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시요약(4) - 특징 종목(코스피)
입력 : 2023.08.09 17:09:29
제목 : 증시요약(4) - 특징 종목(코스피)
특징종목 | 이슈요약 |
에이프로젠 그룹주 | 에이프로젠, 혈액무독성 대식세포 면역항암 이중항체 개발 소식에 상한가 |
▷에이프로젠은 언론을 통해 우리 몸의 1차 면역방어선으로 작용하는 대식세포(macrophage)가 암세포를 공격하게하는 기능을 크게 향상시키면서도 적혈구세포는 죽이지 않게 하는 CD47 이중항체 개발에 성공했다고 밝힘. ▷회사 측에 따르면, 이번에 개발한 CD47 이중항체는 미국 길리어드사이언스(Gilead Sciences)가 개발중인 매그롤리맙(magrolimab)과 비교시 암세포와 적혈구세포를 구분하는 능력이 약 1,000배 강력하고, 이로 인해서 매그롤리맙의 단점인 혈액독성은 매우 낮은 것으로 알려짐. 이에 더해 회사는 이중항체 기술을 적용해 정상세포를 피해 암세포를 공격하는 능력도 향상시켰다고 언급. 이러한 우월성을 발판으로 CD47 이중항체가 수십억달러 규모의 면역관문 항암제 개발 시장에서 강력한 경쟁력을 가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밝힘. ▷이 같은 소식에 에이프로젠을 비롯해 에이프로젠 H&G, 에이프로젠바이오로직스 등 에이프로젠 그룹주가 동반 상한가를 기록. [종목]: 에이프로젠, 에이프로젠 H&G, 에이프로젠바이오로직스 | |
JW중외제약 (001060) 42,300원 (+12.80%) | 2분기 실적 호조에 급등 |
▷23년2분기 실적발표. 별도기준 매출액 1,834.80억원(전년동기대비 +12.58%), 영업이익 227.01억원(전년동기대비 +120.31%), 순이익 169.05억원(전년동기대비 +736.05%). | |
TBH글로벌 (084870) 1,912원 (+8.76%) | 2분기 호실적에 강세 |
▷23년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532.91억원(전년동기대비 -8.40%), 영업이익 51.57억원(전년동기대비 +52.39%), 순이익 44.89억원(전년동기대비 +5,966.21%). | |
일동제약 (249420) 18,260원 (+8.05%) | R&D부문 물적분할 결정 등에 강세 |
▷신약 개발 등 연구개발 사업을 물적분할하여 분할 신설회사 유노비아 주식회사(가칭)를 설립키로 결정(분할기일:2023-11-01) 공시. ▷한편, 23년2분기 실적 발표. 별도기준 매출액 1,537.02억원(전년동기대비 -5.13%), 영업손실 180.35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지속), 순손실 235.70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전환) | |
현대리바트 (079430) 8,090원 (+6.45%) | 2분기 흑자전환에 강세 |
▷23년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3,986.71억원(전년동기대비 +10.71%), 영업이익 34.76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순이익 20.08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 |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 (020150) 54,100원 (+6.29%) | 중장기 성장 기대감 등에 강세 |
▷유진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2분기 영업이익이 15억원으로 전년대비 94% 급감하며 어닝스 쇼크(영업이익 컨센서스 123억원)를 기록했다고 밝힘. 이는 주 고객사들의 단기 수요 감소와 중국 업체들의 해외 진출 확대가 원인인 것으로 파악된다고 분석.또한, 하반기 동박 수요는 상반기 대비 회복되나, 과거 정상 수준의 마진율로 회귀는 힘들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힘. ▷다만, 내년에는 말레이시아 증설 2만톤, 2025년에는 스페인 신설 3만톤으로 외형 성장이 가능할 것이라며, 미국은 연내에 공장 위치가 확정되면 건설이 시작돼서 2026년부터는 동박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 아울러 신사업에 대한 기대도 시작될 것이라며, LFP 양극재에 대한 파일럿 라인을 내년에 구축할 예정이고, 실리콘 음극재는 해외 지분 투자 기업과 R&D에 들어갈 예정이라고 밝힘. 황화물계 고체전해질도 내년에 파일럿 생산 라인을 구축할 계획이라고 언급.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80,000원[유지] | |
