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후장 특징주★(코스닥)

입력 : 2023.04.17 14:50:16
제목 : 오후장 특징주★(코스닥)
특징종목이슈요약
디에이테크놀로 지
(196490)
초소형 2차전지 관련 레이저 패터닝 기술력 부각에 급등
▷일부 언론에 따르면, 전 산업계에서 로봇의 활용도에 주목하고 있는 가운데, 로봇 관련 기술을 선도하는 국내 소부장 업체들이 중장기적인 혜택을 받을 것이란 전망이 제기되고 있음. 특히, 로봇 에너지원인 초소형 2차전지 부문 동사의 레이저 패터닝 기술은 최근 들어 가장 주목받는 기술로 알려지고 있으며, 동사는 국내에서 유일하게 초소형 전지의 정밀 레이저 패터닝 기술력과 장비를 모두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동사는 복잡한 형태의 패터닝 전지를 가공하는 유연한(flexible) 레이저 가공 기술을 개발 완료해 원천 기술력을 확보하고 있으며, 이미 기술력을 인정받아 지난해 국내 최초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제조하는 미국 나스닥 상장사에 120억원 규모의 레이저 패터닝 장비를 수출한 바 있음. 현재 독보적인 레이저 가공 기술력을 기반으로 웨어러블 기기, 드론, 로봇 등 2차전지 사업 영역을 다각화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지엔원에너지
(270520)
저농도 염수 개발 기술 확보 기대감 등에 급등
▷언론에 따르면, 동사가 최근 지분 투자로 최대주주가 된 엑스트라릿(Xtralit)과 고효율 리튬 추출 신기술의 상용화를 공동으로 추진한다고 전해짐. 사이먼 린치 엑스트라릿 대표는 이날 서울 삼성동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보유한 리튬직접추출(DLE) 기술로 약 20여곳의 염수를 테스트 중으로 올해 연말까지 최소 5대의 파일럿 플랜트를 운영할 계획이라며, "엑스트라릿은 저농도의 염수에서 리튬을 추출할 수 있는 유일한 기업"이라고 밝힘.
▷한편, 사이먼 린치 대표는 오는 18일 열리는 동사의 임시주총에 참석하기 위해 한국을 찾은 가운데, 동사는 지난 6일 194억원을 투자해 엑스트라릿의 지분 29.88%를 취득, 단일 주주 기준 최대주주에 올랐음. 린치 대표는 임시주총에서 사내 이사로 선임돼 미국 유타주 그레이트 솔트 호수의 리튬 추출 사업을 이끌 예정임.
▷이 같은 소식 속 동사의 최대주주인 엔투텍도 시장에서 부각.
제이엘케이
(322510)
인정비급여 제품 AI 의료기기, 의료 현장 주문 쇄도 소식 등에 급등
▷전일 일부 언론에 따르면, 지난 12월 ‘통합심사·평가 혁신의료기기 1호’로 지정되어 인공지능 의료기기 최초로 동사의 JBS-01K(뇌경색 분류솔루션)이 인정비급여로 첫 지정된 가운데, 해당 제품이 3월 기준으로 이미 상급종합병원 및 전국의 관련 수십 곳의 병원에서 환자 진료를 위한 인스톨이 완료되었으며, 현재 관련 셋업 문의가 쇄도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아울러 동사는 이번 JBS-01K 뿐만 아니라 자사가 가지고 있는 다양한 뇌졸중 솔루션들을 금년에 의료현장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순차적으로 비급여 지정을 진행하고 있다고 언급. 이를 통해 더 많은 뇌졸중 관련 솔루션이 의료 현장에 선보일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지고 있음.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현재 정부에서 혁신의료기기 제품들에 대한 보험 수가 규제 혁신에 매우 적극적이다"며, "현재 자사 제품을 도입하는 병원이 빠르게 늘어나는 만큼, 인정비급여 매출이 시작된다면 비약적인 매출 성장이 일어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힘.
넥슨게임즈
(225570)
넥슨코리아, 美 법원에 아이언메이스 대상 소송 제기 소식에 상승
▷업계에 따르면, 넥슨코리아는 지난 14일 미국 워싱턴 서부지방법원에 아이언메이스와 핵심 관계자 최모씨, 대표 박모씨 등에 대한 저작권 침해 소송을 제기했다고 전해짐. 아이언메이스는 넥슨의 미출시 프로젝트 'P3'를 유출해 '다크 앤 다커'를 개발한 의혹으로 경찰 수사를 받고 있으며, 넥슨은 구체적인 소송 사유를 밝히지는 않았으나, 아이먼에이스 측이 미국 기업이 보유한 플랫폼을 통해 '다크 앤 다커'를 배포·판매하는 것을 원천 차단하기 위한 목적으로 추정된다고 알려짐.
▷한편, 언론에 따르면, 넥슨의 지주회사인 NXC가 최근 고 김정주 창업주의 배우자인 유정현 감사를 사내이사로 선임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전해짐. 이는 김정주 창업주가 세상을 떠난 지 1년 1개월 만에 최대주주인 유 이사가 회사 경영에 본격적으로 참여하는 것으로 시장에서 일부 제기되고 있는 ‘매각설’을 잠재우기 위한 결정이라는 해석도 나오고 있음.
티움바이오
(321550)
김훈택 대표이사, 자사주 20,000주 추가 취득에 상승
▷김훈택 대표이사는 전자공시를 통해 지난 11일부터 14일까지 장내매수로 동사 주식 20,000주(취득후 주식수 8,045,000주, 취득후 지분율 31.64%)를 추가 취득했다고 밝힘.
