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고에 ‘부업 뛰는 가장’ 역대 최다…5년 새 41% 증가

김현정 매경닷컴 기자(hjk@mk.co.kr)

입력 : 2022.12.20 06:55:24
1~3분기 평균 전체 부업자 및 가구주 부업자 수 추이(단위 만명)[자료제공=전국경제인연합회]


본업 외에도 추가 근로 소득을 위해 부업을 뛴 가구주 근로자가 5년 만에 역대 최다를 기록했다.
20일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가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올해 1~3분기 평균 가정 생계를 책임지고 있는 가장(가구주)인 부업자는 36만8000명이었다. 가구주 부업자는 전체 부업자(54만7000명)의 67.3%를 차지했다.
전체 부업자 수와 가구주 부업자 수는 2013년 이후 감소 추세였다가 2017년을 기점으로 증가 추세로 전환했고, 코로나 타격을 받았던 2020년을 제외하고는 2022년까지 지속 증가했다. 지난 5년간 1~3분기 평균 전체 부업자 수는 33.1%(13만6000명↑), 가구주 부업자 수는 41.0%(10만7000명↑) 증가했고, 전체 부업자 중 가구주 비율은 2017년 63.5%에서 2022년 67.3%로 늘었다.
평균 주업 근로시간과 부업 참가율을 비교한 결과 주업 근로시간이 줄어들수록 부업 참가율은 늘어나는 것으로 분석됐다. 주업 근로시간은 2017년 35.7시간에서 올해 32.0시간으로 감소했다.
전경련은 “부업자 증가는 산업구조의 전환에 따른 고용형태 다변화, 코로나19 장기화 등 복합적인 요인의 영향을 받지만, 주52시간제가 도입된 2018년 이후 주업 근로시간의 감소와 함께 부업 참가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근로시간 단축으로 줄어든 소득을 보전하기 위해 근로자들이 부업을 병행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지난 5년간 연령대별 부업자 추이를 보면 청년층과 고령층에서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1~3분기 평균 20~30대 부업자는 2017년 7만8000명에서 2022년 10만7000명으로 37.2% 증가했고, 60대 부업자는 7만6000명에서 12만9000명으로 69.7% 증가했다.
업종별로는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의 부업자가 62.9%(2만2000명↑) 올라 가장 많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건설업’은 40.0%(8000명↑), ‘도·소매업’은 24.5%(1만3000명↑) 상승했다. 한편, ‘숙박 및 음식점업’과 ‘제조업’ 각각 6.3%(2000명↓) 감소했다.



관련기사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2.06 04:50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