파미셀 (005690) 7,140원 (+6.25%) | 美 써모피셔 본사 방문 속 전략적 협력 방안 강화 소식에 강세 |
▷동사는 언론을 통해 최근 글로벌 생명과학기업인 써모피셔사이언티픽(Thermo Fisher Scientific, 이하 써모피셔)에 방문해 코로나 사태 이후 양사간 협력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고 밝힘. 이번 방문은 써모피셔로부터 뉴클레오시드 세계 최대 공급업체로써 초청을 받아 이루어졌으며, 써모피셔 본사에서 동사의 사업부문에 대한 설명과 함께 상호 지속적인 협력과 성장에 관한 논의를 진행했다고 설명.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본사 방문 후, 위스콘신주에 위치한 써모피셔 공장을 방문하여 동사의 뉴클레오시드 사용 현황을 파악했으며, 새로운 아미다이트 제조에 사용되는 원료물질 및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NGS)의 핵심 원료인 NTP의 원료물질과 크리스퍼(CRISPR) 유전자 편집 기술 관련 물질에 대한 향후 사업 방향에 대한 협의를 진행했다"고 밝힘. 이어 "제품의 초기 연구 단계 개발부터 참여하기로 협의 했으며, 이는 양사의 기술력과 다년간의 경험을 바탕으로 혁신적인 제품 개발과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모색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언급. | |
덴티움 (145720) 146,500원 (+5.93%) | 2분기 성장성 입증 속 중장기 매력 보유 분석 등에 상승 |
▷대신증권은 동사에 대해 2Q23 매출액 1,064억원(YoY+10.1%), 영업이익 338억원(YoY-4%, OPM 31.7%)으로 매출액은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반면, 영업이익은 시장 기대치를 소폭 하회(2Q23 OP 컨센서스 약 360억원)했다고 분석. ▷매출액은 국내 202억원(YoY+13%), 해외 862억원(YoY+9%)으로, 1분기 코로나 락다운으로 이연됐던 수요가 본격적으로 반영되는 점과 중국 VBP가 시행되면서 분기 기준 역대 최고 매출액을 갱신했다고 밝힘. 컨센서스 대비 낮은 수준의 영업이익률은 2분기 특별 성과급(22억원)과 광고선전비 증가(67억원, YoY+124%, QoQ+73%)에 기인했다며, 3분기부터는 국내 유명 배우를 모델으로 한 B2C 광고 비용이 반영될 예정(1년간 분기별 약 10억원)이라고 밝힘. ▷다만, 글로벌 고령화 추세와 전세계적으로 낮은 임플란트 침투율, 그리고 VBP 이후 중국 임플란트 시장의 성장은 실적 성장의 근거가 되고 있다며, 23E 매출액은 4,230억원(YoY+19%), 영업이익은 1,420억원(YoY+13.0%, OPM 33.6%)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이에 최근 주가 약세는 오히려 비중 확대의 기회로 판단된다고 밝힘.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180,000원[유지] | |
후성 (093370) 12,900원 (+5.74%) | 4천톤 규모 전해액 물량 수주 속 울산 공장 재가동 소식에 상승 |
▷일부 언론에 따르면, 2차전지 주요 소재인 전해액 생산기업인 동사가 공장 생산 재가동을 추진하는 것으로 전해짐. 이는 올해 약 4천톤 규모의 전해액 물량을 수주받았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되고 있으며, IB업계 관계자는 "4천톤 가운데 2천톤이 LG에너지솔루션, 1천톤이 테슬라 수주 물량인 것으로 알고 있다"고 언급했음. ▷한편, 울산공장 재가동과 관련해 동사 관계자는 "공장 재가동은 지속적으로 검토하고 있으나, 아직 확정된 사안은 아니다"라고 언급. | |
GS리테일 (007070) 23,950원 (+5.27%) | 2분기 실적 호조 및 편의점 실적 개선 시 추세적 상승 기대감 등에 상승 |
▷KB증권은 동사에 대해 2Q23 연결 매출액은 2조9,578억원(+6% YoY), 영업이익은 972억원(+141% YoY)을 나타내면서, 영업이익이 컨센서스를 21% 상회하는 서프라이즈를 기록했다고 밝힘. 이는 파르나스호텔, 수퍼, 기타 부문의 손익이 당초 기대치를 상회했기 때문 등으로 분석. ▷아울러 계획대로 진행되고 있는 적자 사업들의 수익성 개선, 호텔 및 수퍼 부문의 확연한 이익 기여도 확대, 이 두가지 만으로도 주가가 하락세를 멈추고 바닥을 다지기에 충분하다고 판단된다고 밝힘. 향후 편의점 실적까지 의미 있는 개선을 보인다면 주가의 추세적 상승이 가능하다고 밝힘.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32,000원[유지] | |
