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 북한 '정찰위성' 추정 물체 인양…위성 기술 수준 드러나나(종합)
박수윤
입력 : 2023.06.26 18:06:21 I 수정 : 2023.06.26 20:33:56
입력 : 2023.06.26 18:06:21 I 수정 : 2023.06.26 20:33:56

(서울=연합뉴스) 북한이 탄도미사일 기술을 이용해 발사한 우주발사체 '천리마 1형'의 잔해가 서해에 낙하한 지 15일 만에 인양됐다.사진은 합참이 공개한 발사체 잔해.2023.6.16 [합동참모본부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
(서울=연합뉴스) 박수윤 기자 = 군 당국은 북한이 지난달 말 우주발사체에 탑재해 쏘아 올리려다 실패한 군사정찰위성 추정 물체를 최근 인양한 것으로 알려졌다.
26일 군 소식통에 따르면 해군은 지난주 서해 공해상에서 북한이 지난달 31일 탄도미사일 기술을 이용해 발사한 우주발사체 '천리마 1형'에 탑재됐던 위성 '만리경 1호'로 보이는 물체를 건져냈다.
군 소식통은 "현장에서 여러 가지 잔해를 수거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군은 위성 추정 물체를 대전 국방과학연구소(ADD)로 옮겨 분석에 착수했다.
이 물체가 위성이 맞고 상태가 비교적 온전하다면 북한의 정찰위성 기술 수준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북한이 지난달 31일 평안북도 동창리에서 발사한 우주발사체는 1단과 2단이 분리된 이후 서해에 추락했으며, 이 과정에서 180여 개의 잔해물이 이지스 구축함과 공군 레이더에 포착됐다.

[연합뉴스 촬영.재판매 및 DB 금지]
군 당국은 지난 15일 밤 2단 동체를 인양했다.
한미 군 당국은 2단 동체 및 정찰위성 추정 물체 등에 대해 공동으로 분석 중이다.
한국 측에서는 국방부와 합참, 해군, ADD 등 소속 전문가들이, 미국 측에서는 국방부 산하 국방정보국(DIA) 등 다양한 기관의 요원 등이 분석에 참여하고 있다.
다만 합참은 이런 보도에 대해 "사실과 다르다"면서 "우리 군은 관련 작전 및 활동을 지속하고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일각에선 군이 고도의 보안이 요구되는 인양 작전의 민감성을 고려해 이런 반응을 내놓았다는 해석이 나온다.
북한이 정찰위성 재발사를 예고한 상황에서 굳이 우리 군이 위성 잔해 인양에 성공했음을 노출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했을 수 있다는 의미다.
서해 공해상의 천리마 1형 낙하 지점 인근에는 여전히 중국 군함이 활동하며 한국 군의 활동을 지켜보고 있다.
군 관계자는 "추후 건져낸 잔해 분석이 끝나더라도 상당 기간 결과를 공개하지 않을 수 있다"고 전했다.

(서울=연합뉴스) 반종빈 기자 bjbin@yna.co.kr 페이스북 tuney.kr/LeYN1 트위터 @yonhap_graphics
clap@yna.co.kr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HBM 재고 얼마나 되길래...반토막 난 삼성전자 실적, 발목 잡은 것은
-
2
이제 ‘디지털 금’ 아니다? 비트코인, 금과 탈동조화 뚜렷…트럼프 관세 영향에 10만8000달러선 이탈
-
3
삼전·엘전 ‘어닝쇼크’에 주가 반락
-
4
파마리서치, 인적분할 철회 결정에 주가 오름세
-
5
골드만삭스, 박지은 서울지점 주식부문 대표 선임
-
6
알에프바이오, PN필러 임상 돌입… 화장품 유럽 진출도 가속
-
7
온코닉테라퓨틱스(476060) 소폭 상승세 +3.21%
-
8
K-OTC 상승률/하락률 상위 10종목
-
9
하루에 10만원 오른 ‘이 종목’…목표가 170만원까지 나왔다
-
10
관세 재개 우려에 100% 손실보전 상품도... 전문가들은 “걱정 덜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