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외인 매수에 2,320대…환율 1,250원 밑돌아(종합)
홍유담
입력 : 2023.01.09 09:22:59
입력 : 2023.01.09 09:22:59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홍유담 기자 = 코스피가 9일 외국인 투자자의 순매수에 장 초반 1% 넘게 상승해 2,320대로 올라섰다.
이날 오전 9시 16분 현재 코스피는 전 거래일보다 32.09포인트(1.40%) 오른 2,322.06을 나타내고 있다.
지수는 전장보다 25.90포인트(1.13%) 오른 2,315.87에 개장해 강세를 유지하고 있다.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13.6원 내린 1,255.0원에 개장해 장 초반 1,250원 밑으로 내려오는 등 원화 강세를 보여 외국인 수급에 우호적인 환경을 조성했다.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이 1천36억원을 순매수해 지수를 끌어올리고 있다.
기관은 23억원을 순매수했고, 개인은 1천45억원을 순매도했다.
지난 6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는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2.13%)와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2.28%),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2.56%)가 일제히 상승했다.
미국의 지난해 12월 비농업 부문 고용은 22만3천명 증가해 시장이 예상한 20만명 증가를 웃돌았고, 12월 실업률은 3.5%로 전달 수정치(3.6%) 대비 하락했다.
시간당 임금은 전월보다 0.3% 올라 전달(0.4% 상승) 보다 둔화했으며 전년 대비로는 4.6% 상승해 전달(4.8% 상승) 대비 낮아졌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긴축을 뒷받침하는 고용은 견조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임금 인플레이션이 둔화했다는 점이 시장의 긴축 불안감을 완화해준 것으로 보인다.
투자자들은 오는 13일 열리는 올해 첫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회의를 주시하고 있다.
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0.25%포인트 인상이 컨센서스(시장 전망치)로 형성된 금통위 결과가 주중 관전 포인트"라며 "금리 동결 등 비둘기파(통화 완화 선호)적인 정책 결정과 전망을 제시할 것이라는 의견도 있지만, 상대적으론 높은 국내 인플레이션 압력 등을 고려하면 가능성은 작다"고 설명했다.
시가총액 상위권에서는 삼성전자[005930](1.69%), LG에너지솔루션[373220](1.24%), SK하이닉스[000660](1.68%), NAVER[035420](네이버)(3.51%), 카카오[035720](2.80%) 등이 강세다.
시총 상위 10위권 내에서는 LG화학[051910](-0.17%)만 하락하고 있다.
업종별로는 서비스업(1.71%), 전기·전자(1.65%), 섬유·의복(1.36%), 제조업(1.24%) 등 전 업종이 상승하고 있다.
같은 시간 코스닥지수는 전장보다 9.82포인트(1.43%) 오른 698.76이다.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6.08포인트(0.88%) 오른 695.02로 시작해 상승세를 지속하고 있다.
코스닥시장에서는 개인과 외국인이 각각 7억원, 53억원을 순매도했다.
기관은 92억원 매수 우위다.
시총 상위 10위권에서는 에코프로비엠[247540](1.27%), 셀트리온헬스케어[091990](0.87%), 엘앤에프[066970](1.68%), 카카오게임즈[293490](3.75%) 등 전 종목이 오르고 있다.
ydhong@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유럽 '끝 안보이는' 여름…아크로폴리스 폐쇄, 폴란드선 강 말라(종합)
-
2
검찰, 520억원대 회삿돈 유용 메디콕스 경영진 구속기소
-
3
소비쿠폰 시스템 짜는 데만 550억?...숨은 행정비용에 예산낭비 논란
-
4
1년간 성실히 빚 갚으면 '개인회생 낙인' 지워준다
-
5
“전세사기 피해자 더는 못 버텨”...비장의 무기 ‘배드뱅크’ 들고나온 정부
-
6
이른 폭염에 최대전력 수요 95.7GW…역대 7월 최고치 또 경신
-
7
'6·27 규제' 피한 오티에르 포레, 1순위 평균 경쟁률 688대 1
-
8
치킨집·주점, 절반이 3년 안에 사라진다…월평균 얼마나 벌길래
-
9
'美관세서한 제외' 인도, 타결 임박?…태국·인니 등은 한숨돌려(종합)
-
10
트럼프 관세서한, 아시아 국가에 집중…"중국 견제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