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제조업 취업자 5만명 줄어…영세 업체일수록 감소폭 커
종사자 1∼4인 업체서 4만5천명↓…감소분 90% 차지
박원희
입력 : 2023.06.22 06:07:11 I 수정 : 2023.06.22 09:50:14
입력 : 2023.06.22 06:07:11 I 수정 : 2023.06.22 09:50:14

[연합뉴스 자료사진]
(세종=연합뉴스) 박원희 기자 = 올해 들어 제조업 취업자가 1년 전보다 5만명 줄었다.
취업자 감소분의 90%가 종사자 5인 미만인 업체로 소규모 업체일수록 취업자 감소 폭이 컸다.
22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과 연합뉴스의 경제활동인구조사 마이크로데이터 분석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달까지 제조업 취업자 수는 444만명으로 작년 같은 기간(449만명)보다 5만명 감소했다.
제조업 취업자는 수출 감소에 따른 경기 둔화 등의 영향으로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전년 동월 대비 기준 지난 1월부터 5월까지 5개월 연속 줄고 있다.
종사자 규모별로 보면 제조업을 영위하는 1∼4인 업체에서 올해 4만5천명 줄었다.
전체 제조업 취업자 감소분(5만명)의 90%를 차지했다.
종사자가 5∼299인 업체에서는 2만2천명 줄었다.
반면 종사자가 300인 이상인 업체에서는 1만8천명 늘었다.
소규모 업체로 상대적으로 영세하다고 볼 수 있는 사업장일수록 취업자 수가 많이 감소한 것이다.
[표] 올해 제조업 취업자 종사자 규모별 추이 (단위: 명)
2023년 1~5월 | 2022년 1~5월 | 증감 | |
전체 | 4,440,407 | 4,489,938 | -49,531 |
1~4인 | 595,997 | 641,063 | -45,065 |
5~299인 | 2,921,542 | 2,943,929 | -22,387 |
300인 이상 | 922,867 | 904,946 | 17,921 |
경기 둔화에 따른 충격이 상대적으로 영세한 업체에 더 크게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는 설명이다.
상대적으로 불안한 지위에 있는 취업자의 감소 폭도 더 컸다.
종사상 지위별로 보면 제조업 취업자 가운데 일용근로자는 2만4천명, 임시근로자는 2만2천명 각각 줄어 상용근로자 감소분(-3천명)보다 많았다.
제조업 비임금근로자 중에서는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가 1만6천명 늘었지만,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는 7천명 감소했다.
건설업도 상대적으로 영세한 업체에서 취업자 수가 감소하는 모습을 보였다.
올해 들어 지난달까지 건설업 취업자 수는 작년 같은 기간보다 3만2천명 줄었다.
종사자가 1∼4인 업체에서 6만1천명이 줄어든 반면, 5∼299인에서는 2만4천명, 300인 이상에서는 5천명 각각 늘었다.
건설업 취업자 수는 건설 경기 불황 등의 영향으로 전년 동월 대비 기준 6개월째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서울=연합뉴스) 원형민 기자 = circlemin@yna.co.kr 페이스북 tuney.kr/LeYN1 트위터 @yonhap_graphics
encounter24@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美·中도 고전하는 트럼프發 투자한파…韓 외투 촉진책도 힘 못쓰네
-
2
“정치 혼란 해소된 덕?”…원·달러 환율 1300원대 돌아온 이유
-
3
[전국레이더] "바가지 없고, 즐길거리 풍성"…피서객 유치 총력전
-
4
카카오, 사내 'AI 마일리지'로 개발 혁신 시동…하반기 확대
-
5
"종이 회의자료 없앤다"…경북도, 사무직 직원 태블릿PC 지급
-
6
대형마트들 3천원대 치킨전쟁…배달치킨보다 싸 완판행렬
-
7
올들어 서울에 빌라 입주 1천800가구뿐…4년전 6분의 1 토막
-
8
“대출 6억 규제 효과 강력하네”...주담대 신청액 절반 이상 ‘뚝’
-
9
정부, '사상최대' 폴란드 K2전차 수출 금융지원 나선다
-
10
[샷!] 외국인이 한국 오면 꼭 하는 이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