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9 자주포 포탑 자동화한다…발사속도 높이고 승무원은 줄여
송탄·장전 자동화로 유사시 신속 발사…2027년까지 2조3천600억원 투입
박수윤
입력 : 2023.06.26 18:06:55 I 수정 : 2023.06.26 19:03:53
입력 : 2023.06.26 18:06:55 I 수정 : 2023.06.26 19:03:53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박수윤 기자 = 육군 대화력전의 핵심 전력이자 'K-방산' 효자 수출품인 K-9 자주포 성능이 대폭 개량된다.
방위사업청은 26일 제155회 방위사업추진위원회(이하 방추위) 회의를 열어 K-9 자주포 2차 성능개량(Blcok-I) 사업을 업체 주관 연구개발로 추진하기 위한 체계개발기본계획안을 심의 의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성능개량 사업은 포탑의 송탄(포탄을 한 발씩 탄알실에 밀어 넣음)과 장전을 자동화해 신속한 타격 능력을 확보하고 전투 효율성을 향상하는 것이 핵심이다.
현재 실전 배치된 K-9 자주포는 초기형과 1단계 성능개량을 거친 K-9A1 모두 '반자동'이다.
2차 성능 개량이 완료되면 송탄과 장약 장전까지 모든 과정이 자동화된다.
군 관계자는 "2차 성능 개량이 끝나면 K-9 자주포 성능이 현재보다 30% 이상 좋아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분당 6발인 K-9 발사 속도가 분당 8~9발로 높아진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 K-9 자주포의 제작사인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지난해 공개한 2단계 성능개량 버전인 'K-9A2' 시제품은 포탄 자동장전장치를 채택해 눈길을 끌었다.
덕분에 K-9A1은 발사 속도가 분당 6발이었으나, K-9A2는 9발까지 가능하다.
단시간에 집중적으로 포격할 수 있어 30% 이상의 화력 강화 효과가 있다고 한다.
또 방사청은 이번 2차 성능 개량 사업을 통해 화력 지원과 대화력전의 핵심 전력인 K-9 자주포의 운용 인원 감소와 승무원의 안전성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현재 K-9은 포반장, 사수, 부사수, 1번 포수, 조종수 등 총 5명의 승무원이 필요하지만, 포탑 자동화 이후는 3명만으로 운용이 가능할 전망이다.
2차 성능 개량에 올해부터 오는 2027년까지 2조3천600억원이 투입된다.
방사청은 "K-9 자주포의 타격 능력을 높이고 운용 인원이 줄어들며 승무원의 안전성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서울=연합뉴스) 반종빈 기자 = bjbin@yna.co.kr 페이스북 tuney.kr/LeYN1 트위터 @yonhap_graphics
clap@yna.co.kr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카카오페이증권 “6월 국내외 증시 모두 상승세”
-
2
대덕전자(353200) 소폭 상승세 +3.03%
-
3
HBM 재고 얼마나 되길래...반토막 난 삼성전자 실적, 발목 잡은 것은
-
4
삼성액티브운용, KoAct K수출핵심기업TOP30 상장
-
5
정치테마주 된 테슬라...머스크 창당에 6.79% 급락
-
6
이제 ‘디지털 금’ 아니다? 비트코인, 금과 탈동조화 뚜렷…트럼프 관세 영향에 10만8000달러선 이탈
-
7
삼전·엘전 ‘어닝쇼크’에 주가 반락
-
8
파마리서치, 인적분할 철회 결정에 주가 오름세
-
9
알에프바이오, PN필러 임상 돌입… 화장품 유럽 진출도 가속
-
10
골드만삭스, 박지은 서울지점 주식부문 대표 선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