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택근무 줄지 않는 美…작년 평균 재택근무 하루 5시간25분
코로나 직전보다 2시간 28분 증가…2021년보다는 12분 감소사무직 이어 저소득·저학력·서비스직도 재택근무 확산
강건택
입력 : 2023.07.04 23:55:18
입력 : 2023.07.04 23:55:18

[뉴욕기술대학 홈페이지 캡처]
(뉴욕=연합뉴스) 강건택 특파원 = 미국의 노동시장에서 좀처럼 원격 재택근무가 줄어들지 않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4일(현지시간) 미 노동부 설문조사를 인용해 지난해 미국 근로자들의 평균 재택근무 시간이 하루 5시간25분이라고 보도했다.
평균 재택근무 시간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직전인 2019년보다 2시간28분 증가했고, 2021년과 비교해도 단 12분 감소했다.
'포스트 팬데믹' 시대에 접어들면서 대부분의 경제 활동이 정상화한 가운데 근로 형태는 코로나19가 유행할 때와 큰 차이가 나지 않았던 셈이다.
미국의 노동시장이 여전히 근로자 우위인 데다 화이트칼라 사무직뿐 아니라 저소득·저학력·서비스직으로도 원격 근무가 확산한 것이 그 원인으로 꼽힌다.
미 노동부에 따르면 지난해 소득 하위 25% 근로자의 평균 재택근무 시간은 팬데믹 전보다 3시간 넘게 늘어났고, 2021년보다도 1시간19분 증가했다.
소득 상위 25% 미국인의 재택근무 시간이 2021년보다 27분 감소한 것과 대조를 이룬다.
콜센터를 비롯한 저소득 사무직의 원격 재택근무가 오히려 더 확산한 것이 그 배경이다.
직원들의 결근이 줄어들고 사무실 임차료를 아낄 수 있다는 사실을 깨달은 기업들이 계속 재택근무를 장려하고 있어서다.
6월 현재 구직사이트 집리크루터에 올라온 고객서비스 구직 공고의 22%가 원격 근무 형태라고 WSJ은 전했다.
2019년 6월에는 4%에 불과했다.
고졸 학력 근로자의 작년 재택근무 시간은 팬데믹 전보다 3시간, 2021년보다 42분 각각 증가했고 서비스직 근로자의 재택근무 시간은 팬데믹 전보다 2시간, 2021년보다 32분 각각 늘어났다.
팬데믹 이후 원격 의료서비스가 확대된 영향으로 2019년 1.8%에 불과했던 보건의료 부문의 재택근무 일자리도 지난해 4.9%로 증가했다.
다만 원격 근무로 전환된 저소득 서비스직 일자리는 향후 해외 근로자나 인공지능(AI)으로 대체될 수 있다는 전문가의 경고도 나온다.
firstcircle@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재벌 비상장사 '배당 잔치' 계속… 상장사 주주만 '눈물'
-
2
이중근 162억, 김범수 150억…비상장사 배당잔치 벌인 재벌들
-
3
가뭄에 단비…소비쿠폰 지급 앞두고 시장·편의점 '특수' 기대
-
4
'부동산' 빠지는 李정부 첫 세법개정, 주식배당 분리과세 최우선
-
5
내년부터 '바이오시밀러' 허가 절차 빨라진다
-
6
“잔금 때문에 다 꼬이게 생겼다”…중도금 대출 믿고 덜컥 들어간 청약 ‘아뿔싸’
-
7
상반기 LCC 국제선 여객수, 3년 연속 대형 항공사 추월
-
8
5대은행 가계대출 증가폭 60% 줄었지만…영끌 불씨 여전
-
9
부동산 시장 양극화에…전셋값 격차도 2년 반 만에 최대
-
10
한국 OECD 경기선행지수 3년7개월만에 최고…7개월째 상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