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젠 4명중 1명 60세이상…작년 고령자 취업도 창업도 사상 최대60세 이상 취업자 1년새 증가폭, 1963년 통계 후 첫 '40만명 이상'60세 이상 창업기업, 6년만에 76%↑…갈수록 고령화 가속
'내가 일할 곳은'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 마포구 서부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서 한 구직자가 일자리 정보 게시판을 보고 있다.
(서울=연합뉴스) 박상돈 기자 = 지난해 60세 이상 취업자 수와 증가 폭이 동시에 사상 최다·최대를 기록한 것으로 17일 나타났다.
특히 60세 이상 취업자 증가 폭은 1963년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40만명을 넘어섰다.
지난해 60세 이상이 창업한 기업도 관련 통계 작성 이후 가장 많았다.
최근 6년 동안 70% 넘게 늘었다.
이는 베이비붐 세대(1955∼1963년생)가 은퇴하며 고령화가 급속히 진행되는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60세 이상 인구 비중은 25% 선을 처음 돌파했다.
국내 인구 4명 중 1명이 60세 이상인 셈이다.
◇ 작년 60세 이상 취업자 585만8천명…전년 대비 45만2천명↑ 이날 통계청과 중소벤처기업부,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지난해 60세 이상 취업자는 전년보다 45만2천명 증가한 585만8천명으로 사상 최다였다.
이 수치는 관련 통계가 작성되기 시작한 1963년 이후 가장 큰 것이다.
60세 이상 취업자 수는 2004년부터는 매년 늘었다.
최근 수년간 취업자 증가 폭이 계속 커진 데 이어 지난해 처음으로 '증가 폭 40만명 이상'을 기록했다는 점이 더 주목할만하다.
60세 이상 취업자 수가 빠른 속도로 늘고 있음을 뜻하기 때문이다.
60세 이상 취업자 수는 1987년 처음 100만명 선을 넘은 이후 14년이 걸려 2001년에 200만명 선을 돌파했고, 300만명 선을 넘은 것은 2012년으로 11년 걸렸다.
그러나 이후 400만명 선을 넘는 데는 5년, 500만명은 3년밖에 걸리지 않았다.
이에 따라 지난해 전체 취업자 중 60세 이상 비중은 20.9%로 20% 선을 처음 웃돌기도 했다.
올해 들어서도 60세 이상 취업자 증가 폭은 계속 커지고 있다.
지난달 60세 이상 취업자는 613만4천명으로 지난해 동월보다 54만7천명 늘었는데, 월 기준으로 관련 통계가 있는 1982년 7월 이후 최대다.
[표] 연도별 연령별 취업자 추이 (단위: 천명)
연도
합계
15 ~19세
20대
30대
40대
50대
60세 이상
60세 이상 증감
1963
7,563
916
2,010
1,878
1,528
906
326
-
1964
7,698
980
2,010
1,902
1,544
941
321
-5
1965
8,112
1,075
2,051
2,032
1,664
969
321
0
1966
8,325
1,046
2,047
2,219
1,679
1,003
331
10
1967
8,624
1,002
2,092
2,414
1,693
1,045
378
47
1968
9,061
1,015
2,092
2,534
1,860
1,135
425
47
1969
9,285
1,089
2,103
2,621
1,863
1,124
484
59
1970
9,617
1,287
2,051
2,645
2,063
1,133
438
-46
1971
9,946
1,181
2,110
2,810
2,086
1,239
520
82
1972
10,379
1,376
2,215
2,865
2,117
1,298
508
-12
1973
10,942
1,482
2,344
2,973
2,192
1,380
571
63
1974
11,421
1,452
2,497
3,034
2,331
1,495
612
41
1975
11,691
1,388
2,716
3,061
2,396
1,533
598
-14
1976
12,412
1,436
3,002
3,140
2,557
1,574
703
105
1977
12,812
1,457
3,070
3,373
2,781
1,538
593
-110
1978
13,412
1,346
3,242
3,463
3,030
1,668
663
70
1979
13,602
1,178
3,360
3,494
3,117
1,731
722
59
1980
13,683
1,035
3,512
3,468
3,188
1,766
716
-6
1981
14,023
908
3,665
3,473
3,338
1,862
779
63
1982
14,379
821
3,950
3,566
3,295
1,940
809
30
1983
14,505
723
3,987
3,697
3,338
1,937
822
13
1984
14,429
654
4,002
3,714
3,337
1,902
822
0
1985
14,970
634
4,068
3,990
3,366
2,034
879
57
1986
15,505
631
4,201
4,212
3,380
2,133
946
67
1987
16,354
679
4,311
4,529
3,527
2,257
1,051
105
1988
16,869
598
4,313
4,731
3,677
2,461
1,091
40
1989
17,560
612
4,398
4,848
3,813
2,690
1,200
109
1990
18,085
580
4,442
5,060
3,910
2,816
1,277
77
1991
18,649
568
4,928
5,616
3,644
2,667
1,226
-51
1992
19,009
528
4,893
5,779
3,716
2,761
1,332
106
1993
19,234
477
4,802
5,973
3,836
2,787
1,358
26
1994
19,848
456
4,892
6,151
4,020
2,842
1,486
128
1995
20,414
421
5,022
6,238
4,272
2,858
1,604
118
1996
20,853
400
5,021
6,345
4,512
2,863
1,712
108
1997
21,214
385
4,964
6,396
4,713
2,923
1,832
120
1998
19,938
331
4,401
6,018
4,644
2,786
1,757
-75
1999
20,291
351
4,340
6,018
4,888
2,829
1,865
108
2000
21,173
388
4,493
6,145
5,285
2,902
1,961
96
2001