▷이와 관련, 동사는 "지난 1년간 금리 인상 및 대외경제의 불확실성으로 많은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회사 자체의 기초체력(펀더멘탈)과 관계없이 기업가치의 하락을 겪어왔다"며 "이번에 김 대표의 자사주 매입은 저평가된 기업가치를 회복시킬 수 있다는 자신감 표출과 함께 주주 및 임직원에게 책임경영의 의지를보여주기 위한 것"이라고 언급했음.
JYP Ent.
(035900)
1분기 실적 시장 기대치 부합 전망 등에 상 승
▷한화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1분기 연결 기춘 매출액과 영업이익을 각각 1,013억원, 269억원으로 추정. 이는 영업이익 기준 시장기대치인 259억원에 부합하는 수치로, 1분기 추정 전체 앨범판매량은 약 300만장, 공연 매출액은 약 65억원 발생했을 것으로 예상.
▷올해 남은 주요 모멘텀으로는 [Stray Kids] 앨범 발매(2분기 확정, 4분기 추정)와 3분기부터로 예상되는 전년 대비 확장된 투어, [TWICE] 유닛(일본 미사모 3분기) 및 완전체 앨범(4분기) 발매와 대규모 투어, [A2K Project] 5월 중 유튜브 콘텐츠 공개 이후 4분기 데뷔등이 있다며, 업종 내 최선호주 의견을 유지한다고 밝힘.
▷아울러, 4/14일 기준 동사의 외국인 지분율은 43%를 넘겼다며, 지난1월 발간했던 엔터 산업 자료에서 "JYP의 System을 사는 것은 K-Pop 산업에 투자하는 것과 등가교환"이라는 의견을 제시했고, 여전히 이 투자 아이디어는 유효하다고 판단.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100,000원 -> 115,000원[상향]
티앤엘
(340570)
올해 실적 레벨업 전망 등에 상승
▷이베스트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1대 수출지역인 미국으로의 수출 고성장 지속, 수출지역 확대(미국 → 유럽), 수익성이 좋은 제품으로의 믹스개선에 따른 수익성 개선이 이뤄지고 있는 가운데, 올해는 이러한 투자포인트가 실적으로 확인되면서 의미있는 실적 레벨업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 동사 여드름패치 캐파는 2021년 500억원 → 2022년 750억원(+50% yoy) → 2023F 1,000억원(+33% yoy)으로 증설을 진행 중이며, 2H23에는 기존 수출 지역 매출 고성장, 신규 수출국가 확대를 감안한 추가 증설(+250억원)이 예상된다고 밝힘.
▷또한, 동사 제1 고객사 미국 히어로코스메틱스의 처치&드와이트 피인수 효과(채널확장, 수출국가 확대)는 1Q23 실적 부터 확인 가능할 것으로 전망. 현재 미국 CVS 4,500개 매장(기존 1천개 이하)에 제품 입점이 완료, 2Q23에는 대형 리테일 입점 본격화를 예상한다고 밝힘. 2H23 유럽으로 수출 지역이 확대되면 추가적인 실적 상향 조정이 가능하다고 설명. 아울러 올해는 수익성이 가장 높은 품목인 마이크로니들의 매출 비중 확대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53,000원[유지]
국영지앤엠
(006050)
31.84억원 규모 천안 순천향대 새병원 중(유리공사) 공급계약 체결에 소폭 상승
▷지난 14일 장 마감 후 (주)한화와 31.84억원(최근 매출액대비 5.01%) 규모 공급계약(천안 순천향대 새병원 중(유리공사)) 체결(계약기간:2023-04-14~2024-12-05) 공시.
엘앤씨바이오
(290650)
실적 고성장세 지속 기대감 등에 소폭 상승
▷현대차증권은 동사에 대해 2023년 실적은 메가카티 2H23 출시 목표에 따라 매출액 700억(+33.1% yoy), 영업이익률 20%를 기록할 것이라며, 향후 동사의 제품 포트폴리오를 바탕으로 실적 고성장세가 지속될 것이라고 밝힘. 메가덤의 경우 유방 재건 매출이 2022년 182억원(+26.4% yoy)을 기록하며 2022년 전체 매출 중 34.6%를 차지했으며, 2015년 급여 진행 후 유방 전면 재건에 따른 통증 감소 및 미용적인 측면을 고려할 때 향후 3년간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
▷ 중국 의료기기 시장은 2022년 222조원 규모로 연평균 21.4% 성장하였으며 현재 중국 유방암 발병률은 글로벌 1위로 약 6,400억원의 유방재건 시장을 동사가 타겟하고 있다고 설명. 중국 JV는 1Q23 현재 메가덤플러스 NMPA 인허가 진행중이며, 한국 의료기기의 경쟁력을 바탕으로 2025년부터는 본격적으로 중국 매출이 발생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힘.
나우IB
(293580)
관계사 킹스데일, 동사 지분 300,000주(3.13%) 매도 속 급락
▷관계사 킹스데일은 전자공시를 통해 동사 주식 300,000주(3.13%)를 지난 14일 시간외매도했다고 밝힘. 킹스데일의 매도 후 소유주식수는 2,564,000주(26.77%)임.
Copyright ⓒ True&Live 증시뉴스 점유율1위, 인포스탁(www.infostock.co.kr)

기사 관련 종목

01.01 09:00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4.29 05:53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