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진투자 "국내·미국 증시서 소수 종목 쏠림 현상 관찰"
송은경
입력 : 2023.04.17 10:55:26
입력 : 2023.04.17 10:55:26

[연합뉴스TV 제공]
(서울=연합뉴스) 송은경 기자 = 연초 이후 강세를 보이고 있는 코스닥지수와 미국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에서 소수 종목이 지수 상승을 견인하는 쏠림 현상이 관찰된다는 진단이 나왔다.
17일 유진투자증권[001200]에 따르면 연초 이후 33% 상승한 코스닥지수는 에코프로비엠[247540](16.9%)과 에코프로[086520](13.1%), 엘앤에프[066970](4.1%) 등 3개 종목의 지수 상승 기여율이 34.1%로 나타났다.
레인보우로보틱스[277810]와 에코프로에이치엔[383310]의 기여율은 각각 1.5%, 0.3%로 추산됐다.
이달 중순 기준 코스닥시장 시가총액은 약 425조원으로 지난해 1월(당시 코스닥지수 말일 기준 872.87)과 비슷하지만, 지수 기여도가 높은 5개 종목을 제외하면 같은 해 6월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6월 말 코스닥지수는 745.44였다.
S&P500지수 상승 기여도 역시 애플(21.6%), 마이크로소프트(14.4%), 엔비디아(14.1%) 등 3개 종목이 차지하는 비중이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허재환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한국 코스닥시장이 이차전지 소재 업체들로 쏠림이 컸다면 미국은 챗GPT 등 빅테크에 대한 쏠림이 컸다"고 설명했다.
이어 "주식시장에서 소수 종목에 대한 쏠림이 심해지는 이유는 마땅히 살 종목이 많지 않다는 것"이라며 "금리 인상 사이클 후반부라는 점과 국내 레고랜드 사태, 미국 실리콘밸리은행(SVB) 위기 이후 부동자금이 늘어난 것과 관련이 높다"고 부연했다.
허 연구원은 "쏠림 현상은 경기가 좋아져서 다른 산업으로 상승세가 확산하거나 가격 부담·실질금리 상승으로 주가가 재차 급락하는 과정을 거치거나 둘 중 하나로 귀결될 것"이라며 "가파른 물가 둔화세가 실질금리를 올릴 수 있다"고 전망했다.
norae@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주주환원 확대에 배당소득 분리과세 기대감까지…금융주 불붙었다
-
2
‘7조 가치’ 홈플러스, 1조원이면 인수할 수 있다고?
-
3
'뉴노멀'된 유럽 폭염…아크로폴리스 폐쇄, 폴란드선 강 말라(종합2보)
-
4
'트럼프 관세 서한' 후 美日 장관 연쇄 통화…"협상 계속하기로"(종합)
-
5
[속보] 트럼프 "8월 1일부터 상호관세 부과…연장 허용되지 않을 것"
-
6
"'美국무장관 사칭자', 외국장관 등에 AI음성·메시지로 연락"
-
7
뉴욕증시, 트럼프 관세 공세 평가 속 무역협상 기대감에 혼조 출발
-
8
상법개정 앞두고 자사주 쏟아내는 상장사…소액주주들 ‘또 당해야 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