21,614
356
4,472
6,185
5,572
2,964
2,064
103
2002
22,232
311
4,510
6,246
5,872
3,097
2,196
132
2003
22,222
271
4,374
6,233
6,050
3,161
2,133
-63
2004
22,682
258
4,352
6,253
6,241
3,310
2,268
135
2005
22,831
241
4,244
6,207
6,307
3,507
2,324
56
2006
23,188
205
4,126
6,251
6,442
3,740
2,424
100
2007
23,561
205
4,062
6,188
6,561
3,987
2,560
136
2008
23,775
189
3,950
6,133
6,630
4,255
2,618
58
2009
23,688
179
3,813
5,912
6,620
4,473
2,692
74
2010
24,033
207
3,724
5,920
6,655
4,789
2,739
47
2011
24,527
228
3,679
5,880
6,718
5,145
2,877
138
2012
24,955
233
3,605
5,883
6,748
5,416
3,071
194
2013
25,299
225
3,504
5,840
6,771
5,704
3,256
185
2014
25,897
245
3,556
5,805
6,896
5,947
3,448
192
2015
26,178
245
3,619
5,729
6,892
6,068
3,625
177
2016
26,409
244
3,664
5,672
6,832
6,150
3,848
223
2017
26,725
247
3,660
5,643
6,783
6,302
4,090
242
2018
26,822
205
3,699
5,582
6,666
6,346
4,324
234
2019
27,123
198
3,747
5,529
6,504
6,444
4,701
377
2020
26,904
162
3,601
5,364
6,346
6,356
5,076
375
2021
27,273
171
3,706
5,257
6,311
6,422
5,406
330
2022
28,089
179
3,818
5,303
6,314
6,618
5,858
452
(자료=통계청) ◇ 작년 60세 이상 창업기업 12만9천개…2016년 통계작성 이후 최다 고령층은 취업뿐만 아니라 창업에서도 기록을 써가고 있다.
지난해 60세 이상 창업 기업(부동산업 제외)은 12만9천개로 관련 통계가 작성된 2016년 이후 가장 많다.
지난해 수치는 6년 전인 2016년과 비교하면 76.1%나 증가한 것이다.
같은 기간 전체 창업 기업이 20.3% 증가한 것과 비교하면 4배 가까이 더 늘어난 셈이다.
수치에서 부동산업을 제외한 것은 2020년 소득세법 개정에 따른 연 2천만원 이하 주택임대소득자의 사업자 등록 의무화로 부동산업 창업 기업이 2020년 급증했다가 이후 급격히 줄어 기저효과가 크게 작용하기 때문이다.
[표] 연도별 창업기업(부동산업 제외) 추이 (단위: 개)
연령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합계
924,350
951,694
977,405
1,005,462
1,046,814
1,100,589
1,111,718
30세 미만
108,524
117,943
126,172
135,814
160,640
167,499
162,660
30대
254,239
252,571
251,874
255,761
266,662
280,071
291,190
40대
283,963
282,457
279,373
277,339
276,089
292,719
299,203
50대
203,219
211,129
221,116
225,100
222,693
230,571
227,158
60세 이상
73,471
86,687
97,765
110,270
119,714
127,958
129,384
기타
934
907
1,105
1,178
1,016
1,771
2,123
(자료=중소벤처기업부) ◇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작년 전체 인구 중 60세 이상 25.7% 고령층의 취업과 창업 기록 수립은 베이비붐 세대가 은퇴 인구로 진입하며 고령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말 주민등록인구 5천125만9천명 중 60세 이상은 1천315만4천명으로 전체의 25.7%를 차지했다.
60세 이상 비중이 25% 선을 넘은 것은 처음이다.
이 비중은 2018년 말(21.0%) 처음 20% 선을 돌파했고, 2019년 말 22.1%, 2020년 말 23.3%, 2021년 말 24.5%에 이어 지난해 말 25% 선을 넘었다.
지난해 말 비중은 10년 전인 2012년 말(16.1%)에 비해 9.6%포인트나 오른 것인데, 2012년 말 비중이 이전 10년 전인 2002년 말(11.6%)보다 4.5%포인트 상승한 것과 비교하면 최근 10년간 상승 폭이 2배 더 컸다.
이는 60세 이상 인구가 최근 두배 더 빨리 늘었다는 이야기다.
노인 일자리 확대 촉구 (서울=연합뉴스) 김주성 기자 = 대한은퇴자협회 회원들이 15일 오후 서울 용산구 대통령집무실 인근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2023년 예산에 반영된 공공형 노인일자리 축소 등에 반대하며 늘어나는 노인 인구에 따른 일자리 확대를 촉구하고 있다.2022.9.15 utzza@yna.co.kr
◇ 공공일자리로 고령층 취업↑…30∼40대 취업자 증감추이 주목 고령층 취업자가 늘어난 데는 경기 호조보다는 정부의 공공 일자리 공급이 영향을 미친 면도 있다.
이 때문에 공공 일자리 공급이 줄어들 경우 60세 이상 취업자가 줄고 대신 실업자가 증가할 수도 있다.
노동시장 고령화가 진행되며 '경제의 허리'인 30∼40대 취업자 수는 갈수록 줄어드는 추세다.
지난해 40대 취업자 수는 631만4천명으로 전년보다 3천명 증가하는 데 그쳤다.
이마저도 코로나 기저효과에 따른 것으로 2015∼2021년에는 7년 연속 감소했다.
30대 취업자도 2013∼2021년 9년 연속 줄었다가 역시 지난해 4만6천명 정도 늘었다.
노민선 중소벤처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좋은 고용 상황을 위해서는 청년과 여성 인력을 잘 활용해야 한다"며 "청년은 인턴십 등으로 일자리 경험 기회를 확대해 취업시장에 진입하도록 돕고 여성은 경력 단절이 발생하지 않도록 정책을 더 세심히 살펴봐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