더블유게임즈 (192080) 42,950원 (+5.27%) | 2분기 호실적에 상승 |
▷23년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439.43억원(전년동기대비 -3.80%), 영업이익 502.67억원(전년동기대비 +20.33%), 순이익 443.98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별도기준 매출액 459.92억원(전년동기대비 -6.10%), 영업이익 139.89억원(전년동기대비 +11.73%), 순이익 126.58억원(전년동기대비 +48.88%). ▷영업이익률은 35%로 전년동기대비 7%포인트 늘어났으며, 코로나19 엔데믹 이후 기존 게임 매출이 하향 안정화되는 가운데, 인건비와 마케팅비를 비롯한 효율적인 비용 관리가 주효했던 것으로 분석되고 있음. | |
넷마블 (251270) 49,900원 (+4.94%) | 신작 모멘텀 기반 실적 회복 기대감 등에 상승 |
▷NH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2분기 영업이익은 당사 기존 추정치 311억원 및 시장 컨센서스 259억원을 하회했지만, 국내 및 글로벌을 비롯하여 중국에서 다수의 신작 출시를 앞두고 있으며, 6월 ‘스톤에이지(중국)’, 7월 ‘신의탑: 새로운세계’ 성과로 3분기 영업적자 폭을 상당히 줄일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4분기에는 흑자 전환이 기대된다고 밝힘. ▷아울러 8월9일 ‘그랜드크로스:에이 지오브타이탄’, 9월 ‘세븐나이츠키우기’, ‘킹아서 레전드라이즈’가 출시를 준비 중이며, 4분기 중 ‘아스달연대기’, ‘나혼자만레벨업:ARISE’의 기대작 출시 예정이라고 설명. 이어 판호를 받은 ‘제2의 나라’, ‘일곱개의 대죄’, ‘A3:Still Alive’도 연내 중국 출시를 앞두고 있어 이들 성과에 따라 주가와 실적 모두 회복이 기대된다고 밝힘.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60,000원[유지] ▷한편, 전일 장 마감 후 2분기 실적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6,033.00억원(전년동기대비 -8.67%), 영업손실 372.00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지속), 순손실 441.00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지속). | |
신성이엔지 (011930) 2,590원 (+4.65%) | 하반기 프로젝트 확대 기대감 및 향후 실적 성장세 지속 전망 등에 상승 |
▷키움증권은 동사에 대해 2Q 매출액은 1,570억원(YoY -10.9%), 영업이익은 23억원(YoY -77.7%)으로 당사 추정치(50억원)를 하회하였다고 언급. 2Q 실적 부진은 하반기에 시작되는 프로젝트 진행이 확대됨에 따라 인력 충원(1Q 대비 50명 증가) 및 관련 부대비용(해외 상주 비용)이 상반기에 선제적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이라고 설명. ▷아울러 올해 하반기부터 내년까지 이어지는 실적 성장에 대해 긍정적이라고 언급. 이와 관련, 현재 진행되는 프로젝트들은 짧게는 1년에서 1년반의 기간이 소요되어 현재의 수주잔고와 하반기 신규 수주 가능한 건들을 감안하게 되면 지속적인 실적 성장이 기대된다고 설명.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3,400원[유지] | |
SK바이오사이언스 (302440) 84,500원 (+4.58%) | 약 1,100억원 규모 노바백스 지분 인수 결정 속 파트너십 강화 기대감 등에 상승 |
▷장기적 파트너쉽의 실행동력 강화 및 회사의 다양한 본질가치 향유를 목표한 전략적 투자 목적으로 NOVAVAX, INC. 주식 6,500,000주를 1,101.96억원에 신규로 취득하기로 결정(취득후지분율:6.45%, 취득예정일:2023-08-10) 공시. ▷이와 관련, 동사는 언론을 통해 이번 지분 인수로 노바벡스와의 파트너십 강화에 나선다고 밝힘. 이를 통해 코로나19 백신을 자체 개발한 경험이 있는 두 회사가 백신 연구개발(R&D)부터 생산, 판매까지 전 영역에서 협력 체계를 구축하겠다는 계획인 것으로 전해짐. | |
