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전무패] 엔데믹 시대 K바이오의 청사진
입력 : 2023.01.16 14:33:05
엔데믹 시대 K바이오의 청사진
Q.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 눈에 띈 점은?
A. 코로나 19이후 3년만에 대면 행사
A. 국내 초청 기업 18개사 외 개별 기업들 참가
A. 삼성바이오로직스 3대 성장축 제시
A. ADC, 유전자 치료제 시장 진출 및 글로벌 거점 확대
A. 롯데바이오로직스 미국 진출
A. 에스디바이오센서 M&A 통한 글로벌 직판 체계 구축
A. LG화학, 한미약품, 에이비엘 등 국내 15개사 초청
Q. 엔데믹 시대 K바이오의 청사진은?
A. 혁신 플랫폼을 기반으로 새로운 치료제 개발
A. 빅파마 중심으로 기업 M&A나 투자 가속화
Q. 대형 기술수출 이번에도 기대해도 될까?
A. 과거 한미약품, 유한양행 대규모 기술수출의 발단
A. 향후에 관련 빅딜 단초 마련 가능할 것
Q. 지난해 기술수출 규모 절반 감소, 이유는?
A. 매년 기술 수출의 편차가 발생
A. 작년 미국 FDA 허가도 6년만에 최저
Q. 제약바이오 산업 발전하기 위해서 필요한 것은?
A. 결국 민간 중심의 생태계 마련 필요
A. 글로벌 기업들과 활발한 교류·협력 필요
정윤택 제약산업전략연구원 원장 by 매일경제TV
[ⓒ 매일경제TV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Q.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 눈에 띈 점은?
A. 코로나 19이후 3년만에 대면 행사
A. 국내 초청 기업 18개사 외 개별 기업들 참가
A. 삼성바이오로직스 3대 성장축 제시
A. ADC, 유전자 치료제 시장 진출 및 글로벌 거점 확대
A. 롯데바이오로직스 미국 진출
A. 에스디바이오센서 M&A 통한 글로벌 직판 체계 구축
A. LG화학, 한미약품, 에이비엘 등 국내 15개사 초청
Q. 엔데믹 시대 K바이오의 청사진은?
A. 혁신 플랫폼을 기반으로 새로운 치료제 개발
A. 빅파마 중심으로 기업 M&A나 투자 가속화
Q. 대형 기술수출 이번에도 기대해도 될까?
A. 과거 한미약품, 유한양행 대규모 기술수출의 발단
A. 향후에 관련 빅딜 단초 마련 가능할 것
Q. 지난해 기술수출 규모 절반 감소, 이유는?
A. 매년 기술 수출의 편차가 발생
A. 작년 미국 FDA 허가도 6년만에 최저
Q. 제약바이오 산업 발전하기 위해서 필요한 것은?
A. 결국 민간 중심의 생태계 마련 필요
A. 글로벌 기업들과 활발한 교류·협력 필요
정윤택 제약산업전략연구원 원장 by 매일경제TV
[ⓒ 매일경제TV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 관련 종목
05.22 15:30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씨앤씨인터내셔널, 1,449.99억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
-
2
대체거래소(NXT) 애프터마켓 상승률 상위종목
-
3
목동아파트 '조합설립 1호' 6단지…재건축시계 빨라진다
-
4
탄소규제에 EU 전기차 판매 28%↑…PHEV 공략하는 中업체
-
5
"UHD 방송 수신 못하는데"…'UHD TV' 中 판매업체 공정위에 제소 당해
-
6
'오픈AI 대항마' 앤스로픽, 최신 AI 모델 클로드 오푸스4 공개
-
7
씨앤씨인터내셔널, 1천400억원 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
-
8
“SPC삼립, 또 터진 안전사고에 투심 흔들”…목표가↓
-
9
[고침] 사회([샷!] 사이코패스 범죄 늘어나고 있나)
-
10
배당수익률 상위 종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