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수출기업들 "美관세로 수출 4.9%·영업익 6.3% 감소할 듯"
한경협 설문조사…응답 기업 81% "한미 기업 모두에 부정적"
홍규빈
입력 : 2025.05.26 06:00:04 I 수정 : 2025.05.26 08:51:27
입력 : 2025.05.26 06:00:04 I 수정 : 2025.05.26 08:51:27

(부산=연합뉴스) 강선배 기자 = 관세 등 통상 환경의 급격한 변화로 수출하는 기업들의 불확실성과 함께 금융 부담이 커지고 있다.사진은 30일 부산항 신선대부두에 컨테이너가 가득 쌓여 있는 모습.2025.4.30 sbkang@yna.co.kr
(서울=연합뉴스) 홍규빈 기자 = 국내 수출기업들이 올해 미국 관세로 인한 실적 악화를 우려한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26일 나왔다.
한국경제인협회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매출액 1천대 기업 중 수출 기업을 조사한 결과, 응답 기업 150개 사는 미국의 관세 정책이 지속하면 올해 수출액이 작년보다 4.9% 감소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각 사의 전망치를 산술 평균 낸 값이다.
업종별 감소율은 전기·전자(8.3%↓), 자동차·부품(7.9%↓), 석유화학·석유제품(7.2%↓), 일반기계(6.4%↓), 반도체(3.6%↓), 철강(2.8%↓)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선박과 의료·바이오헬스는 미국 관세정책에도 불구하고 수출액이 각각 10.0%, 1.6%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미국의 관세정책 지속 시 국내 수출 기업들의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6.6%, 6.3% 줄어들 것으로 관측됐다.
응답 기업 81.3%는 '미국의 관세정책이 양국 기업 모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예상했고, 14.7%는 '한국기업에 부정적이고 미국기업엔 긍정적'이라고 답했다.


[한국경제인협회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미국의 관세정책에 따른 경영 애로로는 '잦은 정책 변경에 따른 불확실성 증가'(24.9%), '글로벌 경기 악화'(24.0%), '미국 수출 감소'(18.8%), '환율변동 리스크 증가'(17.5%), '중국 덤핑 수출에 따른 피해'(10.5%) 등이 꼽혔다.
실무적인 애로는 미국 수입업체와 단가 조정 협상(53.4%)이 과반을 차지했고 미국 통관 절차 정보(21.3%), 원산지 판정 기준 정보(13.3%) 순으로 나타났다.
기업의 대응 방안은 수출시장 다변화(26.9%), 글로벌 생산 구조 재조정(19.8%), 환율 리스크 관리 강화(16.5%), 동종업계 공동 대응체계 구축(15.1%), 원자재 리스크 관리 강화(12.3%), 투자 연기·축소(7.6%) 순이었다.
미국 관세정책에 따른 글로벌 불확실성 지속 기간을 묻자 6개월∼1년(42.7%)이 가장 많이 나왔고 1∼2년(18.0%), 6개월 이내(16.0%), 3∼4년(12.0%), 2∼3년(11.3%) 순으로 꼽혔다.

(평택=연합뉴스) 홍기원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자동차 고율관세의 충격을 줄인다고 로이터 통신이 28일(현지시간) 보도했다.보도에 따르면 미국 당국자들은 이 같은 조치가 미국 내에서 제조되는 자동차에 들어가는 외국산 부품에 대한 일부 관세를 완화하고 외국산 자동차에 여러 관세가 중첩되지 않도록 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고 밝혔다.사진은 29일 경기도 평택항에 수출용 자동차가 세워져 있는 모습.2025.4.29 xanadu@yna.co.kr
정부의 대응 방안으로는 협상을 통한 관세율 최소화(44.6%), 수출시장 다변화 지원(13.6%), 면세 품목 최대화(13.1%), 경쟁국과 동일한 관세율 적용(9.4%) 등이 제시됐다.
정부가 원활한 관세 협상을 위해 추진해야 할 대책으로는 비관세 장벽 해소 노력(45.3%), 금리 인하(23.4%), 조선산업 협력 방안 제시(12.5%), 미국제품 수입 확대(8.9%) 등이 꼽혔다.
한편 기업들은 올해 연평균 원/달러 환율을 1,433.2원으로 전망했다.
환율 리스크 대응과 관련해선 수출입 단가 조정(22.3%), 수출시장 다변화(20.8%), 기업경쟁력 강화(19.8%), 수입처 다변화(17.3%), 환헤지 전략 확대(10.1%) 등이 나왔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미중 간의 한시적 관세 인하 합의에도 불구하고 관세정책 불확실성은 상존한다"며 "정부는 미국의 관세정책 변화 양상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비관세장벽을 해소하는 한편, 국내기업들의 피해가 최소화될 수 있는 협상전략을 강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bingo@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비트코인 2025] 삭스 “美 정부 비트코인 추가 매입 검토…부채 안 늘리면 가능”
-
2
로빈후드 창업자 “토큰화 증권은 美 ‘자본 패권’ 키우는 수단”
-
3
특징주, MDS테크-스마트카 테마 상승세에 20.53% ↑
-
4
나우IB(293580) 상승폭 확대 +11.37%
-
5
오전장 특징주★(코스피)
-
6
오전장 특징주★(코스닥)
-
7
인기검색 20종목
-
8
동아쏘시오홀딩스(000640) 소폭 상승세 +4.54%, 외국계 매수 유입
-
9
동국제강(460860) 소폭 상승세 +5.16%, 외국계 매수 유입
-
10
코오롱인더(120110) 소폭 상승세 +3.02%, 3거래일 연속 상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