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이 머물자 마을이 살아났다…상의, 경주서 지역재생 간담회
청년고도 프로젝트·행복황촌 등 사례 공유 및 확산 방안 모색
조성흠
입력 : 2025.07.18 15:00:00
입력 : 2025.07.18 15:00:00

대한상공회의소 건물 전경.[대한상공회의소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경주=연합뉴스) 조성흠 기자 = 대한상공회의소 신기업가정신협의회(ERT)는 18일 지방소멸 위기 해결책을 모색하고자 경주시 황촌마을에서 지역재생 간담회를 열었다.
이번 행사는 지난 16일부터 경주에서 열리는 대한상의 하계포럼을 계기로 청년과 지역주민, 기업이 함께 만들어가는 지역재생 현장을 살펴보는 동시에 경주에서 추진 중인 다양한 관련 사업을 공유하고 확산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 주낙영 경주시장을 비롯해 경주지역 기업인, 청년 창업가, 마을기업 관계자 등 50여명이 참석했다.
간담회에서는 청년 창업지원 프로그램 '청년고도 프로젝트'와 마을 재생의 대표적인 사례인 '행복황촌'이 소개됐다.
'청년고도 프로젝트'는 청년이 지역에 정착하며 창업할 수 있도록 돕는 정주형 창업 플랫폼으로, 경주시와 한국수력원자력의 후원 아래 4년째 진행 중이다.
경주 시내 폐건물을 리모델링해 만든 점포와 문화공간 등이 자리한 '신골든창업지구'를 중심으로 입주 기업이 점차 늘고 있으며, 지역 자산을 활용한 공예소품, 전통주 등이 입소문을 타며 관광객의 방문도 증가하는 추세다.
이곳에 입주한 한 청년 창업가는 "청년창업지원 프로그램 덕분에 초기 사업의 불안과 리스크를 줄이고 보다 안정적으로 창업할 수 있었다"며 "창업자들이 하나둘 들어서며 적막하던 거리가 활기를 되찾기 시작했고 앞으로의 변화가 더욱 기대된다"고 말했다.
'행복황촌'은 대표적인 마을 주도형 지역재생 사례로 꼽힌다.
철도 관사촌이었던 황오동 황촌마을은 2020년부터 '일상이 여행이 되는 마을'이라는 슬로건으로 주민들이 직접 기획하고 운영하는 마을호텔, 공유주방, 공예공방 등이 들어서며 새로운 모습으로 탈바꿈했다.
주낙영 경주시장은 "경주는 유서 깊은 역사 도시인 동시에, 청년과 마을이 함께 새로운 변화를 만들어가고 있는 도시"라며 "청년고도, 행복황촌처럼 현장에서 축적된 경험이 대한민국 지역재생의 좋은 모델이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대한상의는 2022년 민간 주도 협의체 ERT를 구성하고, 1천800여개 기업이 참여한 가운데 복지 사각지대 해소, 청년 돌봄, 지역재생, 기후위기 대응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회적 실천 중심의 기업 연대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josh@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