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가 급락하는데 2천억원 챙긴 美 CEO들…시총 5분의 1 받기도
'톱10' 중 6명은 非 S&P 500 기업 경영자…블랙스톤 슈워츠먼이 '연봉킹'
강건택
입력 : 2023.07.05 01:25:53
입력 : 2023.07.05 01:25:53
'톱10' 중 6명은 非 S&P 500 기업 경영자…블랙스톤 슈워츠먼이 '연봉킹'

스티븐 슈워츠먼 블랙스톤 CEO 부부
[EPA 연합뉴스 자료사진]
(뉴욕=연합뉴스) 강건택 특파원 = 미국 최고경영자(CEO)들의 연봉과 기업 규모는 비례하지 않았다.
회사 주가가 급락하는데도 1천억원이 넘는 거액의 급여를 챙긴 경우도 많았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4일(현지시간) 임원 급여 분석회사인 C-스위트 콤프 자료를 인용해 지난해 가장 많은 급여를 받은 미국의 CEO '톱10' 중 6명은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대 기업에 속하지 않았다고 보도했다.
초대형 사모펀드 회사 블랙스톤의 스티븐 슈워츠먼 CEO는 작년 한 해 동안 2억5천300만달러(약 3천281억원)를 챙겨 구글 모회사 알파벳을 이끄는 순다르 피차이(2억2천600만달러)를 제치고 '연봉 킹'에 올랐다.
배당금을 포함하더라도 지난해 블랙스톤 주식 수익률이 40% 하락했음에도 불구하고 공동 창업자인 슈워츠먼 CEO의 급여는 전년보다 50% 이상 점프했다.
이에 대해 블랙스톤 측은 슈워츠먼 CEO의 작년 급여 중 30%는 2021년도 투자 실적에 따른 인센티브라고 설명했다.
재작년 블랙스톤 주가는 두 배 뛰었다.
블랙스톤보다 훨씬 규모가 작고 경영 실적도 그다지 좋지 않았던 회사들에서도 최상위 연봉을 받는 CEO들이 나왔다.

미국 시카고의 허츠 대리점
[AFP/게티이미지 연합뉴스 자료사진]
렌터카 회사 허츠의 스티븐 셰어 CEO는 작년 스톡옵션을 포함해 총 1억8천200만달러(약 2천361억원)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골드만삭스 최고재무책임자(CFO) 출신인 셰어는 허츠가 법원의 파산보호 관리를 졸업한 지 7개월 만인 작년 2월 CEO로 취임했다.
셰어의 취임 후 작년 허츠의 주가는 22% 하락해 S&P 500 지수 하락폭(16%)을 웃돌았다.
다만 올해 들어서는 20% 반등 중이다.
홈트레이닝 기업 펠로톤은 팬데믹(전염병의 세계적 대유행) 특수가 끝나면서 지난해 주가가 79% 곤두박질쳤으나, 작년 2월 취임한 배리 매카시 CEO는 1억6천800만달러(약 2천179억원)의 급여 패키지를 손에 넣었다.
소셜미디어 핀터레스트를 이끄는 빌 레디 CEO는 작년 1억2천300만달러(약 1천595억원)를 받았다.
대부분 주식으로 이뤄진 레디 CEO의 급여는 회사 규모에 비해서는 두드러지게 많지만, 그나마 작년 주가가 20% 올랐다는 명분은 있다.
법률회사와 변호사들에게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텍사스주 오스틴의 CS디스코는 키위 카마라 CEO에게 작년 한 해 동안 50만달러(약 6억5천만원)의 기본 연봉 외에 1억900만달러(약 1천414억원)의 스톡옵션을 제공했다.
회사 시가총액(5억달러)의 5분의 1 이상을 CEO에게 준 셈이다.
2021년 7월 상장한 CS디스코 주가는 올해 들어 30% 급등했음에도 불구하고 작년 초보다는 여전히 75% 이상 내려간 수준이다.
firstcircle@yna.co.kr(끝)

