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시장조사기관 "車관세로 韓승용차 생산 2년간 31.5만대 감소"
글로벌 생산량은 총 172.2만대 줄듯…"북미가 가장 큰 타격"
김보경
입력 : 2025.04.24 06:00:07
입력 : 2025.04.24 06:00:07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김보경 기자 = 최근 미국의 25% 자동차 관세 부과로 한국의 승용차 생산량이 올해와 내년 총 31만5천대가 줄어들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또 미국 내 자동차 생산을 늘리기 위해 고안된 관세가 오히려 현지 생산을 줄일 수 있는 것으로 전망됐다.
24일 시장조사기관 S&P 글로벌 모빌리티가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이번 달부터 부과한 자동차 관세와 상호 관세 영향을 고려해 글로벌 자동차 생산량을 예측한 결과에 따르면 올해 승용차 생산량은 총 94만4천대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러한 관세 역풍은 내년에도 이어져 내년 글로벌 승용차 생산량은 총 77만8천대 줄어들 것으로 예상됐다.
S&P 글로벌 모빌리티는 한국의 경우 관세와 정치적 불안정이 동시에 작용하면서 승용차 생산량이 올해와 내년 각각 11만2천대, 20만3천대 줄어들 것으로 내다봤다.
2년간 총 31만5천대가 감소한다는 것이다.
일본은 감소 폭이 더 컸는데 올해와 내년 연간 30만대, 총 60만대의 승용차 생산량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됐다.

[연합뉴스TV 제공]
S&P 글로벌 모빌리티는 미국의 자동차 관세는 미국을 제외하고 유럽과 중국 승용차 생산에 가장 큰 악영향을 끼칠 것으로 봤다.
유럽의 승용차 생산 예상 감소량은 올해 1만2천대에 불과했지만, 내년에는 25만1천대로 급증할 것으로 전망됐다.
내후년인 2027년에도 26만6천대가 줄어들 것이라고 이 기관은 전했다.
미국과 관세로 큰 갈등을 빚고 있는 중국도 올해 19만8천대, 내년 50만3천대 승용차 생산량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다만 S&P 글로벌 모빌리티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주도하고 있는 자동차 관세가 내년까지 유지되다 2027년 15%(캐나다·멕시코는 12%)로 낮아질 것으로 전망했다.
또 미국 내 자동차 생산을 오히려 줄일 수 있다고 봤다.
이 기관의 전망에 따르면 북미의 승용차 생산 감소량은 2025년 94만4천대, 2026년 77만8천대에 이른다.
이는 관세와 수요 감소에 따른 것으로 코로나19 이후 가장 가파른 감소다.
다만 관세로 현지 생산을 늘리고 있는 BMW, 혼다 등의 영향으로 2027년 생산량은 1천547만대로 보합세를 유지할 것으로 예측됐다.
S&P 글로벌 모빌리티는 "최소 향후 2년 동안 관세가 전 세계 승용차 생산을 크게 위협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북미가 가장 큰 타격을 입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EPA=연합뉴스]
vivid@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연합뉴스 이 시각 헤드라인] - 10:30
-
2
오픈AI, 코딩 업체 윈드서프 인수 무산…구글이 CEO 등 영입
-
3
닛산, 美공장서 혼다 차 생산 협의…양사 다시 협력 검토
-
4
“전남편 동의 없이 임신”...냉동 배아 둘러싼 논란 소환한 이시영 [이번주인공]
-
5
평택시, 올 하반기 '청년층 인턴사업' 참여자 모집
-
6
'부산 리조트 화재 사고' 뇌물 혐의 두고 시행사 내분
-
7
태백시, 특화형 100세 시대 어르신 일자리공모 선정
-
8
[게임위드인] "게임을 죽이지 마라"…EU 130만명 서명한 이유는
-
9
고양산업진흥원 지원 기업, 기상청 혁신제품 지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