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 가격상승에 서민이 더 춥다…소득 하위 20% 연료비 12%↑
다른 분위보다 증가율 높아…공공요금 줄인상에 부담 커질 듯
박원희
입력 : 2023.01.09 06:11:07
입력 : 2023.01.09 06:11:07

서울 시내의 전기계량기 모습 [연합뉴스 자료사진]
(세종=연합뉴스) 박원희 기자 = 지난해 소득 하위 20% 가구의 전기·가스요금 등 연료비 부담이 다른 가구들보다 더 큰 폭으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9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해 1∼3분기 소득 하위 20%인 1분위 가구가 연료비로 지출한 금액은 월평균 6만6천950원으로 2021년 같은 시기(5만9천588원)보다 12.4% 늘었다.
연료비는 조명, 냉난방, 취사 등 일상 가사를 영위하기 위해 지출하는 연료 관련 비용으로 전기료, 도시가스, LPG 연료, 등유, 연탄, 공동주택난방비 등이 포함된다.
같은 기간 소득 상위 20%인 5분위 가구의 연료비는 6.8% 늘었다.
2분위는 3.2%, 3분위는 4.7%, 4분위는 7.4% 각각 증가했다.
모든 분위를 통틀어 1분위의 연료비 지출 증가 폭이 가장 컸다.
전기·가스요금 인상에다가 서민들이 많이 쓰는 등유·액화석유가스(LPG) 등의 가격이 크게 뛰면서 소득이 낮은 가구의 지출이 특히 많이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
조사 기간인 작년 1∼3분기 등유 물가는 1년 전보다 57.9%, 취사용 LPG는 23.0% 각각 급등했다.
두 연료는 도시가스가 공급되지 않은 농어촌이나 주택에서 많이 쓰인다.
이 기간 전기료는 10.9%, 도시가스료는 8.9%, 지역 난방비는 4.9% 각각 올랐다.
전체 가구의 월평균 연료비는 6.7% 늘었다.
[표] 소득 분위별 연료비 지출 (단위: 원, %)
월 소득 5분위별 | 항목 | 2022년* | 2021년* | 증감률 |
전체 평균 | 연료비 | 90,155 | 84,508 | 6.7% |
1분위 | 연료비 | 66,950 | 59,588 | 12.4% |
2분위 | 연료비 | 74,744 | 72,406 | 3.2% |
3분위 | 연료비 | 87,953 | 84,018 | 4.7% |
4분위 | 연료비 | 102,190 | 95,130 | 7.4% |
5분위 | 연료비 | 118,904 | 111,352 | 6.8% |
1분기 전기요금은 9.5% 올라 2차 오일쇼크 시기인 1981년 이후 최고 폭으로 올랐으며, 가스요금도 2분기부터 상당 폭 인상이 예고돼 있다.
서울시는 지하철과 시내버스, 마을버스의 기본요금을 각 300원씩 인상하고 가정용을 비롯한 상수도 요금도 올린다.
대구와 울산은 택시 기본요금을 올리는 등 전국 17개 시도에서 공공요금을 인상하거나 인상 계획을 검토 중이다.
지난해 1∼3분기 소득 1분위 가구에서 주거·수도·광열 지출과 교통비가 가처분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5.3%로 2분위(22.2%), 3분위(17.6%), 4분위(15.1%), 5분위(11.6%) 등 다른 가구들보다 컸다.
주거·수도·광열은 주거 시설 임차비, 상하수도 및 폐기물 처리, 연료비 등 주거 관련 비용을 말한다.
정부는 전기 요금할인과 에너지 바우처 단가 인상, 알뜰교통카드의 혜택 강화 등을 통해 취약계층의 에너지 비용과 교통비 부담을 덜어준다는 계획이다.
encounter24@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유럽 '끝 안보이는' 여름…아크로폴리스 폐쇄, 폴란드선 강 말라(종합)
-
2
검찰, 520억원대 회삿돈 유용 메디콕스 경영진 구속기소
-
3
한화오션, 미 해군 함정 정비사업 3번째 수주했다
-
4
아세안 외교장관들, 트럼프 상호관세 통보에 "우려" 표명할 듯
-
5
1년간 성실히 빚 갚으면 '개인회생 낙인' 지워준다
-
6
“전세사기 피해자 더는 못 버텨”...비장의 무기 ‘배드뱅크’ 들고나온 정부
-
7
소비쿠폰 시스템 짜는 데만 550억?...숨은 행정비용에 예산낭비 논란
-
8
이른 폭염에 최대전력 수요 95.7GW…역대 7월 최고치 또 경신
-
9
'6·27 규제' 피한 오티에르 포레, 1순위 평균 경쟁률 688대 1
-
10
치킨집·주점, 절반이 3년 안에 사라진다…월평균 얼마나 벌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