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타이어, 원자력연구원과 손상부품 복원 3D 프린팅기술 개발
김보경
입력 : 2023.01.19 10:00:18
입력 : 2023.01.19 10:00:18
(서울=연합뉴스) 김보경 기자 =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한국타이어)는 한국원자력연구원·3D 프린팅 스타트업 HM3DP와 협업해 손상부품 적층 복원용 3D 프린팅 기술을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
0
한국타이어, 손상부품 복원 3D 프린팅 기술 개발
[한국타이어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한국타이어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AKR20230119047800003_01_i_P4.jpg
Y
이 기술은 기존 원자력용 소재 부품 제조 목적으로 개발되던 3D 프린팅을 비(非)원자력 산업용 특수 금속 부품 복원에 적용한 파생 기술이다.
한국테크노돔과 한국원자력연구원의 연구진은 한국타이어 생산라인에서 사용되는 Ti 합금 블레이드의 손상부를 DED(고에너지 적층) 방식으로 복원하는 데 성공했다.
블레이드는 경화 소재가 첨가된 타이어 수지를 반복적으로 절단하는 부품으로, 이전에는 마모나 손상이 발생하면 바로 폐기됐다.
이번 기술 개발로 블레이드를 반복 사용할 수 있게 됐고, 스테인리스 소재보다 고가인 Ti 합금 사용을 줄일 수 있어 경제성이 향상됐다고 한국타이어는 설명했다.
3D 프린팅 기술로 적층 복원된 블레이드 부품은 현재 한국타이어 대전공장 내 생산설비에 설치돼 실증을 거치고 있다.
한국타이어는 2015년 산업용 금속 3D 프린터를 도입하고, 국내 타이어 기업 최초로 3D 프린팅 기술을 활용한 3차원 사이프 양산 시스템(타이어의 미세 패턴을 새기는 금형 부품)을 완성했다.
vivid@yna.co.kr(끝)
재판매 및 DB 금지]
재판매 및 DB 금지]
한국테크노돔과 한국원자력연구원의 연구진은 한국타이어 생산라인에서 사용되는 Ti 합금 블레이드의 손상부를 DED(고에너지 적층) 방식으로 복원하는 데 성공했다.
블레이드는 경화 소재가 첨가된 타이어 수지를 반복적으로 절단하는 부품으로, 이전에는 마모나 손상이 발생하면 바로 폐기됐다.
이번 기술 개발로 블레이드를 반복 사용할 수 있게 됐고, 스테인리스 소재보다 고가인 Ti 합금 사용을 줄일 수 있어 경제성이 향상됐다고 한국타이어는 설명했다.
3D 프린팅 기술로 적층 복원된 블레이드 부품은 현재 한국타이어 대전공장 내 생산설비에 설치돼 실증을 거치고 있다.
한국타이어는 2015년 산업용 금속 3D 프린터를 도입하고, 국내 타이어 기업 최초로 3D 프린팅 기술을 활용한 3차원 사이프 양산 시스템(타이어의 미세 패턴을 새기는 금형 부품)을 완성했다.
vivid@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재벌 비상장사 '배당 잔치' 계속… 상장사 주주만 '눈물'
-
2
이중근 162억, 김범수 150억…비상장사 배당잔치 벌인 재벌들
-
3
가뭄에 단비…소비쿠폰 지급 앞두고 시장·편의점 '특수' 기대
-
4
'부동산' 빠지는 李정부 첫 세법개정, 주식배당 분리과세 최우선
-
5
내년부터 '바이오시밀러' 허가 절차 빨라진다
-
6
“잔금 때문에 다 꼬이게 생겼다”…중도금 대출 믿고 덜컥 들어간 청약 ‘아뿔싸’
-
7
부동산 시장 양극화에…전셋값 격차도 2년 반 만에 최대
-
8
상반기 LCC 국제선 여객수, 3년 연속 대형 항공사 추월
-
9
5대은행 가계대출 증가폭 60% 줄었지만…영끌 불씨 여전
-
10
한국 OECD 경기선행지수 3년7개월만에 최고…7개월째 상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