씨에스윈드 (112610) 72,000원 (+4.50%) | 2분기 실적 호조 및 WIND TOWER 공급계약 체결 등에 상승 |
▷23년2분기 실적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4,155.20억원(전년동기대비 +26.86%), 영업이익 418.32억원(전년동기대비 +116.55%), 순이익 210.05억원(전년동기대비 +289.12%). ▷Siemens Gamesa Renewable Energy A/S와 957.36억원(최근 매출액대비 7.0%) 규모 공급계약(WIND TOWER) 체결(계약기간:2023-08-09~2024-11-22) 공시. | |
코오롱인더 (120110) 53,900원 (+3.85%) | 2분기 견조한 실적 속 아라미드 수익 기여 기대감 등에 상승 |
▷키움증권은 동사에 대해 2분기 매출액 1.35조(YoY -3.0%, QoQ +9.6%) 및 영업이익 658억원(YoY -25.8%, QoQ +127.8%)으로 당사 추정치를 14% 상회하는 견조한 실적을 달성했다고 밝힘. 이는 신차 판매 증가에 따른 산업자재 부문 실적 개선, 원료가 하락에 따른 화학 실적 호조 및 패션 부문 준성수기 도래에 따른 이익 증가 등에 기인한다고 분석. ▷아울러 산업자재 부문에서는 아라미드 증설 및 아라미드 펄프 라인 추가 증설로 증설분이 ‘24년부터 수익에 기여할 예정이라며, 현재 Pre-Marketing 중으로 약 70%에 달하는 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 설명.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64,000원 -> 71,000원[상향] | |
한국종합기술 (023350) 6,190원 (+3.69%) | 986.92억원 규모 호랑에너지 연료전지 발전사업 EPC 공사 수주에 상승 |
▷호랑에너지 주식회사와 986.92억원(최근 매출액대비 34.8%) 규모 공급계약(호랑에너지 연료전지 발전사업 EPC) 체결 공시. | |
키움증권 (039490) 100,000원 (-3.10%) | 2분기 실적 둔화 등에 하락 |
▷이베스트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2분기 순이익은 1,333억원으로 시장 예상을 소 폭 하회했다고 밝힘. 이와 관련, 수수료이익과 이자이익이 정체된 가운데 전분기 호조를 보였던 운용이익이 큰 폭으로 감소하고 CFD 관련 손실을 인식하면서 실적이 둔화됐다고 설명. ▷아울러 타 증권사에 비해 PF 리스크는 낮으나 저축은행 두 곳이 적지 않은 익스포져를 보유하고 있고, 지난 4분기 이후 매분기 충당금을 인식하고 있다고 설명. 다만, 증시여건 개선과 함께 거래대금 증가세가 이어지고 있어 하반기 이익규모는 2분기 대비 확대될 것으로 전망.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125,000원[유지] | |
하이브 (352820) 259,500원 (-4.60%) | 2분기 영업이익 감소 및 위버스 수익화 지연 등에 하락 |
▷전일 2분기 실적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6,210억원(전년동기대비 +21.24%), 영업이익 813억원(전년동기대비 -7.92%), 순이익 1,174억원(전년동기대비 +18.70%) ▷유안타증권은 동사에 대 해 2분기 시장 컨센서스(매출액: 5,951억원, 영업이익: 704억원)를 상회하는 호실적을 달성했지만, 위버스 콘서트(10~20억원 추정), BTS 10주년 Festa(50억원 이상 추정) 등 일회성 비용 반영된 영향으로 영업이익은 전년동기대비 -7.9% 감소하였다고 밝힘. 이어 위버스 수익화(멤버십+) 시점 내년으로 지연되었다고 밝힘. ▷다만, 보유 IP의 글로벌 팬덤 유입세가 가장 가파르게 발생하고 있으며, 美 걸그룹 프로젝트에 관한 기대감이 본격 반영될 시점으로 각종 KPI 지표 성장 수치를 고려하면 관련 영업 레버리지 내년도 실적에 뚜렷하게 반영될 것으로 전망.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340,000원[유지] | |
쏘카 (403550) 12,670원 (-5.16%) | 2분기 영업이익 기대치 하회 분석 등에 하락 |
