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2030년까지 달에 기본적 형태의 연구기지 건설"
달 연구기지 건설 3단계 로드맵 발표…아태우주기구와 협력
조준형
입력 : 2023.04.26 13:51:05
입력 : 2023.04.26 13:51:05

[원창 EPA=연합뉴스 자료사진] 중국의 무인 달 탐사선 창어(嫦娥) 5호를 탑재한 중국 최대의 운반 로켓 창정(長征) 5호가 2020년 11월24일(현지시간) 하이난성 원창 우주 발사장에서 이륙해 달로 향하고 있다.창어 5호는 달 표면의 암석 등을 채취해 지구로 가져오는 임무를 맡았다.
(베이징=연합뉴스) 조준형 특파원 = 중국이 2030년께 달에 기본적 형태를 갖춘 연구기지를 만들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고 중국과기보 등 매체들이 26일 보도했다.
중국 달 탐사사업 총설계사인 우웨이런 중국공정원 원사는 25일 안후이성 허페이에서 열린 심우주 탐사 콘퍼런스에서 중국이 건설을 추진 중인 '국제 달 과학연구기지'(ILRS)가 2030년을 전후해 기본 형태를 갖추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 단계에서 달 환경 탐사·측량과 자원 이용에 대한 실험을 진행할 것이라고 우 원사는 밝혔다.
이후 2단계로 2040년을 전후해 연구기지를 더 개선된 버전으로 만들어 태양-지구-달 사이의 우주공간에 대한 환경 탐사·측량을 실시하고, 2050년께 과학적 응용이 가능한 완성된 형태의 연구기지로 만들 것이라고 우 원사는 소개했다.
국제 달 과학연구기지는 달 표면과 달 궤도를 장기간 빈번하게 오가며 과학연구와 자원개발·이용 등을 지원하는 업무를 맡는다.
이를 위해 중국 국가항천국과 아태우주협력기구는 전날 상호 협력을 위한 공동성명에 서명했다.
성명에 따르면 양측은 국제 달 과학연구기지의 운영·응용 분야에서 광범위하고 심층적인 협력을 수행키로 했다.
구체적인 협력 분야는 우주선의 공동 설계·개발, 과학 기기 탑재, 과학·기술 테스트, 데이터 분석, 교육과 훈련 등으로 성명에 소개됐다.
세계 최초로 달 전면과 뒷면에 모두 착륙하는 데 성공한 중국은 달 탐사에 속도를 내고 있다.
중국은 2007년 무인 우주탐사선 창어 1호로 달 탐사를 시작해 2013년에는 창어 3호가 달 앞면 착륙에 착륙했다.
이어 창어 4호는 2018년 12월 발사돼 2019년 1월 지구에서 보이지 않는 달 뒷면에 인류 최초로 착륙했다.
2020년에는 창어 5호가 달 토양 시료를 채취해 지구로 귀환하는 성과를 냈다.
jhcho@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코스피 외국인 순매수,도 상위20종목
-
2
카프로, 임원ㆍ주요주주 특정증권등 소유주식수 변동
-
3
외국계 순매수,도 상위종목(코스피) 금액기준
-
4
에코비트·어펄마·거캐피탈 등, 코엔텍 인수 숏리스트 선정
-
5
세종텔레콤(036630) 상승폭 확대 +13.81%, 3거래일 연속 상승
-
6
코스콤, ‘장애 대응’ 체계 전면 점검…24시간 신속 대응 나선다
-
7
현대차(005380) +4.33%, 현대모비스 +2.61%, 기아 +2.18%, 현대위아 +1.65%, HL만도 +0.99%
-
8
DL이앤씨, 5,498.01억원 규모 공급계약(제물포역 도심 공공주택 복합사업) 체결
-
9
코스피 기관 순매수,도 상위20종목
-
10
KSS해운(044450) 소폭 상승세 +3.07%, 52주 신고가, 외국계 매수 유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