jaeyong@mk.co.kr)
입력 : 2025.04.01 17:55:52 I 수정 : 2025.04.01 20:39:00
입력 : 2025.04.01 17:55:52 I 수정 : 2025.04.01 20:39:00
금감원 '홈플러스 사태' 브리핑
신영증권 등 4개 증권사
사기혐의로 홈플러스 고소
홈플러스 사태에 대한 조사·검사를 진행 중인 금융감독원이 MBK파트너스·홈플러스 측이 신용등급 하락 이전부터 회생신청을 준비하고 있던 정황을 발견했다.
홈플러스 채권을 발행하고 판매한 신영증권 등 4개 증권사는 홈플러스를 사기 혐의로 고소했다.
함용일 금감원 자본시장·회계 부원장은 1일 브리핑을 통해 "신용평가 하방 위험을 인지한 시점이 언제인가, 또 회생신청을 언제부터 기획하고 신청했는지 등이 쟁점"이라며 "그동안 MBK파트너스가 말했던 것과 다른 정황·증거들이 발견되고 있다"고 했다. 그는 "신용등급 하락 결과가 발표된 날짜 이전에 (등급 하락을) 인지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덧붙였다.
홈플러스는 신용등급 하락 가능성을 인지하고 회생신청 계획까지 세워둔 상태에서 채권을 발행한 것 아니냐는 의혹을 받고 있다.
지난 2월 21일까지도 기업어음(CP)과 전자단기사채를 70억원 규모로 발행했기 때문이다. MBK파트너스·홈플러스 측은 2월 28일 신용등급 하락이 결정된 후에야 회생신청 계획을 세우기 시작했다고 밝힌 바 있다.
함 부원장은 "동양, LIG와 같은 사례처럼 사기적 부정거래를 성립시킬 수 있을지 보고 있다"며 "해당된다면 형사처벌 사안이고, MBK파트너스는 금감원의 검사 대상이니 행정 제재도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금감원은 이와 함께 MBK파트너스에 대한 회계심사 과정에서 기준 위반 계약이 발견돼 감리로 전환한 상태다. 함 부원장은 또 "홈플러스는 매입채무 유동화증권을 상거래 채권으로 분류하고 즉시 전액 변제할 것처럼 발표했으나 실제로는 회생계획안에 반영하겠다는 취지였다"며 "시장과 투자자들을 혼란스럽게 만들었다"고 지적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유상증자 심사에 대해서는 "다양한 자금 조달 수단 가운데 유상증자를 택한 이유, 최근 그룹의 지분 구조 개편 등과 유상증자의 연계성을 충분히 기재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신영증권, 하나증권, 현대차증권, 유진투자증권 등 4개사는 이날 홈플러스와 홈플러스 경영진을 상대로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위반(사기) 등 혐의로 고소장을 제출했다.
강민국 국민의힘 의원실에 따르면 지난달 3일 기준 홈플러스의 CP·자산유동화 전자단기사채(ABSTB) 등 단기채권 판매 잔액 5949억원 중 증권사 등을 통해 개인 투자자에게 팔린 규모는 2075억원으로 파악된다.
[문재용 기자]
신영증권 등 4개 증권사
사기혐의로 홈플러스 고소
홈플러스 사태에 대한 조사·검사를 진행 중인 금융감독원이 MBK파트너스·홈플러스 측이 신용등급 하락 이전부터 회생신청을 준비하고 있던 정황을 발견했다.
홈플러스 채권을 발행하고 판매한 신영증권 등 4개 증권사는 홈플러스를 사기 혐의로 고소했다.
함용일 금감원 자본시장·회계 부원장은 1일 브리핑을 통해 "신용평가 하방 위험을 인지한 시점이 언제인가, 또 회생신청을 언제부터 기획하고 신청했는지 등이 쟁점"이라며 "그동안 MBK파트너스가 말했던 것과 다른 정황·증거들이 발견되고 있다"고 했다. 그는 "신용등급 하락 결과가 발표된 날짜 이전에 (등급 하락을) 인지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덧붙였다.
홈플러스는 신용등급 하락 가능성을 인지하고 회생신청 계획까지 세워둔 상태에서 채권을 발행한 것 아니냐는 의혹을 받고 있다.
지난 2월 21일까지도 기업어음(CP)과 전자단기사채를 70억원 규모로 발행했기 때문이다. MBK파트너스·홈플러스 측은 2월 28일 신용등급 하락이 결정된 후에야 회생신청 계획을 세우기 시작했다고 밝힌 바 있다.
함 부원장은 "동양, LIG와 같은 사례처럼 사기적 부정거래를 성립시킬 수 있을지 보고 있다"며 "해당된다면 형사처벌 사안이고, MBK파트너스는 금감원의 검사 대상이니 행정 제재도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금감원은 이와 함께 MBK파트너스에 대한 회계심사 과정에서 기준 위반 계약이 발견돼 감리로 전환한 상태다. 함 부원장은 또 "홈플러스는 매입채무 유동화증권을 상거래 채권으로 분류하고 즉시 전액 변제할 것처럼 발표했으나 실제로는 회생계획안에 반영하겠다는 취지였다"며 "시장과 투자자들을 혼란스럽게 만들었다"고 지적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유상증자 심사에 대해서는 "다양한 자금 조달 수단 가운데 유상증자를 택한 이유, 최근 그룹의 지분 구조 개편 등과 유상증자의 연계성을 충분히 기재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신영증권, 하나증권, 현대차증권, 유진투자증권 등 4개사는 이날 홈플러스와 홈플러스 경영진을 상대로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위반(사기) 등 혐의로 고소장을 제출했다.
강민국 국민의힘 의원실에 따르면 지난달 3일 기준 홈플러스의 CP·자산유동화 전자단기사채(ABSTB) 등 단기채권 판매 잔액 5949억원 중 증권사 등을 통해 개인 투자자에게 팔린 규모는 2075억원으로 파악된다.
[문재용 기자]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