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상협상' 고비 넘긴 구윤철, '0%대 탈출' 성장정책 시동 건다

한미 관세합의 후속 디테일 과제…'700조대 예산' 확장재정·국가부채 균형
이준서

입력 : 2025.08.04 06:05:00


귀국하는 한국 무역협상 대표단
(서울=연합뉴스) 김도훈 기자 = 미국과의 무역협상을 마친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가운데),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왼쪽),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 등 한국 무역협상 대표단이 1일 인천국제공항 제2여객터미널을 통해 귀국하고 있다.2025.8.1 superdoo82@yna.co.kr

(세종=연합뉴스) 이준서 기자 = '한미 관세협상'이라는 첫 난제를 넘긴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본연의 경제정책 운용에 시동을 건다.

지난달 19일 공식 임기를 시작한 구 부총리는 곧바로 한미 협상을 위한 방미를 계획했다.

그러나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의 긴급한 일정 탓으로 인천공항에서 발길을 돌려야 했고, 지난주에는 나흘간 워싱턴DC에 머물며 전격적인 통상 타결을 끌어냈다.

이렇게 취임 이후로 줄곧 통상협상에 올인했고 이달부터는 국내 경제 현안을 챙길 것으로 보인다.



취재진 질문 경청하는 구윤철 부총리
(서울=연합뉴스) 김도훈 기자 = 미국과의 무역협상을 마친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일 인천국제공항 제2여객터미널을 통해 귀국해 취재진 질문을 경청하고 있다.2025.8.1 superdoo82@yna.co.kr

4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이번 달 '새정부 경제성장전략'과 '내년도 예산안'이 순차적으로 발표될 예정이다.

우선 이달 중순께 '경제성장전략'(가칭)의 타이틀로 경제정책방향이 나온다.

경제성장전략에는 연구개발(R&D)·창업·인력·금융·재정·세제 등 국가의 모든 역량을 총동원하는 방안과 함께, 기업·공공·국민 등 모든 분야의 인공지능(AI) 대전환 방안이 포함된다.

중장기적으로는 '0%대 성장률'의 늪을 벗어날 돌파구 마련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앞서 구 부총리는 인사청문회 등을 통해 향후 성장 전략으로 'AI 대전환'을 제안했는데, 늦지 않게 구체적인 청사진을 내놓지 않겠냐는 게 정부 안팎의 기대다.

이와 관련, 범부처 '성장전략 태스크포스'(TF)도 경제부총리 주도로 가동된다.

종전의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성장' 중심으로 운영하는 개념이 될 것으로 보인다.

[그래픽] IMF 2025년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 변화
(서울=연합뉴스) 김민지 기자 = 국제통화기금(IMF)은 29일(현지시간) 발표한 세계경제전망(WEO) 업데이트에서 한국의 올해 경제성장률을 지난 4월(1.0%)보다 0.2%포인트 낮춘 0.8%로 전망했다.minfo@yna.co.kr 트위터 @yonhap_graphics 페이스북 tuney.kr/LeYN1

무엇보다 이재명 정부의 첫 예산안 편성은 쉽지 않은 과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

내년도 본예산은 역대 처음으로 700조원을 돌파할 것으로 예상된다.

올해 본예산(총지출 673조3천억원) 기준으로 최소 4% 증가율만 적용하더라도 700조원을 웃돌게 된다.

다만, 두 차례 추가경정예산이 편성되면서 이미 총지출이 700조원을 넘어선 게 부담이다.

1차(13조8천억원), 2차(16조2천억원) 추경으로 올해 들어서만 지출이 30조원 불어났다.

본예산 대비로, 총지출을 30조원 늘리더라도 실질적으로는 재정지출이 제자리걸음에 머무는 셈이다.

정부가 세수기반을 확충하는 방향으로 세제개편안을 내놓기는 했지만, 당장의 세수증가를 기대하기는 쉽지 않다는 점에서 적정 수준으로 국가부채를 관리하면서 재정지출을 확대하는 '두마리 토끼잡기'의 과제를 안게 됐다.

이밖에 기재부에서 예산 기능을 분리하는 조직개편 문제, '혁신' 기조의 조직문화 개선 등은 구 부총리가 부처 수장으로서 리더십을 발휘해야 하는 사안들이다.

정부 관계자는 "경제성장전략과 내년도 예산안에서 새정부 경제정책의 구체안이 그려질 것"이라며 "한미 관세협상이 타결됐지만 세부적인 후속 논의도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구 부총리는 오는 6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현안질의에 출석해 한미 관세협상과 관련해 답변할 예정이다.

한미 협상의 디테일은 이달 중으로 추진될 한미정상회담에서 핵심 의제로 다뤄질 수 있다는 점에서 당분간 구 부총리의 최우선 과제로 남을 것으로 보인다.

jun@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8.04 08:36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