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실련 "LH 민간참여 공공주택사업 이익 4년간 1조 넘어"(종합)
민간사업자에 수익 38% 돌아가…"직접 건설방식 택해야"
권혜진
입력 : 2023.06.21 18:17:56
입력 : 2023.06.21 18:17:56

(서울=연합뉴스) 홍해인 기자 =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 관계자들이 21일 서울 종로구 경실련 강당에서 2019~2022년 한국토지주택공사(LH) 민간 참여 공공주택 사업 분양이익 추정 결과 발표 기자회견을 시작하며 팻말을 들어보이고 있다.2023.6.21 hihong@yna.co.kr
(서울=연합뉴스) 김정진 권혜진 기자 =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은 21일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민간참여 공공주택 사업이 LH와 민간사업자의 이윤 추구에 이용되고 있다며 제도개선을 촉구했다.
경실련은 이날 오전 서울 종로구 경실련 강당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2019년부터 4년간 LH가 분양한 공공아파트 중 민간사업자가 참여한 총 17개 아파트 단지에서 약 1조762억원의 수익이 발생했다고 주장했다.
LH와 민간사업자의 수익배분율에 따라 계산한 결과 단지당 평균 이익은 대략 633억원으로, 이중 약 38%인 250억원 정도가 민간사업자에게 돌아간 것으로 경실련은 추정했다.
경실련 분석 결과에 따르면 이들 아파트 단지 17곳에서 가장 많은 분양 수익을 챙긴 민간사업자는 우미건설 컨소시엄으로 나타났다.
2개 사업을 맡은 우미건설 컨소시엄은 총 1천115억원의 이익을 가져갔다는 게 이 단체의 추산이다.
이어 GS건설(1천57억원), 디엘이앤씨(748억원), 금호산업(410억원), 한신공영(380억원), 서한(245억원), 코오롱글로벌(185억원), 계룡건설(104억원)이 뒤를 이었다.
경실련은 우미건설과 GS건설 두 컨소시엄이 민간사업자 총이익의 절반이 넘는 2천172억원을 가져갔다며 사업자 선정 방식이 불투명하다고도 지적했다.
그러면서 "공공주택은 무주택 서민을 위해 지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수익 추구를 목적으로 해서는 안 된다"며 LH 민간참여 공공주택 사업을 중단해 직접 건설방식으로 전환하고 공공주택사업의 분양원가 내역을 공개하라고 촉구했다.
이와 관련해 LH는 해명자료를 내고 "경실련이 적용한 조성원가는 추정된 것으로 사실과 부합하지 않는다"고 반박했다.
또 민간 사업자 수익과 관련해선 "지난 3월 민간 참여 공공주택사업 시행지침이 개정됨에 따라 민간사업자의 수익을 10%로 제한해 올해 민간 참여 공공주택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라며 공공성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stopn@yna.co.kr lucid@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뉴욕증시-1보] 관세 불안 희석한 소비 지표…강세 마감
-
2
"반려견도 성격 따라 TV 시청 습관 달라…하루 평균 14분 시청"
-
3
“삼천피가 불 제대로 지폈다”...개미 주식계좌 한 달새 100만개 늘었다
-
4
[샷!] '휠체어·유모차도 쓱~'…모두를 위한 집
-
5
뉴욕증시, 관세 불안 진정시킨 소비 지표…강세 마감
-
6
젠슨 황 다녀갔다, 이젠 오를 일만 남았다…뜨거운 중국판 M7
-
7
스테이블코인 제도화 법안 美 상하원 통과…트럼프 서명만 남겨
-
8
"차정비 맡겼는데 손상"…피해구제 신청 10건 중 7건 '정비불량'
-
9
[서미숙의 집수다] "법 개정 없이도 보유세 올린다?"…공시가 현실화율 향배는
-
10
롯데마트, 여수 앞바다에 잠수부 투입해 수중 폐기물 수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