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개미들까지 빠져나가니 금값 이제 금값 아니네

김제림 기자(jaelim@mk.co.kr)

입력 : 2025.07.18 17:14:31 I 수정 : 2025.07.18 21:25:56
중국정부가 개인 금 매수 제동걸자 금 가격 지지부진
비트코인, 은, 백금 등 대안으로 부상
온스당 3000달러까지 조정올수도


골드바 사진<연합뉴스>
글로벌 증시가 회복되는 과정에서 안전자산인 금에 대한 선호도가 약해지고 있다. 여기에 중국 개인 매수세까지 줄어들자 금값은 지난 5월부터 계속 박스권에 갖힌 상태다. 반면 비트코인이나 은과 같은 다른 자산 가격은 상승 추세를 보이고 있다.

17일(현지시간) 국제 금값은 온스당 3345.3달러로 지난달 13일 고점에 비해 3% 떨어진 상황이다.

올해 상반기 중국 개인들은 금 현물 상장지수펀드(ETF)를 통해 63t에 달하는 금을 매입했는데 이는 중국 인민은행 매입량의 30배에 달하는 규모다.

최진영 대신증권 연구원은 “개인들 자금이 금으로만 유입되자 중국 정부는 5월부터 시중은행들을 통한 신용카드 현금서비스와 신용대출을 통한 금 매입을 단속하기 시작했다”며 금 가격 상승세에 제동이 걸린 배경을 설명했다.

유동성 증가 사이클 국면에서 비트코인이 부상한 것도 금에 대한 인플레이션 헤지 수요를 약화시켰다. 거기다 은이나 백금과 같은 산업재 수요에도 대응할 수 있는 귀금속까지 대안으로 부상하면서 금 가격을 누르고 있다.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가 올라가는 국면에는 은이나 백금이 금보다 더 상승하는 패턴이 나타난다.

최 연구원은 “각국 중앙은행의 정책금리 인하로 향후 18개월간 제조업 수요가 살아나고 유동성 장세가 나타날 수 있다”면서 “안전자산에 대한 선호가 위축되는 상황이라 금 가격은 온스당 3000달러까지 조정이 나올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그동안 크게 늘어난 국내 금 ETF 수요도 최근엔 잠잠해진 상황이다. 올 들어 ‘ACE KRX금현물’에 5600억원이 유입됐는데 최근 한 달간은 자금 순유입이 거의 없었다.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7.18 21:34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