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대출' 몰린 기업銀, 건전성 지표 흔들

입력 : 2023.05.18 16:03:39
제목 : '중기대출' 몰린 기업銀, 건전성 지표 흔들
연체율 0.91%, 시중은행보다 0.5%p 높아 9월 만기연장·이자상환 유예 종료로 부실화 가능성↑

[톱데일리] 중소기업 지원을 목적으로 세워진 IBK기업은행의 중소기업 대출 잔액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늘어난 대출만큼 연체율도 높아지면서 건전성에 대한 우려도 커졌다.

기업은행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말 기준 중소기업 대출 잔액은 226조4950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는 8.2% 확대됐고, 3개월 사이에는 2.6% 늘었다. 기업은행은 일반 시중은행과 달리 전체 여신의 70%를 중소기업 대출로 취급해야 한다. 현재 잔액 기준으로 전체 대출 의 81.2%가 중소기업 대출로 이뤄져 있다.

문제는 최근 중소기업 대출 연체율이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다. 지난 2월 말 기준 국내 은행들의 기업대출 연체율은 0.39%로 집계됐다. 대기업은 0.09%에 불과하지만, 중소기업 대출은 0.47%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0.15%p(포인트) 높아졌다.

대출 잔액이 중소기업에 압도적으로 몰려있는 기업은행의 연체율도 상승세다. 기업은행의 올해 3월 말 기준 연체율과 고정이하여신(NPL)비율은 각각 0.45%, 0.91%를 기록했다. 1년 전까지만 해도 연체율과 NPL비율은 각각 0.25%, 0.81%에 불과했지만 1년 만에 0.20%p, 0.10%p 악화됐다.

시중은행과 비교하면 차이는 더욱 확실하게 드러난다. 같은 기간 동안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시중은행 연체율은 0.20~0.34% 수준이다. NPL비율은 0.19~0.30%에 불과하다. 기업은행의 건전성 지표가 이들 은행에 비해 부진한 셈이다.

기업은행은 늘어나는 중소기업 대출과 악화되는 건전성 지표에 대손충당금전입액도 지난해 1분기에 비해 두 배 이상 늘렸다. 올해 3월 말 대손충당금전입액은 5882억원으로 집계됐다. 경상충당금을 제외한 추가 충당금만 3510억원에 달한다. 이에 따라 대손비용률도 0.81%까지 높아졌다.

기업은행 관계자는 "미래 위험에 대비한 손실 흡수 능력을 선제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추가 충당금을 충분히 적립했다"고 설 명했다.

기업은행은 건전성 우려가 제기된 상황에서도 이뤄진 고배당을 두고 논란에 휩싸이고 있다. 기업은행은 지난해 연간 31.2%의 배당성향을 보였다. 2020년 29.5%, 2021년 30.7%에서 또 한 번 배당을 확대한 셈이다. 순이익 증가와 배당성향 증가로 총배당액도 2021년보다 1400억원가량 늘어난 7655억원으로 집계됐다. 기업은행의 최대 주주는 기획재정부(이하 기재부)로, 지난해 말 기준 59.5%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어 지분율을 고려할 때 기재부는 무려 4553억원의 배당금을 받아간 것으로 계산된다.

기업은행의 고배당 행보는 코로나19 이후 금융사들에 배당 확대 자제를 권고해온 금융당국의 행보와 대비된다. 금융당국은 미국 은행들의 연이은 파산으로 금융시장의 불확실성이 확대되자 배당보다는 대손충당금 적립 등 건전성 관리에 집중하라는 주문을 내놨다. 이에 KB·신한·우리·하나 등 4대 금융지주의 지난해 평균 결산 배당성향은 25.5%에 그쳤다. 금융당국의 권고 속에 시중은행들은 전년 대비 배당성향을 0.2%p 낮췄지만, 기업은행은 오히려 높인 것이다.

기업은행의 배당여력이 시중은행과 비교해 크게 높은 것도 아니다. 기업은행의 보통자자본(CET1)비율은 지난해 말 기준 11.08%를 기록했다. CET1비율은 금융사의 배당여력을 확인할 수 있는 지표로 활용되는데, 해당 비율이 높을수록 배당여력이 높다고 평가된다. 기업은행이 11%대의 CET1비율을 보이고 있는 반면 4대 금융지주 평균 CET1비율은 12.7% 수준이다.

대다수 금융지주사들이 CET1비율 12~13% 수준으로 관리하면서 배당 확대를 결정하겠다는 입장이라 11%대 기업은행의 배당 확대 정책에 대한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대해 기업은행은 기재부에 의해 배당금이 결정되는 구조라는 입장을 내놓고 있다.

관건은 오는 9월 이후다. 코로나19 취약업종을 지원하기 위해 정부가 시행했던 이들 업종에 대한 만기연장·이자상환 유예조치는 9월중 종료된다. 결국 중소기업 대출을 늘려온 기업은행으로서는 다른 시중은행들보다 부실화 가능성이 높은 상황을 맞이할 수 밖에 없다.

나이스신용평가는 "코로나19 취약업종 자산의 부실화로 인한 대손비용 확대 가능성이 존재한다"며 "기업은행은 경기둔화에 대한 대응력이 미흡한 중소기업 여신 비중이 상당이 높고 부실채권비율이 시중은행보다 높아 코로나19 취약업종 한계차주를 중심으로 건전성 저하 부담이 존재한다"고 내다봤다.





톱데일리
윤신원 기자 yoon@topdaily.co.kr

해당 기사는 톱데일리(www.topdaily.kr)에서 제공한 것이 며 저작권은 제공 매체에 있습니다. 기사 내용 관련 문의는 해당 언론사에 하시기 바랍니다.
Copyright ⓒ True&Live 증시뉴스 점유율1위, 인포스탁(www.infostock.co.kr)

기사 관련 종목

05.16 15:30
기업은행 15,460 10 -0.06%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5.19 05:14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