먹이 없으면 생존 위해 동족 먹는 섬모충 발견
'수렴진화' 결과로 풀이…국가생물종목록 등재
이재영
입력 : 2023.06.21 06:00:13
입력 : 2023.06.21 06:00:13

환경부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이 발견한 신종 섬모충 '텟메메나 폴리모르파'.[낙동강생물자원관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이재영 기자 = '생존전략'으로 동족을 잡아먹는 섬모충을 발견했다고 환경부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이 21일 밝혔다.
자원관이 작년 4월 강원 강릉시 남대천에서 채집한 신종 섬모충인 '텟메메나 폴리모르파'는 먹이가 부족한 경우 몸과 입이 큰 거대형 세포로 변해 동족의 소형 세포를 잡아먹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족 포식은 신종이 속한 하모충아강에서는 확인된 바 없고 독포아강 섬모충류에서는 확인된 바 있다.
이에 연구진은 동족 포식을 수렴진화 결과로 해석했다.
수렴진화는 전혀 다른 종이 같은 환경에 적응하면서 외형이나 습성이 비슷해지는 현상이다.
예컨대 포유류인 고래와 어류인 물고기는 다른 종이지만 물속에 적응하고자 비슷한 모습으로 진화했다.
연구진은 국가생물종목록에 텟메메나 폴리모르파를 등재할 예정이다.
텟메메나 폴리모르파는 종이 여러 형태로 변하는 특성을 지닌 점에 착안해 붙여진 이름이다.
섬모충은 동물성 단세포 생물 분류군으로 전신에 있는 섬모라는 짧은 털을 사용해 움직인다.
짚신벌레와 종벌레가 섬모충에 속한다.
jylee24@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