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업계도 '탈중국'…동남아 시장으로 발길 옮긴다
구민정
입력 : 2023.05.24 10:31:13
입력 : 2023.05.24 10:31:13
【 앵커멘트 】
그동안 우리나라 유통기업은 수출의 대부분을 중국 시장에 의존해 왔습니다.
하지만 중국 시장이 흔들릴 때마다 기업들의 실적도 그만큼 위협받았는데요.
이에 기업들이 동남아 시장으로 눈길을 돌리고 있습니다.
구민정 기자입니다.
【 기자 】
중국 의존도를 낮추고 새로운 해외 수출 판로를 확대하려는 기업들이 동남아 시장 개척에 열을 올리고 있습니다.
롯데쇼핑은 대부분의 중국 사업을 축소하는 대신, 동남아 시장에 주력하는 모습입니다.
롯데쇼핑은 올해 1분기 인도네시아와 베트남 등 동남아의 주요 5개 법인에서 총 4천억 원의 매출을 올렸는데, 이는 전체 매출의 10% 이상을 차지하는 기록입니다.
이에 롯데백화점은 오늘 8월 베트남 하노이에 초대형 복합몰을 개장하는 등 동남아 사업을 확장해 나간다는 방침입니다.
오리온도 베트남 하노이 공장에 생산동을 신축하고 호치민 공장을 증축할 예정입니다.
지난해 12월 기준 118%에 육박한 베트남 공장 가동률로 미뤄 볼때 판매량 증가에 선제적으로 대응한 겁니다.
이 밖에 화장품 기업들도 동남아에서 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화장품 수출 상위 10위권 국가 내 동남아 국가들이 다수 포진돼 있을 만큼 동남아의 K-뷰티 열풍은 뜨겁습니다.
이에 힘입어 뷰티 ODM 기업 코스맥스의 동남아 매출은 두 자릿수 성장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지난 1분기 중국과 미국의 매출은 각각 전년 동기 대비 18%, 39% 감소하며 부진했던 반면, 인도네시아와 태국 법인의 매출은 각각 34%, 83% 상승했습니다.
이렇듯 유통 기업들이 동남아 시장을 눈여겨보는 이유는 K-POP 열풍으로 한국 문화에 대한 선호도가 높기 때문입니다.
게다가 규모를 키워가는 시장이기에, 우위를 선점하고 있는 기업이 없어 잠재 수익성이 높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 인터뷰(☎) : 이종우 / 아주대 경영학과 교수
- "중국은 기업들이 이미 자리 잡고 있어서 경쟁이 치열한데, 동남아는 시장을 선점하고 있는 기업이 없어…동남아 경제 규모도 커지고 있어 소비도 늘어나는 추세…."
또한 전문가들은 동남아 유통 시장이 이제 막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넘어가는 추세인 만큼, 기업들이 온라인 진출을 노리는 것이 더 유리할 것이라고 조언했습니다.
매일경제TV 구민정입니다.
[ koo.minjung@mktv.co.kr ]
[ⓒ 매일경제TV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 관련 종목
03.26 15:30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뉴욕증시, 상호관세 D-7·트럼프 발언 '쉼표'·기술주↓…혼조 출발
-
2
[재산공개] 전남도 기관장·군의원 평균 재산 7억7천만원
-
3
'마비노기 모바일' 미리 해보니…방대한 콘텐츠, 익숙한 게임성
-
4
“전기료 너무 비싸요”...돌릴수록 손해라는 공장, 산업용 전기판매 ‘뚝’
-
5
우크라 "'러 통제' 자포리자 원전 디젤저장고 파손"
-
6
美 엔비디아 주가 '中 당국 규제 강화'에 약 5% 하락
-
7
[사이테크+] "유전자 변형 돼지 간, 뇌사자에 첫 이식…10일간 정상 기능"
-
8
[속보] 블룸버그 "트럼프, 이르면 26일 자동차 관세 발표"
-
9
'3천명 중 1명' 선천성 척추이분증 원인 국내 연구팀 밝혀
-
10
블룸버그 "트럼프, 이르면 26일 자동차 관세 발표 가능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