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성숙 중기부장관 후보자 “네이버 주식매각은 공직자 결심 때 이미 고민 마친 사안”
이유진 기자(youzhen@mk.co.kr)
입력 : 2025.07.04 14:24:17 I 수정 : 2025.07.04 14:36:32
입력 : 2025.07.04 14:24:17 I 수정 : 2025.07.04 14:36:32
4일 여의도 출근길 매일경제 인터뷰
네이버 주식매각 등 공직 결심 전 결단
기업인 출신 공직 진출 막히지 않게
공직자 잣대로 엄격하게 처신할 것
제조와 AI, 중소와 중견기업 연결해
양쪽 모두에 도움되는 정책 구상
제3의 벤처붐 위한 보상체계도 고민
네이버 주식매각 등 공직 결심 전 결단
기업인 출신 공직 진출 막히지 않게
공직자 잣대로 엄격하게 처신할 것
제조와 AI, 중소와 중견기업 연결해
양쪽 모두에 도움되는 정책 구상
제3의 벤처붐 위한 보상체계도 고민

한 후보자는 “(후보자 수락 전) 제가 포기해야 할 부분에 대해 고민했지만, 제 경험과 능력을 필요로 하는 자리가 있다면 써보는 게 좋겠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한 후보자는 4일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기술진흥원 앞에서 기자와 만나 최근 화제가 된 네이버 주식 등 처리에 대해 “네이버 대표 시절 책임경영 차원에서 정기적으로 매입했던 부분이며, 네이버 내부 규정 상 스톡옵션은 월초 특정 날짜에만 행사할 수 있게 되어 있어 규정에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 후보자는 이날 2019년에 받은 2만주와 2020년에 받은 4만주 등 네이버 스톡옵션 6만주를 행사하겠다는 신청서를 네이버에 제출했다. 행사 가격을 기준으로 약 100억6000만원 규모이며, 이 주식은 10일 주식으로 입고된다. 한 후보자는 장관으로 임명되면 이 주식을 전량 매각한다는 방침이다. 행사 가격과 제세공과금 등을 제외하면 한 후보자는 주식 매각 후 약 40억원 안팎의 시세차익을 거둘 것으로 예상된다.
한 후보자는 보유 중인 네이버 주식 8934주도 전량 매각하기로 했다. 이는 전날 종가 기준 약 22억6000만원 상당 금액이다.
공직자윤리법에 따르면 고위공직자 본인과 이해관계자가 보유한 주식의 총가액이 3000만원을 초과하면 2개월 이내 주식을 매각하거나 백지신탁을 해야 한다. 공무수행과정에서 이해충돌 가능성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서다.
한 후보자는 인사청문회를 앞두고 제기된 여러 의혹에 대해서는 “기업인으로서의 윤리의 범위와 공직자가 지켜야 하는 윤리의 범위가 다르다는 것을 이번 과정에서 알게 됐다”며 “공직자가 되면 좀 더 엄격하게 관리하고, 고쳐야 할 부분을 찾겠다”고 말했다.
그는 “저 때문에 기업에서 공직에 오시는 길이 막히지 않았으면 하는 바람이 있다”고 덧붙였다. 한 후보자는 지난 2016년 남동생에게 2억4500만원을 차용증 없이 빌려준 것이 사실상 증여가 아니냐는 지적을 받고 있다.
한 후보자는 후보자 지명 이후 매일 여의도로 출근해 부서별 업무보고를 받고 있다. 한 후보는 이날 오전 벤처기업협회와 간담회를 마치고 업계 의견을 청취하고 돌아오는 길이었다.
그는 “창업분위기가 가라앉은 최근 업계 분위기와 스케일업이 어려워 미국으로 가거나 엑싯하는 상황에 놓이게 되는 기업 현실에 대한 부분 등을 다각도로 들었다”고 말했다. 그는 또 “새 정부가 얘기한 ‘제3의 벤처붐’이 정말 필요한 시기”라며 “창업자들처럼 보상받고 싶다는 욕구가 큰 젊은 인재들이 유입될 수 있게 제도적인 정비를 해달라는 의견 등을 청취했다”고 전했다.
한 후보자는 본인이 구상하는 중소·벤처기업 관련 정책의 방향성을 ‘연결’로 요약했다. 그는 “인터넷 사업하면서 제일 많이 썼던 단어가 ‘연결’이었다”며 “제조와 AI의 연결, 중소와 중견기업의 연결을 통해 효과가 나타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제조기업에 AI를 도입하는 부분에 대해서도 구체적인 청사진을 밝혔다. 한 후보자는 “자질 좋은 창업자들이 AI기술을 공급하는 공급기업들을 만들고, 이를 통해 보상을 받는다면 제조업에서도 (AI도입이 활성화돼)혜택을 받을 부분이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복잡하게 나눠진 지원 정책을 ‘생존이 어려운 곳’과 ‘성장 기미가 보이는 곳’으로 나눠 투 트랙으로 고민하겠다는 계획도 내놨다. 그는 “지금 당장 추경을 집행해 도와드려야 하는 소상공인, 혁신벤처, 중소기업이 있고, 또 K뷰티나 AI등 꿈틀거리는 산업분야가 있다”며 “두 가지 트랙으로 나눠 고민해야 한다고 본다”고 말했다.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은행 대출 보다 훨씬 낫죠”…기업들, 올 상반기 역대급으로 ‘이것’ 찍었다
-
2
'150분 타운홀미팅' 시민과 눈 맞춘 李대통령…봇물 터진 민원
-
3
"TSMC, 日 제2공장 연기…트럼프 관세 압박에 대미 투자 확대"
-
4
中, EU 브랜디에 최고 34.9% 반덤핑 관세…EU "부당"(종합)
-
5
'임협 난항' HD현대중 노조, 파업 가결…재적 대비 64% 찬성
-
6
경찰, '정산 지연' 명품 플랫폼 발란 압수수색…자료 확보
-
7
'액션게임 거장' 코지마 히데오 "기존에 없던 영상미 추구했다"
-
8
"TSMC, 日 제2공장 연기…트럼프 관세압박에 대미 투자 확대"(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