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IR] ㈜툴젠, 美 ASGCT에서 CRISPR-Cas9기반 회사로 유일하게 구두발표 선정

입력 : 2023.05.22 09:07:00
제목 : [기업IR] ㈜툴젠, 美 ASGCT에서 CRISPR-Cas9기반 회사로 유일하게 구두발표 선정

사진제공=㈜툴젠

㈜툴젠(대표 김영호 · 이병화, KOSDAQ 199800)은 지난 16일 부터 20일까지 진행된 ‘제26회 미국 유전자세포치료학회(ASGCT) 연례회의’에서 한 개의 구두 발표와 두 개의 포스터 발표에 선정되어 발표를 완료했다고 22일 밝혔다.
유전자세포치료학회(ASGCT)는 미국을 비롯해 전 세계 바이오 업계 회원들로 구성된 유전자 치료와 세포 치료에 관련하여 최고의 권위를 인정받는 학회이다.
이번 행사에서 ㈜툴젠은 2023년 3월 Nature Chemical Biology지에 발표한 Sniper2L기술을 구두 발표하였으며, 2022년 12월 Nature Communications지에 발표한 TAPE-seq기술과 2023년 1월 Genome Biology지에 발표한 Extru-seq기술을 포스터 발표하였다.
㈜툴젠 플랫폼연구소 이정준 소장은 "이번 학회에서 Zinc Finger기술을 기반으로 한 Sangamo사, TALEN기술을 기반으로 한 Cellectis사, Base editor기술을 기반으로 한 Beam therapeutics사, Prime editor기술을 기반으로 한 Prime medicine사가 각각 구두 발표로 선정되었다”며, “CRISPR-Cas9기반 회사로는 툴젠이 유일하게 구두 발표로 선정되어 툴젠의 높은 기술력을 널리 알릴 수 있었고, 툴젠의 기술은 최근 다국적 제약회사 등에서 공동연구에 관심을 보일만큼 수요가 많은 기술이다.”고 말했다.
㈜툴젠 이병화 대표이사는 “툴젠이 개발한 Cas9 및 Prime editor의 Genome-wide off-target 예측 방법들 (Extru-seq, TAPE-seq)은 추후 유전자 편집 치료제의 안정성 평가 분야에서 유망하게 쓰일 수 있으며 표준 모델로 자리잡을 경우 높은 수요가 예상된다.
또한 Sniper2L은 기존 유전자 가위들과 비교했을 때 효능은 유지하면서 특이도는 증가한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에버그리닝 전략, 바이오 베터 전략 등을 통해 툴젠의 특허기한을 사실상 연장시키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며, “툴젠의 CRISPR-Cas9관련 독보적인 기술력을 기반으로 한 수익화 사업에 대한 성과도 가시화될 수 있도록 박차를 가할 것이다”고 밝혔다.

 








㈜툴젠 (ToolGen Inc.)에 대하여



툴젠은 유전자 교정(CRISPR/Cas9) 원천특허를 바탕으로 인간 치료제 및 동/식물 개발, 육종 분야 등에서 연구와 사업을 진행하는 바이오 벤처기업이다.



크리스퍼 유전자가위는 유전자교정 기술의 핵심 도구로 세포 내 특정 유전정보를 선택적으로 교정할 수 있기 때문에 생명 과학 분야에서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 툴젠의 크리스퍼 유전자가위 원천특허는 미국, 유럽, 중국, 호주, 일본 등 주요 9개국에서 등록되었으며, 바이엘 등 세계적인 기업들에 라이센싱 아웃 되어 그 경쟁력이 확인된 바 있다.

[용어설명]
에버그리닝 (evergreening) 전략:
약의 형태를 조금씩 바꾼 후속 특허를 추가적으로 등록하여 특허적 우위를 유지하는 전략

바이오베터 (Biobetter) 전략:
오리지널 바이오의약품의 효능이나 안전성, 편의성 등을 개량하여 특허적 우위를 유지하는 전략

* 상기 (보도)자료는 인포스탁 온라인IR 회원사인 상장기업에서당해 기업의 주주, 투자자 등을 포함한 관계자분들께 HTS/MTS 뉴스채널 등을 통해 직접 제공하는 주관적인 내용입니다.따라서 자료에 대한문의는 해당 기업 주식 담당자에게 직접 하시기바랍니다.
*상장기업의 목소리를 신 속, 정확하게 그대로  전달해드립니다!! 인포 스탁 On Line IR 서비스!!
Copyright ⓒ True&Live 증시뉴스 점유율1위, 인포스탁(www.infostock.co.kr)

기사 관련 종목

04.23 15:30
툴젠 39,800 2,300 +6.13%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4.23 19:36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