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버, 전기차업체 루시드와 6년 로보택시 계약…3억달러 투자
김태종
입력 : 2025.07.18 08:35:26
입력 : 2025.07.18 08:35:26

[로이터 연합뉴스 자료사진.재판매 및 DB 금지]
(샌프란시스코=연합뉴스) 김태종 특파원 = 차량공유업체 우버는 향후 6년간 2만 대 이상의 로보택시 도입을 위한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17일(현지시간) 밝혔다.
이번 파트너십에는 전기차 제조사 루시드와 자율주행 스타트업 뉴로(Nuro)가 참여하며, 계약에 따라 우버는 루시드에 3억 달러를 투자한다.
뉴로는 자율주행 기술을 개발해 루시드 차량에 적용하고, 이를 통해 루시드는 우버에 로보택시를 공급하게 된다.
뉴로도 수억 달러 규모의 투자를 받는다.
우버와 루시드는 내년부터 미국 주요 도시에서 로보택시를 출시할 계획이다.
다라 코스로샤히 우버 최고경영자(CEO)는 성명에서 "우버 플랫폼에 맞춰 특별히 설계된 이번 로보택시 프로그램을 통해 뉴로 및 루시드와 파트너십을 맺게 돼 매우 기쁘다"며 "자율주행 기술의 마법을 전 세계 더 많은 사람에게 안전하게 전달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루시드의 임시 CEO 마크 빈터호프는 미 경제 매체 CNBC 방송과 인터뷰에서 "루시드가 아직 진출하지 않은 완전히 새로운 시장에 도전할 기회"라고 언급했다.
뉴로는 구글과 일본 소프트뱅크 비전 펀드의 투자를 받은 자율주행 기술 스타트업으로, 레벨4 수준의 자율주행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는 일반적인 도로와 날씨 조건에서 운전자 없이 주행이 가능한 수준으로, 현재 로보택시 기술에서 가장 앞서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웨이모도 레벨4 자율주행차로 분류된다.
루시드는 1회 충전 시 450마일(약 724km)의 주행이 가능한 자체 개발 '그래비티(Gravity)'를 포함해 향후 개발하는 차량을 제공할 예정이다.
우버는 작년 9월에는 구글 웨이모와 파트너십을 체결하는 등 로보택시 서비스를 확대하고 있다.
우버가 차량공유 서비스를 통해 축적한 고객의 앱 플랫폼을, 웨이모가 이를 활용해 로보택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형태다.
우버는 과거 한때 자율주행차 기술 개발을 시도해 자율주행 트럭 스타트업인 오토(Otto)도 인수했으나, 법적 문제가 제기되면서 2020년 자율주행차 사업부를 매각한 바 있다.
taejong75@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