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금만 쓰라는 법 있나요”...5억6천만명이 보유하고 있다, 일상된 ‘코인’ 결제
권오균 기자(592kwon@mk.co.kr)
입력 : 2025.05.01 19:40:00
입력 : 2025.05.01 19:40:00

스테이블코인이 단순한 가지 저장 수단으로 넘어 실생활에 다양하게 스며들고 있다. 해외에선 빵을 사고, 전자제품을 구입하고, 그랩(동남아 1위 택시플랫폼) 택시를 타고, 호텔을 예약하는데 이르기까지 다방면에서 스테이블코인으로 결제가 이뤄지고 있다.
스테이블코인이 실생활에 깊이 파고 들며 전세계적으로 거스를 수 없는 대세가 되어 가고 있는 것이다.
특히 유럽은 작년 도입한 가상화폐 시장법(MiCA)을 통해 스테이블코인 발행사의 준비금 관리 기준을 마련하며 유로화 기반 결제 생태계 구축에 나선 효과를 톡톡히 보고 있다.
식음료 구매 같은 일상생활에서의 소소한 소비에 스테이블 코인 결제 방식이 보편화되어 가고 있는 점이 특징이다.
가상화폐 결제 플랫폼 우빗(Oobit)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유럽 내 가상화폐 결제의 70%가 소매, 음식 및 음료 구매에 사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빗 애플리케이션 사용자의 평균 결제 금액은 8.36달러, 평균 입금액은 85달러로 집계돼 소액 결제에서의 활용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독일의 베이커리 체인 브로트마이스터(Brotmeister)는 스테이블코인 결제 도입 후 온라인 주문이 20% 증가하는 등 일상 결제 영역에서의 활용이 가시화되고 있다.
베이커리 측은 “젊은 고객층의 유입이 두드러졌으며, 스테이블 코인 결제 도입이 브랜드 이미지 제고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밝혔다.
프랑스 전역에 20여개의 체인을 둔 프렝땅백화점도 지난해 11월 가상화폐 결제를 도입했다.
여행 분야에서도 스테이블 코인의 활용이 증가하고 있다. 숙박, 여행, 항공 등 관광 분야에서도 우빗 앱의 26%가 사용된다. 카펠라 호텔 그룹은 카펠라 싱가포르와 파티나 몰디브에서 작년 가상화폐를 결제 수단으로 채택했다.
스테이블 코인의 결제가 늘어나는 이유는 자명하다. 편리함과 경제성에 눈을 뜬 사용자가 늘고 있어서다. 카펠라 호텔 그룹은 “전 세계적으로 5억 6000만명 이상의 사람들이 디지털 화폐를 보유하고 있다”며 “DPT(Digital Payment Token·디지털 결제 토큰) 도입은 새로운 여행자층을 끌어들이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싱가포르에서는 소니 전자제품을 스테이블 코인으로 직접 결제해 살 수 있다. 소니 싱가포르법인은 올해 4월 크립토닷컴(Crypto.com)과 협력해 USDC와 USDT 결제 서비스를 도입했다. 메트로 백화점도 4개 스테이블코인 결제 시스템을 운영 중이다.
글로벌 기업들이 스테이블코인을 결제 수단으로 채택하면서 실제 거래량도 증가세로 나타났다.
온체인 분석 플랫폼 아르테미스와 듄이 공동으로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스테이블코인 활성 지갑 수가 1년 만에 50% 이상 증가했다. 보고서는 2024년 2월부터 올 2월까지 활성 주소가 1960만개에서 3000만개로 늘어 전년 대비 53% 증가했다고 밝혔다.
스테이블코인 시장은 최근 18개월 연속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2025년 3월 기준 전체 스테이블코인 시가총액은 2310억 달러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보고서는 기관 투자자들의 채택 증가 외에도 결제와 탈중앙화 금융(DeFi)에서의 스테이블코인 사용량이 늘어난 것을 스테이블코인 활성 주소 증가 이유로 꼽았다.
기업들의 스테이블코인 채택도 계속해서 늘어날 전망이다. 언스트영(EY) 코인베이스가 올해 전세계 344개 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바에 따르면 디파이 금융을 활용하는 기업은 현재 24%에서 향후 2년 내 75%로 3배 증가할 것이라고 응답했다.
하지만 결제수단으로 영향력을 확대하는 해외 상황과 달리 한국에서 스테이블 코인은 주로 해외 가상자산 거래소로 이체와 달러 자산 보유 목적에 한정돼 있다.
해시드오픈리서치가 지난달 펴낸 보고서에서 따르면 스테이블코인 투자자 중 전체 응답자의 60.7%는 해외 가상자산 거래소 등에서 투자 목적으로 스테이블코인을 보유하고 있었다. 이어 ▲달러 자산 확보(37.7%) ▲차익을 노린 재정거래(29.7%) ▲예치 이자 수익(24.3%) ▲비즈니스 목적 송금(15.3%) ▲개인 간 송금(13.7%) 등의 보유 목적이 뒤를 이었다.
업계 전문가들은 스테이블 코인의 영향력 확대를 거스를 수 없는 대세로 받아들이고 있다. 크립토닷컴의 한국총괄 패트릭 윤은 “2024년 스테이블 코인 시장이 27조 달러 규모로 비자와 마스터 거래량을 합친 것보다 더 크다”며 “디지털과 전통금융의 경계가 흐려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딜로이트는 최근 보고서에서 향후 5년 내에 스테이블코인 결제 시장 규모가 1조 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하며, 스테이블코인이 미래 결제 시스템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전망했다.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美재계, 행정부에 "美서 못 만드는 제품은 관세 면제해달라"
-
2
관세 쇼크에 4월 대미수출 폭삭…평택항 텅 비었다
-
3
중기부, 4조8천억원 규모 추경 확정…수출 대응·소상공인 지원
-
4
'매년 12월 29일은 항공 안전의 날' 법안 본회의 통과
-
5
[1보] 최상목 경제부총리, 사의 표명
-
6
[2보] 최상목 경제부총리, 탄핵안 상정 직후 사의 표명
-
7
1.6조 더 커진 추경…민생·건설경기 보강에 집중 투입
-
8
[속보] 한덕수 대행, 최상목 부총리 사표 수리
-
9
수산물 할인 500억원 추가지원…'서해 구조물' 예산 반영 안 돼
-
10
농식품부, 2천129억원 규모 추경…공공배달앱·농산물 할인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