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 인공감미료 '아스파탐' 없는 막걸리 출시
전성훈
입력 : 2023.07.05 09:05:03
입력 : 2023.07.05 09:05:03
(서울=연합뉴스) 전성훈 기자 = 편의점 CU는 인공 감미료 '아스파탐'을 함유하지 않은 막걸리 '백걸리'를 업계 단독으로 출시한다고 5일 밝혔다.
아스파탐은 설탕보다 200배 이상 단맛을 내는 감미료로 무설탕 음료, 캔디 등에 널리 쓰인다.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가 오는 14일(현지시간) 아스파탐을 발암가능 물질인 '2B'군으로 분류할 것으로 알려지면서 국내 소비자들의 불안을 키웠다.

[CU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CU는 이러한 상황을 고려해 더본코리아와 함께 순수 쌀로 빚은 무(無)감미료 백걸리를 내놨다.
CU에 따르면 이 제품은 쌀과 물, 발효제 등 3가지 재료만 사용했다.
일반적인 막걸리 제조 과정에서 단맛을 내기 위해 첨가하는 아스파탐이나 사카린나트륨, 수크랄로스 등 인공 감미료를 일절 넣지 않았다.
우수한 품질을 자랑하는 충남 예산 쌀을 주원료로, 3번 거르고 3도 저온 숙성하는 차별화된 공법으로 담백한 단맛을 추출해 오히려 본연의 풍미를 높였다고 CU는 설명했다.
알코올 도수(6.5도)도 기존의 프리미엄 제품(14도) 대비 절반 이하로 낮춰 부담 없이 가볍게 즐길 수 있다.
CU에 따르면 아스파탐 관련 논란이 불거진 뒤인 이달 1∼3일 막걸리 매출이 지난주 같은 기간 대비 약 3% 감소했다.
날씨 등의 변수를 고려하면 유의미한 변화는 아니지만 향후 소비 변화 가능성에 대비해 대체 상품을 사전에 확보할 방침이라고 CU는 밝혔다.
CU 관계자는 "앞으로도 국내외 동향을 예의주시하고 소비자들의 다양한 관심과 니즈에 맞춰 안전한 상품을 공급하고자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lucho@yna.co.kr(끝)
아스파탐은 설탕보다 200배 이상 단맛을 내는 감미료로 무설탕 음료, 캔디 등에 널리 쓰인다.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가 오는 14일(현지시간) 아스파탐을 발암가능 물질인 '2B'군으로 분류할 것으로 알려지면서 국내 소비자들의 불안을 키웠다.

[CU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CU는 이러한 상황을 고려해 더본코리아와 함께 순수 쌀로 빚은 무(無)감미료 백걸리를 내놨다.
CU에 따르면 이 제품은 쌀과 물, 발효제 등 3가지 재료만 사용했다.
일반적인 막걸리 제조 과정에서 단맛을 내기 위해 첨가하는 아스파탐이나 사카린나트륨, 수크랄로스 등 인공 감미료를 일절 넣지 않았다.
우수한 품질을 자랑하는 충남 예산 쌀을 주원료로, 3번 거르고 3도 저온 숙성하는 차별화된 공법으로 담백한 단맛을 추출해 오히려 본연의 풍미를 높였다고 CU는 설명했다.
알코올 도수(6.5도)도 기존의 프리미엄 제품(14도) 대비 절반 이하로 낮춰 부담 없이 가볍게 즐길 수 있다.
CU에 따르면 아스파탐 관련 논란이 불거진 뒤인 이달 1∼3일 막걸리 매출이 지난주 같은 기간 대비 약 3% 감소했다.
날씨 등의 변수를 고려하면 유의미한 변화는 아니지만 향후 소비 변화 가능성에 대비해 대체 상품을 사전에 확보할 방침이라고 CU는 밝혔다.
CU 관계자는 "앞으로도 국내외 동향을 예의주시하고 소비자들의 다양한 관심과 니즈에 맞춰 안전한 상품을 공급하고자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lucho@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재벌 비상장사 '배당 잔치' 계속… 상장사 주주만 '눈물'
-
2
이중근 162억, 김범수 150억…비상장사 배당잔치 벌인 재벌들
-
3
가뭄에 단비…소비쿠폰 지급 앞두고 시장·편의점 '특수' 기대
-
4
'부동산' 빠지는 李정부 첫 세법개정, 주식배당 분리과세 최우선
-
5
내년부터 '바이오시밀러' 허가 절차 빨라진다
-
6
부동산 시장 양극화에…전셋값 격차도 2년 반 만에 최대
-
7
상반기 LCC 국제선 여객수, 3년 연속 대형 항공사 추월
-
8
5대은행 가계대출 증가폭 60% 줄었지만…영끌 불씨 여전
-
9
“잔금 때문에 다 꼬이게 생겼다”…중도금 대출 믿고 덜컥 들어간 청약 ‘아뿔싸’
-
10
한국 OECD 경기선행지수 3년7개월만에 최고…7개월째 상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