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후장★테마동향

입력 : 2023.04.06 14:50:16
제목 : 오후장★테마동향
테마 동향주 요 테 마
강세 테마희귀금속(희토류 등), 요소수, 니켈, 북한 광물자원개발, 렌터카, 철강 중소형, 시멘트/레미콘 등...
약세 테마AI 챗봇(챗GPT 등),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NI(네트워크통합), 아이 폰,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인터넷 대표주, 제4이동통신, 코로나19(모더나), 사물인터넷, 카카오뱅크(kakao BANK), 웹툰, 리튬,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 PCB(FPCB 등), 마이크로 LED, 시스템반도체, 메타버스(Metaverse), 탄소나노튜브(CNT), 3D 프린터, 핀테크(FinTech), 반도체 장비, 2차전지, 보안주(정보), 4차산업 수혜주 등...



특징 테마이 슈 요 약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AI 챗봇(챗GPT 등)美 바이든 대통령 AI 위험성 언급 및 캐나다의 챗GPT 개인정보 침해 조사 착수 소식 등에 하락
▷전일 언론에 따르면,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4일(현지시간) 인공지능(AI)의 위험성을 언급하며 기술 기업들을 상대로 제품 안전에 대한 책임을 강조한 것으로 전해짐. 이날 바이든 대통령은 워싱턴 DC 백악관에서 열린 대통령 직속 과학기술자문위원회(PCAST) 회 의에서 "기술 기업들은 제품을 공개하기 전에 제품이 안전한지 확인할 책임이 있다"고 강조했으며, AI가 위험하지 않느냐는 질문에 "좀 더 지켜봐야 한다"면서도 "그럴 수도 있다"고 답한 것으로 알려짐. 이 같은 소식에 미국의 AI 소프트웨어 제공업체인 C3 AI, 태국 보안 회사 가드포스 AI, 데이터 분석 기업인 빅베어 AI홀딩스, 대화 지능 회사인 사운드하운드 AI 등 AI 관련 주식들이 이틀 연속 큰 폭의 하락세를 보였음. C3 AI의 주가는 회계 문제 지적 등도 하락 요인으로 작용.

▷전일 언론에 따르면, 캐나다가 인공지능(AI) 챗봇 '챗GPT'의 개인정보 침해 여부를 두고 조사에 착수한 것으로 전해짐. 캐나다 개인정보 보호 기관인 프라이버시위원회는 성명을 통해 챗GPT가 사용자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사용·공개했다는 내용의 진정서가 접수돼 개발사인 오픈AI에 대한 조사를 시작했다고 밝힘. 한편, 지난주 이탈리아 당국이 개인정보 보호 우려 등을 이유로 챗GPT의 접속을 잠정 차단했으며, 다른 유럽 국가들도 규제 여부를 놓고 검토에 들어간 가운데, 챗GPT를 겨냥한 규제 움직임이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브레인즈컴퍼니, 코난테크놀로지, 마인즈랩, 셀바스AI, 인포뱅크, 솔트룩스 등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AI 챗봇(챗GPT 등) 테마가 하락.
리튬美 리튬 업체 주가 약세 속 차익실현 매물 등에 하락
▷지난밤 미국 최대 리튬 생산업체 앨버말 주가가 6% 넘는 하락세를 기록. 언론에 따르면, 뱅크오브아메리카가 앨버말에 대한 투자의견을 ‘중립’에서 ‘시장수익률 하회’로 낮추고 목표주가도 262달러에서 195달러로 25.6% 하향 조정한 여파 때문인 것으로 전해짐. 뱅크오브아메리카는 “배터리용 리튬인 탄산리튬 가격이 지난해 11월 미터톤당 9만달러에서 최근 3만3,000달러 수준까지 떨어졌다”며 “리튬가격 하락은 앨버말의 수익성 약화로 이어질 것”이라고 평가했음. 美 리튬 업체 주가 약세 속 최근 가파르게 오른데 따른 차익 실현 매물이 출회되는 모습.

