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는 필요하고 송전탑은 안되고”...극심한 주민반발에 또 밀리는 송전망 사업

신유경 기자(softsun@mk.co.kr)

입력 : 2025.05.24 08:19:06
동해안-신가평 송전선공사
경과지 선정 미뤄지며 연장
완공시점 2027년으로 밀려

하남, 동서울변전소 증설 불허
송전선 공사 완공돼도 못쓸


연합뉴스


지역 주민들의 반발로 인해 500킬로볼트(㎸) 동해안~신가평 초고압직류송전(HVDC) 사업 기간이 또다시 연장됐다. 한국전력공사가 최근 전 구간 주민 합의를 완료했지만, 그동안 격렬했던 주민 반대로 인해 준공 시점이 결국 밀린 것이다.

23일 산업통상자원부는 동해안~신가평 HVDC 송전선로 일부 구간 완공 시점을 기존 2026년 6월에서 2027년 6월로 1년 연장한다고 고시했다. 이 사업은 경북 울진에서 경기 가평까지 약 230㎞에 이르는 송전선로를 구축하는 것으로, 신한울 원전에서 생산된 전력을 수도권에 공급하기 위한 프로젝트다.

해당 사업은 당초 2019년 12월 준공을 목표로 시작됐으나 사업 기간이 지속적으로 연장됐다. 지역 주민들 반대로 경과지 선정이 늦어지면서 준공 시점이 잇따라 밀렸다.

강원도송전탑반대대책위원회는 지난해 전원개발사업 승인 취소 행정소송을 제기하고 사업 백지화를 요구했다. 홍천군송전탑반대대책위는 2023년 궐기대회를 열고 사업 중단을 요구했다. 일부 지자체 반대대책위는 물리적으로 회의를 방해하고 입지선정위원회 구성을 지연시켰던 적도 있다.

이번 사업 지연으로 인해 동해안과 동서울을 잇는 전력망 구축 계획도 차질을 빚게 됐다. 전력 당국은 동해안~신가평 HVDC를 1단계로, 양평~동서울 HVDC를 2단계로 동해안~동서울 HVDC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1단계 사업이 뒤로 밀리며 2단계 사업 역시 지연될 것으로 관측된다. 다만 한전이 최근 동해안~동서울 HVDC 사업 전 구간에서 주민 합의를 완료하며 주민 반대로 인한 추가적인 지연 가능성은 낮아진 상황이다.

하지만 송전망을 늦게나마 구축해도 이를 온전히 활용하지 못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하남시에서 동서울변전소 증설 사업 인허가를 내주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HVDC가 구축되면 신가평변환소와 동서울변환소로 각각 4GW의 전기가 공급된다. 동서울변전소 증설을 통해 HVDC 변환설비를 증설하지 못하면 4GW의 전력은 공급하지 못하게 된다. 4GW는 1400㎿급 원전 3기가 생산하는 전력 규모와 맞먹는다.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5.24 12:04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