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사보고 앞둔 코스닥기업 상폐경고 등 잇단 자진신고
강민우 기자(binu@mk.co.kr)
입력 : 2023.03.21 17:44:27
입력 : 2023.03.21 17:44:27
올들어 18곳 리스크 관련 공시
"이상징후 감지돼도 주가 급등
단기차익 노린 투자 주의를"
감사보고서 제출 시한이 도래하면서 관리종목·상장폐지 경고음이 울리고 있다. 재무건전성에 빨간불이 켜진 코스닥 기업들의 '자진 신고'가 줄을 잇고 있어서다.
21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올해 들어 '내부 결산 시점 관리종목 지정·형식적 상장폐지·상장적격성 실질심사 사유 발생' 공시를 낸 코스닥 상장사는 18곳으로 집계됐다. 외부 감사인의 감사보고서가 제출되기 전에 기업이 스스로 관리종목 지정 또는 상장폐지 사유가 발생했다고 시장에 알리는 것이다. 이후 감사보고서에서 결과가 바뀌지 않으면 기업은 관리종목으로 지정되거나 상장폐지 대상이 된다.
거래소는 연속 손실과 자본잠식 등 정해진 기준에 미달하는 코스닥 상장사를 걸러내 투자자를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 같은 제도를 두고 있다.
기업들이 스스로 공시를 내기 전부터 이상 징후가 감지되는 사례도 여럿이다.
코스닥 상장사 에프앤리퍼블릭은 지난달 24일 제3자 배정 유상증자에 따라 최대주주가 변경됐다고 공시했다. 회사가 정상화될 것이란 기대감에 공시 당일 주가는 상한가를 기록했다. 하지만 이달 2일 에프앤리퍼블릭은 실적 악화로 관리종목에 지정될 수 있다며 공시를 냈다.
관리종목 지정 우려에도 주가가 재차 급등하는 경우도 관찰된다. 코스닥 상장사인 코다코는 지난 16일 재무 악화에 따라 관리종목으로 지정될 수 있다고 공시했다. 공시 이튿날 코다코 주가는 10.5% 급락했다. 하지만 다음 거래일인 20일에는 오히려 주가가 7% 반등했다. 회사의 재무 상태가 나아지면 높은 수익률을 올릴 수 있다는 판단에 일부 투자자들이 위험을 감수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전문가들은 급등락 종목에 단기 차익을 노리고 들어갔다 큰 손실을 볼 수 있는 만큼 주의가 요구된다고 지적한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관리종목 지정 우려 등 악재성 공시가 발표됐는데도 거래량이 치솟고 주가가 급등하는 사례가 있다"며 "면밀하게 정보를 파악한 후 투자에 나서지 않으면 손실을 떠안거나 최악의 경우 회사가 상장폐지될 수 있다"고 말했다.
[강민우 기자]
"이상징후 감지돼도 주가 급등
단기차익 노린 투자 주의를"
감사보고서 제출 시한이 도래하면서 관리종목·상장폐지 경고음이 울리고 있다. 재무건전성에 빨간불이 켜진 코스닥 기업들의 '자진 신고'가 줄을 잇고 있어서다.
21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올해 들어 '내부 결산 시점 관리종목 지정·형식적 상장폐지·상장적격성 실질심사 사유 발생' 공시를 낸 코스닥 상장사는 18곳으로 집계됐다. 외부 감사인의 감사보고서가 제출되기 전에 기업이 스스로 관리종목 지정 또는 상장폐지 사유가 발생했다고 시장에 알리는 것이다. 이후 감사보고서에서 결과가 바뀌지 않으면 기업은 관리종목으로 지정되거나 상장폐지 대상이 된다.
거래소는 연속 손실과 자본잠식 등 정해진 기준에 미달하는 코스닥 상장사를 걸러내 투자자를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 같은 제도를 두고 있다.
기업들이 스스로 공시를 내기 전부터 이상 징후가 감지되는 사례도 여럿이다.
코스닥 상장사 에프앤리퍼블릭은 지난달 24일 제3자 배정 유상증자에 따라 최대주주가 변경됐다고 공시했다. 회사가 정상화될 것이란 기대감에 공시 당일 주가는 상한가를 기록했다. 하지만 이달 2일 에프앤리퍼블릭은 실적 악화로 관리종목에 지정될 수 있다며 공시를 냈다.
관리종목 지정 우려에도 주가가 재차 급등하는 경우도 관찰된다. 코스닥 상장사인 코다코는 지난 16일 재무 악화에 따라 관리종목으로 지정될 수 있다고 공시했다. 공시 이튿날 코다코 주가는 10.5% 급락했다. 하지만 다음 거래일인 20일에는 오히려 주가가 7% 반등했다. 회사의 재무 상태가 나아지면 높은 수익률을 올릴 수 있다는 판단에 일부 투자자들이 위험을 감수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전문가들은 급등락 종목에 단기 차익을 노리고 들어갔다 큰 손실을 볼 수 있는 만큼 주의가 요구된다고 지적한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관리종목 지정 우려 등 악재성 공시가 발표됐는데도 거래량이 치솟고 주가가 급등하는 사례가 있다"며 "면밀하게 정보를 파악한 후 투자에 나서지 않으면 손실을 떠안거나 최악의 경우 회사가 상장폐지될 수 있다"고 말했다.
[강민우 기자]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트럼프가 용납할까”...계엄에 묶였던 ‘이 법’ 패스트트랙 검토한다는데
-
2
창원 농수특산물 통합브랜드 '창에그린' 유통망 확대한다
-
3
수돗물 혜택 못보는 광주 자연마을 11곳 한파에 지하수도 얼어
-
4
연금계좌 혜택 축소 논란? 한화운용 ‘PLUS 고배당주’는 ‘과세 무풍지대’
-
5
제22서경호 실종자 7명 중 1명 의식 불명 상태로 발견
-
6
IT 방산 스타트업 안두릴 기업가치 40조로 치솟아
-
7
“딥시크 쇼크라더니, 여긴 일주일 수익률 15% 대박”...날개 단 이 펀드
-
8
정선군, 동강 물줄기 위 속섬에 청보리·홍메밀 밭 조성
-
9
‘비리 은행’ 이번엔 꼬리자르기 논란...뒤늦게 부행장 과거 행적 물어 경질
-
10
"LG 그램 프로 신제품 팝업스토어에서 체험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