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SCI 논문 수 세계 12위…점유율 5년만에 반등
KISTEP '2021년 한국의 과학기술논문 발표 및 피인용 현황' 보고서
조승한
입력 : 2023.04.02 08:30:00
입력 : 2023.04.02 08:30:00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보고서 캡처.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조승한 기자 = 한국이 2021년 과학기술인용색인(SCI) 발표 논문 수 순위에서 전 세계 12위를 기록했다.
세계 논문 점유율은 2.4%로 2016년 이후 처음 반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2일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이 최근 발간한 '2021년 한국의 과학기술논문 발표 및 피인용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 한국이 발표한 SCI 논문 수는 8만3천680편으로 전년 대비 8.9% 늘어났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 SCI 논문을 가장 많이 발표한 나라는 중국으로 나타났다.
2020년 처음 1위에 오른 중국의 2021년 점유율은 18.68%로, 2위인 미국(15.17%)과 격차를 더욱 벌렸다.
2021년 총 피인용 횟수는 중국이 138만7천605회로 가장 많았고, 미국이 114만1천763회로 2위로 나타났다.
한국은 16만9천443회로 발표 논문 순위와 같은 12위를 기록했다.
2017년부터 2021년까지 5년간 논문 1편당 피인용 횟수는 세계 평균 7.7회로 나타났다.
싱가포르가 14.9회로 가장 높았고 한국은 8.53회로 33위로 나타났다.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보고서 캡처.재판매 및 DB 금지]
한국이 가장 많은 논문을 발표한 분야는 임상의학(1만5천173편)이었고 이어 공학(1만3천730편), 재료과학(9천686편), 화학(9천480편) 순으로 나타났다.
분야별 논문 수 세계 순위에서는 재료과학이 4위, 공학이 5위로 나타났다.
반면 우주과학은 19위로 가장 낮았다.
보고서는 "한국의 논문 수와 5년 주기별 논문 1편당 평균 피인용 횟수는 지속해 상승 중"이라면서도 "전반적인 수치가 증가하나 상대 순위가 상승하지 않는다는 것은 한국보다 상위권 국가들 역시 관련 수치들이 지속해 상승하거나 격차가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상위 30개 국가의 국내총생산(GDP) 수준과 논문 수가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인다"며 "순위 상승을 위해서는 유사한 GDP 수준 국가들보다 더 높은 논문 생산성을 지녀야 한다"고 제언했다.
shjo@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경제5단체, 차기정부에 AI역량 강화 등 '100대 과제' 공동제안
-
2
중진공, 복권기금사업 4년째 '우수' 등급 받아
-
3
드론전쟁 기만전술 진화…우크라에 '이케아 스타일' 영국 디코이
-
4
조현범, 창립 84주년 맞아 "대내외 위기극복" 강조…직원 포상
-
5
日이시바 "상호관계 시한 다가온다고 불리한 타협은 안돼"(종합)
-
6
스타벅스 "오후 10시까지 영업하는 매장 80%로 확대"
-
7
여신전문사·대부업자도 보이스피싱 예방 위한 '본인확인' 해야
-
8
APEC 노동장관회의 11∼13일 제주서 개최…28년만에 국내서 열려
-
9
중소기업·소상공인 "차기 대통령 '경제성장 견인능력' 갖춰야"
-
10
버리는 굴껍데기로 만든 칼슘, 미국 기업에 120억원 공급 계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