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비 탓에, 일자리 없어서'…작년 비자발적 특고 18만7천명
여성·50대·고졸 비중 높아…비자발적 비정규직 근로자도 37%
곽민서
입력 : 2023.01.05 06:07:01
입력 : 2023.01.05 06:07:01
![](https://stock.mk.co.kr/photos/20230105/PYH2022112815470001300_P4.jpg)
[연합뉴스 자료사진]
(세종=연합뉴스) 곽민서 기자 = 지난해 일자리가 없거나 생활비가 필요해서 어쩔 수 없이 특수형태근로종사자(특고)가 된 사람이 19만명에 달했다.
5일 연합뉴스의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터 분석에 따르면 지난해 8월 조사 기준 특고는 56만1천명으로 집계됐다.
이들 가운데 33.4%인 18만7천명은 비자발적인 사유로 특수형태근로에 종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당장 수입이 필요한 경우나 원하는 일자리가 없어서 부득이하게 지금의 일자리를 선택한 경우 등이다.
사유별로 보면 당장 생활비가 필요해서 특고가 된 사람이 12만4천명으로 가장 많았다.
2만1천명은 원하는 분야의 일자리가 없어서, 5천명은 전공이나 경력에 맞는 일자리가 없어서 특고 일자리를 선택했다.
육아·가사 등을 병행하기 위해 어쩔 수 없이 특고가 된 사람도 8천명 있었다.
성별로는 여성이 10만5천명으로 전체 비자발적 특고 가운데 절반(56.2%)을 웃돌았다.
비자발적 특고로 일한 남성은 8만2천명(43.8%)으로 집계됐다.
연령대별로는 50대에서 비자발적 특고가 5만7천명으로 가장 많았고, 이외 60대 이상(4만5천명), 40대(4만5천명) 등의 순이었다.
20대(1만5천명)와 30대(2만6천명) 중에도 비자발적으로 특고가 된 근로자가 4만명 넘게 있었다.
교육 정도별로는 고졸자가 9만8천명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4년제 대학 졸업자가 4만2천명으로 뒤를 이었다.
이외 2∼3년제 대학 졸업자(2만1천명), 초졸 이하(1만1천명), 중졸자(1만명) 등의 순이었다.
특고는 개인적으로 모집·판매·배달·운송 등의 업무를 통해 상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고, 그 일을 한 만큼 소득을 얻는 근로자다.
일명 '라이더'라 불리는 배달 기사 등 퀵서비스 기사, 대리운전 기사, 캐디, 간병인, 가사도우미, 수하물 운반원, 중고차 판매원 등이 특고에 포함된다.
지난해 기간제 근로자와 비기간제 근로자를 합한 비정규직 근로자는 815만6천명이었다.
이들 가운데 37.2%는 비자발적 사유로 비정규직 일자리를 얻었는데, 이는 비자발적 정규직 근로자(9.7%)의 4배에 가까운 수치다.
[표] 비자발적 특고 취업 동기(단위: 백명)
취업 동기 | 비자발적인 사유 | |
합계 | 합계 | 1872 |
예 | 합계 | 1872 |
근로조건(근로시간, 임금등)에 만족하여 | - | |
안정적인 일자리이기 때문에 | - | |
생활비 등 당장 수입이 필요해서 | 1241 | |
원하는 분야의 일자리가 없어서 | 212 | |
전공이나 경력에 맞는 일거리가 없어서 | 53 | |
경력을 쌓아 다음 직장으로 이동하기 위하여 | 20 | |
육아· 가사 등을 병행하기 위하여 | 81 | |
노력한 만큼 수입을 얻을 수 있어서 | 226 | |
근무시간을 신축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서 | 40 | |
기타 | - |
![](https://stock.mk.co.kr/photos/20230105/GYH2023010500030004400_P2.jpg)
(서울=연합뉴스) 원형민 기자 = circlemin@yna.co.kr 페이스북 tuney.kr/LeYN1 트위터 @yonhap_graphics
mskwak@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식품·외식업계, 가격 인상 잇따라…'안 오른 게 없다'
-
2
전세대출 더 조인다…소득 낮고 기존대출 많으면 한도축소
-
3
커지는 딥시크 '개인정보 빨대' 논란…'PC내 설치' 대안 부상
-
4
제22서경호 구조자 7명 중 3명 사망…선장 포함 한국 선원들
-
5
韓기업 '딥시크 우려' 대응 제각각…중국발 해킹 가능성도 ↑
-
6
정부·공공기관·기업 전방위 주의령에 딥시크 앱 사용 급감
-
7
中, 내일부터 대미 보복관세…퇴로 안보이는 미중 무역전쟁
-
8
광주시,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2천700억원 지원
-
9
'악성 미분양' 쌓이는 지방…'시름' 커지는 지역 경제
-
10
“20대는 대체투자·주식, 30대는 해외주식, 40대는 국내주식 선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