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낙동강 물, 부산 공급 해법은…지역민 동의가 '물꼬'
30년 넘게 추진·철회 반복…PK 정치인 "이제 종지부 찍을 때"경남 농민 반대 목소리, 사업 철회 촉구…부산 "좀 나눠 달라"
김동민
입력 : 2023.01.24 08:07:00
입력 : 2023.01.24 08:07:00

(합천=연합뉴스) 김윤철 합천군수 등이 17일 경남 합천군 율곡면에 위치한 황강 죽고지구 하천 정비사업 현장사무실 일대에서 열린 '낙동강 취수원 다변화 사업' 철회 촉구 대규모 집회에서 사업 철회를 촉구하고 있다.2023.1.17 [경남 합천군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image@yna.co.kr
(합천=연합뉴스) 김동민 기자 = 정부가 추진하는 '낙동강 유역 안전한 먹는 물 공급체계 구축사업(이하 물 공급 사업)'을 두고 경남 합천·창녕군 등 해당 지자체 주민이 반발하고 나서 귀추가 주목된다.
이 사업은 합천군 황강 복류수(지하수·45만t)와 창녕군 강변여과수(45만t)를 개발해 경남(48만t 우선 배분)·부산지역(42만t)에 공급하는 '낙동강 유역 통합물관리 방안'을 담은 것으로 지난 8월 정부 사업으로 확정됐다.
PK(부산, 경남) 지역은 다른 지자체와 달리 원수를 댐을 통해 확보하지 않고, 강물을 사용하고 있다.
낙동강은 본류가 길고, 황강 등 지류가 많아 댐 설치가 적합하지 않은 지형이기 때문이다.
해당 사업은 1991년부터 30년 넘게 추진과 철회를 반복하고 있다.
특히 부산지역 정치인들도 이 사업을 중요하게 여겨 지난해 10월 경남도를 대상으로 한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에서 '물 좀 나눠달라'고 읍소하기도 했다.
당시 장제원 (부산 사상구) 의원은 박 지사에게 "부산에 물 좀 나눠달라.
부산시민의 삶의 문제이고 생존권의 문제다"고 밝혔다.
또 같은 당 전봉민(부산 수영구) 의원도 "(물 공급 추진이) 30년 가까이 됐다"며 "이제는 종지부를 찍을 때"라고 강조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 박 지사는 "취수지역 주민과 논의하고, 부산시·경남도·합천군·창녕군·낙동강유역환경청 등이 민관협의체에 참여해 취수원 주민의 요구를 수용하면서 물 공급 절차를 진행하려고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일부 지역주민 민원은 수용할 부분은 수용하고, 설득할 부분은 설득해서 물 공급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답했다.
또 박 지사는 지난 18일 창녕군청에서 열린 '군민과의 대화' 시간 때도 송중경 길곡면 강변여과수 주민대책위원회 사무국장 질문에 답하는 형태로 환경부가 추진하는 낙동강 취수원 다변화 사업 입장을 밝혔다.
박 지사는 "물은 창원, 김해, 양산 등 동부경남과 부산지역에 나누어 먹는 게 맞다"며 "경남도는 도민의 편에 서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이런 상황에서 합천·창녕군 지역 주민 반발로 난항을 겪는다.
특히 낙동강 지류가 흐르는 합천지역 반발이 거세다.
지난 17일 합천황강광역취수장군민대책위원회는 "환경부는 군민이 강력하게 반대하는 '황강 광역취수장 설치 계획'을 즉각 철회하라"고 밝혔다.
당시 김윤철 합천군수와 조삼술 합천군의회 의장, 지역민 등 1천여명이 참석해 사업 계획을 강력히 반대한다고 외쳤다.
이들은 사업에 따른 농사 피해 등을 주장했다.
김윤철 합천군수는 "합천댐에서 하루 수십만t을 가져간다면 합천은 누구도 살지 못하는 지역이 될 것이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image@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하나증권, ‘해외주식 페스티벌’ 이벤트 실시
-
2
코스닥지수 : ▼1.50P(-0.19%), 776.96P
-
3
오전장 특징주★(코스닥)
-
4
[MK시그널] 대한유화, 수익성 회복 기대감에 주가 상승세... MK시그널 추천 후 상승률 13.48% 기록
-
5
오전장 특징주★(코스피)
-
6
ING, 정혜연 신임 한국 대표 선임
-
7
신한지주 5억달러 외화채 발행 성공…금리도 ‘최저’
-
8
코스닥 하락률 상위 20종목(직전 30분 기준)
-
9
코스피지수 : ▲24.39P(+0.80%), 3,083.86P
-
10
바이낸스, 1억 달러 규모 마약 거래 다크웹 해체 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