▷미래에셋증권은 동사에 대해 2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각각 1,039억원, 16억원을 기록했다며, 영업이익 기준 당사 추정치(48억원)를 크게 하회했다고 밝힘. 6월부터 광고비 집행이 크게 증가하여 마케팅 비용이 전년동기대비 66% 증가해 외형 성장에도 불구하고 수익성 개선이 지연된 것으로 분석. ▷아울러 최근 실적 악화로 동종업체 평균 EV/Sales(2.7배) 대비 40% 디스카운트를 적용해 목표주가를 하향 조정한다고 밝힘.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28,000원 -> 21,000원[하향] | |
엔씨소프트 (036570) 262,500원 (-5.75%) | 2분기 실적 부진에 하락 |
▷23년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4,402.46억원(전년동기대비 -30.03%), 영업이익 352.75억원(전년동기대비 -71.31%), 순이익 305.42억원(전년동기대비 -74.27%). 이 같은 실적 부진은 주력 모바일 게임인 리니지 시리즈의 매출 하락 때문으로 분석되고 있음. ▷한편, 동사는 PC,콘솔 신작인 'THRONE AND LIBERTY(쓰론 앤 리버티, TL)' 이 5월 진행한 국내 테스트 피드백을 적극 반영해 콘텐츠와 시스템을 개선했고, 현재 글로벌 퍼블리싱 파트너인 아마존게임즈와 이용자 테스트를 준비중이라고 밝힘. | |
롯데케미칼 (011170) 143,400원 (-6.58%) | 2분기 실적 부진 및 공급 부담 우려 지속 등에 약세 |
▷전일 장 마감 후 23년2분기 실적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5.00조원(전년동기대비 -5.93%), 영업손실 770.47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지속), 순손실 1,402.65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전환). ▷이와 관련 NH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2분기 실적이 시장 컨센서스를 크게 하회했다고 밝힘. 첨단소재, LC USA, 롯데정밀화학의 이익 개선에도 불구하고 부정적 래깅 효과 및 재고평가손실로 인해 기초 소재 부문 영업적자 829억원(적자 전환 q-q, 영업이익률 -3.0%), LC Titan 영업적자 1,116억원(적자 지속 q-q, 영업이익률 -20.5%)을 기록했다고 설명. 또한, 2분기부터 연결 편입된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의 영업이익은 15억원에 그쳐 실적 기여도 제한적이라고 언급. ▷이어 리오프닝 이후에도 유의미한 수요의 개선은 나타나지 않는 상황인 가운데, 석유화학 업체들의 저율 가동을 통한 공급축소 노력에도 불구하고 공급 부담은 여전하다며, 8월7일 기준 에틸렌-납사 스프레드는 톤당 134달러로 손익분기점인 250~350달러를 크게 하회하고 있다고 설명. ▷목표주가 : BUY -> HOLD[하향], 목표주가 : 200,000원 -> 165,000원[하향] | |
GKL (114090) 13,200원 (-6.71%) | 2분기 실적 부진 및 中 수요 회복 불확실성 분석 등에 약세 |
▷전일 장 마감 후 2분기 실적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002.34억원(전년동기대비 +108.50%), 영업이익 110.06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순이익 85.83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삼성증권은 동사에 대해 2분기 최근 낮아져온 시장 컨센서스마저 하회한 실망스러운 실적을 기록한 가운데, 3분기부터 일본 VIP 기저 부담이 높아진다며, 물론 아직 일본 수요가 추가 회복될 여지가 있으나 기타 국가 VIP 수요가 추가 성장할 것이란 확신이 낮은 상황에서, 결국 중국 수요 회복이 실적을 좌우할 것이라고 밝힘. ▷다만, 중국 VIP 수요에 대해 낙관적으로 전망하기 쉽지 않은 상황으로 마카오의 상황을 살펴보면 매스 고객 매출은 올해 초부터 빠르게 상승하기 시작해 2분기에 2019년 2분기의 86%선까지 회복했지만 VIP 고객 매출은 아직 35% 선에 그치고 있는 상황이라고 밝힘. 이에 올해 연간 매출액과 영업이익 전망치를 각각 8%, 6% 하향 조정한다고 밝힘.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24,000원 -> 20,000원[하향] |
Copyright ⓒ True&Live 증시뉴스 점유율1위, 인포스탁(www.infostock.co.kr)
기사 관련 종목
05.23 15:30
에이프로젠 | 648 | 20 | -2.99% |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