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성실공시 법인 올해 37% 늘었다
강민우 기자(binu@mk.co.kr)
입력 : 2023.04.05 17:41:48 I 수정 : 2023.04.05 19:09:29
입력 : 2023.04.05 17:41:48 I 수정 : 2023.04.05 19:09:29
자금여건 악화 '시그널'
국내 상장사들이 공시를 번복하거나 취소하는 사례가 올해 들어 증가하고 있다. 불성실공시법인 지정 또는 지정예고는 기업의 경영 환경 악화 신호로 읽힐 수 있어 투자자들도 예의 주시하고 있다. 5일 한국거래소 기업공시채널에 따르면 '불성실공시법인 지정' 또는 '불성실공시법인 지정예고' 공시 건수는 올해 들어 전날까지 70건을 기록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51건)과 비교해 19건(37.2%) 늘었다.
한국거래소는 경영 사항을 제때 알리지 않거나 이미 공시한 내용을 충분한 소명 없이 뒤집는 상장사를 불성실공시법인으로 지정하고 있다. 기업이 공시한 내용이 실제로 이행되지 않을 경우 투자자들의 신뢰에 금이 갈 수 있기 때문이다. 지정예고 단계에서 거래소의 심의를 거친 후 실제 지정 여부가 결정된다. 사유에 따라 벌점이 적용되는데 최악의 경우 관리종목으로 지정되거나 상장 적격성 실질심사 대상이 될 수 있다. 한국거래소 관계자는 "기업에 귀책 사유가 있는지를 면밀히 살핀 후 불성실공시법인 지정예고를 하고 있다"며 "지정예고만으로도 투자심리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사유별로는 이미 공시된 내용을 취소하는 '공시 번복'이 다수를 차지했다. 금융시장 경색으로 자금조달 여건이 악화된 점이 주된 원인으로 꼽힌다.
[강민우 기자]
국내 상장사들이 공시를 번복하거나 취소하는 사례가 올해 들어 증가하고 있다. 불성실공시법인 지정 또는 지정예고는 기업의 경영 환경 악화 신호로 읽힐 수 있어 투자자들도 예의 주시하고 있다. 5일 한국거래소 기업공시채널에 따르면 '불성실공시법인 지정' 또는 '불성실공시법인 지정예고' 공시 건수는 올해 들어 전날까지 70건을 기록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51건)과 비교해 19건(37.2%) 늘었다.
한국거래소는 경영 사항을 제때 알리지 않거나 이미 공시한 내용을 충분한 소명 없이 뒤집는 상장사를 불성실공시법인으로 지정하고 있다. 기업이 공시한 내용이 실제로 이행되지 않을 경우 투자자들의 신뢰에 금이 갈 수 있기 때문이다. 지정예고 단계에서 거래소의 심의를 거친 후 실제 지정 여부가 결정된다. 사유에 따라 벌점이 적용되는데 최악의 경우 관리종목으로 지정되거나 상장 적격성 실질심사 대상이 될 수 있다. 한국거래소 관계자는 "기업에 귀책 사유가 있는지를 면밀히 살핀 후 불성실공시법인 지정예고를 하고 있다"며 "지정예고만으로도 투자심리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사유별로는 이미 공시된 내용을 취소하는 '공시 번복'이 다수를 차지했다. 금융시장 경색으로 자금조달 여건이 악화된 점이 주된 원인으로 꼽힌다.
[강민우 기자]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