숨고르기 들어간 외국인, 日주식 세달만에 '팔자'
강인선 기자(rkddls44@mk.co.kr)
입력 : 2023.06.27 17:36:09
입력 : 2023.06.27 17:36:09
고물가에 금리인상 압박 커져
주식 매도하고 엔화 더 사들여
전문가 "종목 위주로 접근을"
올해 들어 일본 주식을 대거 사들인 외국인 투자자들이 속도 조절에 나섰다. 일본 물가상승률이 높아져 금리 인상 압박이 있는 데다 엔화 가치가 오르면 수출 기업들 실적에 부정적인 영향이 생길 수 있다는 분석 때문이다. 한편 국내 주식 투자자들의 일본 증시 매수세는 잦아들지 않고 있어 종목 선별에 더욱 신경을 써야 한다는 조언이 나온다.
27일 블룸버그에 따르면 외국인 투자자들은 지난달 12~16일 일본 주식을 순매도했다. 11주간 이어지던 순매수세가 반전한 것이다. 외국인 투자자들은 일본 주식 선물을 65억7000만엔어치 매도했고 엔화는 6410억엔어치 사들였다. 엔화에는 12주째 순매수가 이어졌다.
반면 국내 일본 주식 투자자들은 최근까지도 일본 증시 매수를 늘려오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지난 19일에서 25일까지 국내 투자자들이 사들인 일본 증시 매수 상위 50종목의 금액 총합은 4651만9060달러다. 전주(6월 12~18일) 3177만8599주, 2주 전(6월 5~11일) 2011만7975달러보다 크게 늘어난 수치다. 국내 주식 투자자들의 일본 주식 상위 50종목 순매수 금액 총합은 지난달 첫 주(5월 1~7일) 261만4820달러에서 최근 18배가량 늘어났다.
국내외 증시 전문가들은 일본 증시가 올 들어 크게 상승한 탓에 단기적으로는 상승 동력이 떨어질 수 있다는 의견을 내놓고 있다. 15억달러 규모 자산을 운용하는 호주의 탈라리아 글로벌 에쿼티 펀드는 최근 일본 주식을 대거 매도했다고 언급했다. 휴 셀비 스미스 공동 최고투자책임자(CIO)는 "일본 증시가 올해 말에는 현재 수준보다 낮은 상태에서 마감할 가능성이 높다"며 "각국 중앙은행들의 긴축 정책으로 수출 기업들이 영향을 받을 것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일본 인플레이션이 예상보다 빠르게 상승하고 있다는 점도 단기 불확실성을 키우는 요소라고 말했다. 높은 물가상승률은 일본 중앙은행으로 하여금 금리를 인상하도록 압박하고, 이는 주식에 하방 압력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또 일본 엔화가 강세를 보이면 수출 기업들도 실적에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이에 일본 증시에서 지수 전략보다는 종목 위주로 접근하는 것이 유효하다는 조언도 나온다. 특히 신한투자증권은 글로벌 수요가 많고 일본이 경쟁력을 갖추고 있는 정보기술(IT), 자본재 등 기업이 향후 투자자들에게 높은 수익을 가져다 줄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IT 부문에서는 반도체 테스트 장비 글로벌 1위 업체인 어드밴테스트, 산업재 부문에서는 글로벌 1위 산업용 로봇 제조업체 화낙 등이 이 같은 특성을 갖추고 있다는 평가다.
다만 셀비 CIO는 "공급망을 다변화하려는 세계적인 트렌드와 자국 기업들을 개혁하려는 점 등에 힘입어 일본 증시는 향후 3~5년 정도 유망한 투자처라고 본다"고 말했다.
[강인선 기자]
주식 매도하고 엔화 더 사들여
전문가 "종목 위주로 접근을"
올해 들어 일본 주식을 대거 사들인 외국인 투자자들이 속도 조절에 나섰다. 일본 물가상승률이 높아져 금리 인상 압박이 있는 데다 엔화 가치가 오르면 수출 기업들 실적에 부정적인 영향이 생길 수 있다는 분석 때문이다. 한편 국내 주식 투자자들의 일본 증시 매수세는 잦아들지 않고 있어 종목 선별에 더욱 신경을 써야 한다는 조언이 나온다.
27일 블룸버그에 따르면 외국인 투자자들은 지난달 12~16일 일본 주식을 순매도했다. 11주간 이어지던 순매수세가 반전한 것이다. 외국인 투자자들은 일본 주식 선물을 65억7000만엔어치 매도했고 엔화는 6410억엔어치 사들였다. 엔화에는 12주째 순매수가 이어졌다.
반면 국내 일본 주식 투자자들은 최근까지도 일본 증시 매수를 늘려오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지난 19일에서 25일까지 국내 투자자들이 사들인 일본 증시 매수 상위 50종목의 금액 총합은 4651만9060달러다. 전주(6월 12~18일) 3177만8599주, 2주 전(6월 5~11일) 2011만7975달러보다 크게 늘어난 수치다. 국내 주식 투자자들의 일본 주식 상위 50종목 순매수 금액 총합은 지난달 첫 주(5월 1~7일) 261만4820달러에서 최근 18배가량 늘어났다.
국내외 증시 전문가들은 일본 증시가 올 들어 크게 상승한 탓에 단기적으로는 상승 동력이 떨어질 수 있다는 의견을 내놓고 있다. 15억달러 규모 자산을 운용하는 호주의 탈라리아 글로벌 에쿼티 펀드는 최근 일본 주식을 대거 매도했다고 언급했다. 휴 셀비 스미스 공동 최고투자책임자(CIO)는 "일본 증시가 올해 말에는 현재 수준보다 낮은 상태에서 마감할 가능성이 높다"며 "각국 중앙은행들의 긴축 정책으로 수출 기업들이 영향을 받을 것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일본 인플레이션이 예상보다 빠르게 상승하고 있다는 점도 단기 불확실성을 키우는 요소라고 말했다. 높은 물가상승률은 일본 중앙은행으로 하여금 금리를 인상하도록 압박하고, 이는 주식에 하방 압력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또 일본 엔화가 강세를 보이면 수출 기업들도 실적에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이에 일본 증시에서 지수 전략보다는 종목 위주로 접근하는 것이 유효하다는 조언도 나온다. 특히 신한투자증권은 글로벌 수요가 많고 일본이 경쟁력을 갖추고 있는 정보기술(IT), 자본재 등 기업이 향후 투자자들에게 높은 수익을 가져다 줄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IT 부문에서는 반도체 테스트 장비 글로벌 1위 업체인 어드밴테스트, 산업재 부문에서는 글로벌 1위 산업용 로봇 제조업체 화낙 등이 이 같은 특성을 갖추고 있다는 평가다.
다만 셀비 CIO는 "공급망을 다변화하려는 세계적인 트렌드와 자국 기업들을 개혁하려는 점 등에 힘입어 일본 증시는 향후 3~5년 정도 유망한 투자처라고 본다"고 말했다.
[강인선 기자]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