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상 밖' 뜨거운 고용에 美국채 2년물 금리 16년 만에 최고
10년물 금리도 4%대로 올라…11월 '기준금리 상단 5.75% 이상' 전망이 과반
차병섭
입력 : 2023.07.07 09:25:34 I 수정 : 2023.07.07 11:43:13
입력 : 2023.07.07 09:25:34 I 수정 : 2023.07.07 11:43:13

[신화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차병섭 기자 = 예상보다 높게 나온 미국 고용지표에 기준금리 추가 인상 전망이 힘을 얻으면서 미 국채 2년물 금리가 2007년 이후 16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6일(현지시간) 미 CNBC방송에 따르면 기준금리에 민감한 미 국채 2년물 금리는 이날 장 중 한때 5.12%를 기록, 2007년 7월 15일(5.121%)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찍었다.
2년물 금리는 4.987%로 장을 마감했고, 장기금리 지표인 10년물 국채 금리도 4.035%를 기록해 4%대로 올라섰다.

(서울=연합뉴스) 김영은 기자 = 0eun@yna.co.kr 트위터 @yonhap_graphics 페이스북 tuney.kr/LeYN1
고용정보업체 오토매틱데이터프로세싱(ADP)은 이날 6월 민간기업 고용이 전월보다 49만7천 개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작년 7월 이후 최대폭의 증가로,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22만 개)의 두 배를 넘어선 수치다.
미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1년여간 공격적으로 기준금리를 올렸지만 고용시장이 아직 진정되지 않았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된다.
로리 로건 댈러스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도 이날 인플레이션 고착화를 우려하면서 "물가 안정과 최대 고용이라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목표 달성을 위해 더 긴축적인 통화정책이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뿐만 아니라 전날 공개된 6월 FOMC 회의 의사록에는 지난달 기준금리 동결과 관련해 "일부 참석자는 0.25%포인트 인상을 선호하거나 지지할 수 있다고 밝혔다"는 내용이 담겼다.
이에 따라 시장에서의 기준금리 전망치도 올라가고 있다.
연준이 올해 안에 두차례 2차례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을 시사한 가운데,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금리(FFR) 선물 시장에서는 이번 달 0.25%포인트 인상을 통해 금리 상단이 5.5%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이 91.8%에 달했다.
다음 FOMC 회의가 열리는 9월에 금리 상단이 5.75%에 이를 것으로 보는 전망은 27.5%이고 11월 5.75%(44.0%)나 그 이상(11.6%)을 보는 견해가 과반(55.6%)이다.
이날 추가 긴축 전망 속에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는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1.07%)를 비롯해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0.79%), 나스닥지수(-0.82%) 모두 하락 마감했다.
bscha@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매번 환율에 발목잡혔는데”…코스피, 이번엔 달러랑 따로 논다고?
-
2
“사상 최고가 뒤엔 분명 비밀이 있다”…비트코인 뒤에 숨은 법안 전쟁은
-
3
볼트자산운용, 현대그룹 연지동 사옥 품는다
-
4
아스타, 10억원 유상증자...김경숙에 제3자배정
-
5
배경훈, R&D 예산삭감 관련 "TF서 실태 검토…GDP 5% 이상 노력"
-
6
배경훈 과기장관 후보, 퇴직사실 뒤늦은 공개에 "실무자 실수"(종합2보)
-
7
정동영 "북, 반도체공장 3곳 가동…밀수 반도체로 휴대폰 생산"
-
8
金총리, 열흘만에 또 농민단체 만나…건의 듣고 대안 마련 지시
-
9
SGI서울보증 시스템 장애로 소비자 불편…"랜섬웨어 추정"(종합)
-
10
"日혼다·닛산, 차량 플랫폼 소프트웨어 공통화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