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K시그널] 오늘의 종목 분석 : 티플랙스, 신대양제지
입력 : 2023.07.10 11:40:00
안녕하세요. 국내 핫 이슈 종목을 분석해드리는 AI 기자 ‘MK시그널’ 입니다.
MK시그널이 오늘 분석한 종목은 핫 이슈 골든크로스 종목은 티플랙스 & 신대양제지 입니다.

티플랙스
- 티플랙스(081150)은 2021년 포스코 대리점지위를 획득하여 포스코로부터 코일 등을 안정적으로 조달받아 기계, 선박, 플랜트, 반도체 등 전방산업에 필요한 부품소재를 공급하고 있음
- 스테인리스 봉강(환봉) 절삭가공업체로 경쟁력을 갖춘 회사는 현재 상장되어 있는 업체는 없으며, 동사와 명진금속, 동아특강 등 소수업체들이 시장을 점유하고 있음
7월 7일 5일 이평선이 20일 이평선을 돌파하는 골든크로스 발생, 발생 후 전일 대비 종가 기준 0.90% 상승하며 3,910원에 마감하였음. 현재가는 3,875원(오전 10시 기준)으로 전일 종가 대비 0.90% 하락한 상태를 보임

신대양제지
- 신대양제지(016590)는 골판지 원지와 골판지 상자 부문으로 사업영역이 구분되고 대양제지공업, 신대양제지반월, 광신판지, 대양판지, 대영포장, 신대양포을 연결대상 종속회사로 보유
- 대양제지공업은 2020년 10월 12일 안산공장 화재로 영업이 정지되었고 2022년 3월 4일 이사회에서 안산공장 복구를 위한 신규시설투자를 결의함
7월 7일 5일 이평선이 20일 이평선을 돌파하는 골든크로스 발생, 발생 후 전일 대비 종가 기준 0.19% 상승하며 5,240원에 마감하였음. 현재가는 5,240 원(오전 10시 기준)으로 전일 종가 대비 0.00% 상승한 상태를 보임
[전일 HOT 종목]
다산네트웍스 와이즈버즈 플레이디 알비케이그룹 모비데이즈
[이 기사는 MK시그널 AI 로봇 기자가 작성한 글입니다.]
MK시그널이 오늘 분석한 종목은 핫 이슈 골든크로스 종목은 티플랙스 & 신대양제지 입니다.

- 티플랙스(081150)은 2021년 포스코 대리점지위를 획득하여 포스코로부터 코일 등을 안정적으로 조달받아 기계, 선박, 플랜트, 반도체 등 전방산업에 필요한 부품소재를 공급하고 있음
- 스테인리스 봉강(환봉) 절삭가공업체로 경쟁력을 갖춘 회사는 현재 상장되어 있는 업체는 없으며, 동사와 명진금속, 동아특강 등 소수업체들이 시장을 점유하고 있음
7월 7일 5일 이평선이 20일 이평선을 돌파하는 골든크로스 발생, 발생 후 전일 대비 종가 기준 0.90% 상승하며 3,910원에 마감하였음. 현재가는 3,875원(오전 10시 기준)으로 전일 종가 대비 0.90% 하락한 상태를 보임

- 신대양제지(016590)는 골판지 원지와 골판지 상자 부문으로 사업영역이 구분되고 대양제지공업, 신대양제지반월, 광신판지, 대양판지, 대영포장, 신대양포을 연결대상 종속회사로 보유
- 대양제지공업은 2020년 10월 12일 안산공장 화재로 영업이 정지되었고 2022년 3월 4일 이사회에서 안산공장 복구를 위한 신규시설투자를 결의함
7월 7일 5일 이평선이 20일 이평선을 돌파하는 골든크로스 발생, 발생 후 전일 대비 종가 기준 0.19% 상승하며 5,240원에 마감하였음. 현재가는 5,240 원(오전 10시 기준)으로 전일 종가 대비 0.00% 상승한 상태를 보임
[전일 HOT 종목]
다산네트웍스 와이즈버즈 플레이디 알비케이그룹 모비데이즈
[이 기사는 MK시그널 AI 로봇 기자가 작성한 글입니다.]
기사 관련 종목
05.23 15:30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전문가들 "한은, 0%대 저성장 위기에 29일 기준금리 낮출것"
-
2
환율 7개월 만에 최저…지난주 원화 절상폭 주요 통화 중 2위
-
3
“깡통 차던 신용불량자, 개미들 롤모델 됐다”…단타왕의 필승 매매법은?
-
4
소비 찬바람에 골목 카페 줄었다…1분기 식당·편의점도 감소
-
5
카드론 급확대·건전성관리 미비…금감원, 현대카드에 경영유의
-
6
'연 9% 금리' 청년도약계좌 200만명 돌파…'투자형' 도입은 유보
-
7
미국 중국 조선업 견제에 글로벌 선사 앞다퉈 한국에 발주 러시
-
8
배달앱 딜레마 빠진 자영업…"주문액 30%가 수수료·배달비"
-
9
출구 없는 내수 부진 배경엔 '인구 충격'…정부, 영향 분석 착수
-
10
한은 올해 성장전망 뚝 떨어진다…전문가들 "0%대 가능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