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전세금 보증사고 5천443건…1년만에 두배로 '껑충'
HUG가 대신 갚아준 보증금 1조원 육박…전세값 떨어지며 역전세 우려 커져
김치연
입력 : 2023.01.17 15:45:00
입력 : 2023.01.17 15:45:00
(서울=연합뉴스) 김치연 기자 = 지난해 집주인이 계약 기간 만료 후 전세보증금을 돌려주지 못해 발생한 주택도시보증공사(HUG)의 전세보증금반환보증보험 관련 보증사고가 전년 대비 두배 가까이로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HUG에 따르면 지난해 전세보증금반환보증보험 보증사고 건수는 5천443건으로 전년(2천799건)보다 두배 가까이로 늘었다.
전세보증금반환보증보험은 세입자가 보증금을 지키기 위해 가입하는 보증상품으로 집주인이 계약 기간 만료 후 전세보증금을 돌려주지 못하면 보증기관이 대신 보증금을 가입자(세입자)에게 지급(대위변제)하고 나중에 집주인에게 구상권을 청구해 받아내는 것이다.
보증사고 건수는 2015년 1건에서 매년 증가해 2019년 1천630건으로 처음 1천건을 돌파했다.
이어 2020년 2천408건, 2021년 2천799건에 이어 지난해에는 하반기 들어 집값과 전셋값 하락 등에 따른 보증사고가 급증하며 1년 만에 5천건을 넘어섰다.
지난해 월별로 보면 1월 265건이던 보증사고는 하반기부터 빠르게 늘어 7월 421건을 기록한 뒤 8월 511건, 9월 523건, 10월 704건으로 증가했다.
11월과 12월에는 각각 869건과 820건의 보증사고가 발생해 두 달 연속 800건을 넘겼다.
보증사고 금액도 덩달아 늘어났다.
2021년 5천790억원이던 사고 금액은 지난해 1조1천726억원으로 불어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보증사고로 인해 HUG가 실제로 집주인을 대신해 세입자에게 전세 보증금을 대신 갚아준 대위변제액도 2021년 5천40억원에서 지난해 9천241억원으로 불어 1조원에 육박하면서 역대 최대였다.
대위변제를 받은 세대는 2021년 2천475세대에서 작년 4천296세대로 늘었다.
전세 보증보험에 가입하는 이들도 지난해 최다를 기록했다.
소위 '갭 투기'를 이용한 조직적인 전세 사기가 잇따라 일어나는 데다가 전셋값이 급격히 떨어지면서 전세 시세가 계약 당시보다 하락하는 역전세 우려가 커진 탓이다.
지난해 HUG에서 보증보험을 새로 발급한 세대는 23만7천797세대로 전년과 비교해 5천600여가구 늘었다.
보험 발급 금액도 55조4천510억원으로 전년(51조5천508억원)보다 3조9천억원 증가했다.
문제는 집값과 전셋값 하락으로 세입자에게 보증금을 돌려주지 못하는 소위 '깡통전세'가 증가해 보증사고는 갈수록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한국부동산원이 부동산테크를 통해 공개한 '임대차시장 사이렌'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 아파트 전세가율은 73.6%를 기록했다.
수도권과 서울의 아파트 평균 전세가율은 68.7%와 62.5%였다.
지방은 77.0%에 달했다.
전세가율은 매매가 대비 전세가의 비율로, 이 비율이 높아 전세가가 매매가에 육박하거나 추월하면 세입자가 집주인으로부터 보증금을 떼일 위험이 커진다.
부동산원은 해당 월을 기준으로 최근 3개월간의 실거래 자료를 바탕으로 전세가율을 조사하고 있다.
보증사고율은 전국 5.2%, 수도권 6.0%, 서울 5.3%, 지방 2.0% 등을 보였다.
chic@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뉴욕증시-1보] 급반등 후 숨 고르기…혼조 마감
-
2
공매도 비중 상위 종목
-
3
울산시, 전기차 1천750대 구매 보조…승용 최대 870만원 지원
-
4
[코스피·코스닥 전 거래일(6일) 주요공시]
-
5
서울시·서울노동청·청소년쉼터협의회, 청소년 자립지원 협약
-
6
"스크린골프 소비자만족도 5점 만점에 3.74점…실내위생 불만"
-
7
2인 방통위 내주 첫 회의 열릴까…안건 놓고 속도 조절
-
8
아마존 작년 4분기 실적, 시장 예상치 상회
-
9
NAVER, 주당 1,130원 현금배당 결정
-
10
“우리회사 이번 명절 떡값, 통상임금일까?”…고용부가 지침 만들었다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