[EPA 연합뉴스 자료사진]
(뉴욕=연합뉴스) 강건택 특파원 = 미국 최고경영자(CEO)들의 연봉과 기업 규모는 비례하지 않았다.
회사 주가가 급락하는데도 1천억원이 넘는 거액의 급여를 챙긴 경우도 많았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4일(현지시간) 임원 급여 분석회사인 C-스위트 콤프 자료를 인용해 지난해 가장 많은 급여를 받은 미국의 CEO '톱10' 중 6명은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대 기업에 속하지 않았다고 보도했다.
초대형 사모펀드 회사 블랙스톤의 스티븐 슈워츠먼 CEO는 작년 한 해 동안 2억5천300만달러(약 3천281억원)를 챙겨 구글 모회사 알파벳을 이끄는 순다르 피차이(2억2천600만달러)를 제치고 '연봉 킹'에 올랐다.
배당금을 포함하더라도 지난해 블랙스톤 주식 수익률이 40% 하락했음에도 불구하고 공동 창업자인 슈워츠먼 CEO의 급여는 전년보다 50% 이상 점프했다.
이에 대해 블랙스톤 측은 슈워츠먼 CEO의 작년 급여 중 30%는 2021년도 투자 실적에 따른 인센티브라고 설명했다.
재작년 블랙스톤 주가는 두 배 뛰었다.
블랙스톤보다 훨씬 규모가 작고 경영 실적도 그다지 좋지 않았던 회사들에서도 최상위 연봉을 받는 CEO들이 나왔다.

[AFP/게티이미지 연합뉴스 자료사진]
렌터카 회사 허츠의 스티븐 셰어 CEO는 작년 스톡옵션을 포함해 총 1억8천200만달러(약 2천361억원)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골드만삭스 최고재무책임자(CFO) 출신인 셰어는 허츠가 법원의 파산보호 관리를 졸업한 지 7개월 만인 작년 2월 CEO로 취임했다.
셰어의 취임 후 작년 허츠의 주가는 22% 하락해 S&P 500 지수 하락폭(16%)을 웃돌았다.
다만 올해 들어서는 20% 반등 중이다.
홈트레이닝 기업 펠로톤은 팬데믹(전염병의 세계적 대유행) 특수가 끝나면서 지난해 주가가 79% 곤두박질쳤으나, 작년 2월 취임한 배리 매카시 CEO는 1억6천800만달러(약 2천179억원)의 급여 패키지를 손에 넣었다.
소셜미디어 핀터레스트를 이끄는 빌 레디 CEO는 작년 1억2천300만달러(약 1천595억원)를 받았다.
대부분 주식으로 이뤄진 레디 CEO의 급여는 회사 규모에 비해서는 두드러지게 많지만, 그나마 작년 주가가 20% 올랐다는 명분은 있다.
법률회사와 변호사들에게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텍사스주 오스틴의 CS디스코는 키위 카마라 CEO에게 작년 한 해 동안 50만달러(약 6억5천만원)의 기본 연봉 외에 1억900만달러(약 1천414억원)의 스톡옵션을 제공했다.
회사 시가총액(5억달러)의 5분의 1 이상을 CEO에게 준 셈이다.
2021년 7월 상장한 CS디스코 주가는 올해 들어 30% 급등했음에도 불구하고 작년 초보다는 여전히 75% 이상 내려간 수준이다.
firstcircle@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재벌 비상장사 '배당 잔치' 계속… 상장사 주주만 '눈물'
-
2
이중근 162억, 김범수 150억…비상장사 배당잔치 벌인 재벌들
-
3
가뭄에 단비…소비쿠폰 지급 앞두고 시장·편의점 '특수' 기대
-
4
'부동산' 빠지는 李정부 첫 세법개정, 주식배당 분리과세 최우선
-
5
내년부터 '바이오시밀러' 허가 절차 빨라진다
-
6
“잔금 때문에 다 꼬이게 생겼다”…중도금 대출 믿고 덜컥 들어간 청약 ‘아뿔싸’
-
7
부동산 시장 양극화에…전셋값 격차도 2년 반 만에 최대
-
8
상반기 LCC 국제선 여객수, 3년 연속 대형 항공사 추월
-
9
5대은행 가계대출 증가폭 60% 줄었지만…영끌 불씨 여전
-
10
한국 OECD 경기선행지수 3년7개월만에 최고…7개월째 상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