▷한편, 외신에 따르면, 중국에서 전기자동차 판매 감소 등으로 배터리 핵심 소재인 리튬 가격이 1년 반 전 수준인 t당 20만 위안(약 3천830만원) 초반대로 하락한 것으로 전해짐. 지난 4일 상하이 비철금속 거래시장에서 탄산리튬은 t당 21만9천 위안(약 4천190만원)까지 떨어졌으며, 이는 2021년 12월 수준으로 작년 평균 가격과 비교할 때 56.4% 떨어진 것임. 중국 내 전기차용 배터리 누적 재고는 2018년 13.6기가와트시(GWh), 2019년 23.2GWh, 2020년 19.8GWh, 2021년 65.2GWh, 2022년 251GWh로 늘어난 상태이며, 이 같은 사정을 고려할 때 탄산리튬 가격 하락세는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이와 관련 지엔원에너지, 광무, 이브이첨단소재, 어반리튬 등 리튬 테마가 하락.
은행국내 주요 은행 합산 1분기 순이익 컨센서스 하회 전망 등에 하락
▷현대차증권은 유니버스 은행(KB금융, 신한지주, 하나금융지주, 우리금융지주, 기업은행, 카카오뱅크 등 6사) 1분기 순이익은 전년 대비 1.5% 증가한 5.4조원을 기록하며 컨센서스를 1.6% 하회할 것으로 전망. 특히, 가계 대출이 역성장하며 원화 대출 G/R이 0.4%까지 하락하고, 대출 금리 상승은 다소 둔화되는 동시에 수신 금리 상승은 지속된 영향으로 은행 NIM은 8bp 하락할 것으로 추정. 또한, 연체율 상승세를 반영한 은행의 경상 대손비용 증가와 카드 등 비은행 충당금 증가 등으로 인해 그룹 Credit Cost Ratio는 36bp에 이를 것으로 예상.

▷아울러 당초 예상보다 NIM 하락세가 가파른 점 반영하여 실적 추정치를 하향, 이에 따라 유니버스 은행 목표 시총도 -6.2% 조정. 은행업은 매크로 및 규제에 따른 투자심리 위축만이 아니라 펀더멘털도 약화되는 구간이라 금융산업 내 상대 선호도는 높지 않지만, 현재 시중은행 주가는 P/B 0.3x까지 하락하였기 때문에 초과 하락할 여지는 다소 제한적이라고 분석.

▷이와 관련 카카오뱅크, KB금융, 신한지주 등 은행 테마가 하락.
메타버스(Metaverse)/ 증강현실(AR)/ 가상현실(VR)메타, 메타버스서 AI 사업으로 사업 체제 변환 가능성 등에 하락
▷전일(현지시간) 외신에 따르면, 사명까지 메타로 바꾸고 메타버스에 막대한 투자를 했던 마크 저커버그 메타 CEO(최고경영자)가 AI(인공지능)에 몰두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마크 저커버그 최고경영자(CEO)는 지난 실적발표 자리에서 인공지능을 28번 언급하는 동안, 메타버스 는 단 7차례만 입에 올리며 무게 중심을 이동하겠다는 점을 시사하기도 했음. 이에 시장에서는 메타버스를 미래 먹거리로 보고, 매년 수십억 달러를 투자해온 메타가 새로운 게임체인저로 부상한 AI 시장으로 사업체제를 전환할 지에 주목하고 있음.

▷한편, 메타는 자체 개발한 생성AI를 올해 12월까지 상업화할 계획이라고 전해짐. 상업화와 관련해 구체적인 시점을 공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알려짐.

▷이 같은 소식 속 선익시스템, 신도기연, 웨이버스, 자이언트스텝, 맥스트, 셀바스AI, 알체라, 아프리카TV 등 메타버스(Metaverse)/증강현실(AR)/가상현실(VR) 테마가 하락.


[인포스탁 테마분류를 통해서 상세한 기업개요 및 테마개요/관련종목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Copyright ⓒ True&Live 증시뉴스 점유율1위, 인포스탁(www.infostock.co.kr)

기사 관련 종목

07.09 11:25
브레인즈컴퍼니 6,150 80 +1.32%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7.09 11:51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