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신이디피(091580) 소폭 상승세 +3.07%
입력 : 2023.09.04 09:13:32
제목 : 상신이디피(091580) 소폭 상승세 +3.07%
기업개요
2차전지 부품 전문 생산업체. 2차전지의 후방 재료산업으로서 리튬이온 방식의 2차전지 중 휴대폰 배터리용 부품으로 사용되는 각형/원형 CAN(2차전지의 CASE), CAP ASS'Y(전기가 흘러나오는 단 자 역할) 관련부품 등을 주력 생산. 주요 고객사로는 삼성SDI 등. 삼성SDI에서 진행중인 PHEV/EV용 2차전지 CAN의 개발업체로 선정됐으며, 중대형CAN용 2차전지 CAN 개발을 완료해 현재 양산 진행중. 최대주주는 김일부 외(28.14%) Update : 2023.06.21 |
▶투자자 여러분의 동반자가 되겠습니다. [인포스탁 모바일 주식신문]
개인/외국인/기관 일별 순매매동향(수량기준, 전일까지 5거래일)
일자 | 종가(등락률) | 거래량 | 개인 | 외국인 | 기관계 | 기타 |
09-01 | 16,580 ( -0.72 % ) | 90,205 | -6,994 | +3,591 | +1,637 | +1,766 |
08-31 | 16,700 ( -0.89 % ) | 77,039 | +8,809 | -8,863 | +52 | 0 |
08-30 | 16,850 ( +0.24 % ) | 91,505 | +12,098 | -13,447 | +356 | +993 |
08-29 | 16,810 ( +0.54 % ) | 132,606 | -20,163 | +17,908 | -47 | +2,302 |
08-28 | 16,720 ( +2.96 % ) | 94,054 | -27,722 | +28,970 | -912 | -336 |
공매도 정보(수량 기준, 전일까지 5거래일)
일자 | 공매도 거래량 | 업틱룰 적용 | 업틱룰 예외 | 잔고수량 | 매매비중 |
09-01 | 8 | 0 | 8 | - | 0.01% |
08-31 | 1 | 0 | 1 | - | 0.00% |
08-30 | 17 | 0 | 17 | 39,090 | 0.02% |
08-29 | 606 | 0 | 606 | 39,769 | 0.46% |
08-28 | 23 | 0 | 23 | 53,662 | 0.02% |
* 업틱룰예외는 해지거래, 차익거래 등 업틱룰의 적용이 면제된 거래를 의미.
* 공매도잔고는 보고의무에 따라 당일 기준으로 2일전 내역까지 확인가능.
* 매매비중 = 공매도 거래량 / 총 거래량
* 출처 : KRX 정보데이터시스템
종목히스토리
▶ 종목이슈
☞ 2023-07-24 삼성SDI·스텔란티스 美 배터리 2공장 건설 소식 속 인근 부지 확보 사실 부각에 상승 |
이슈&테마 스케줄
2023-09-06 공정위, 브로드컴 제재 심의 2023-09-13 이차전지 소재 · 부품 및 장비전 2023-09-21 신성에스티 공모청약 2023-10-19 대구 국제 미래모빌리티엑스 포 2023-11-01 KG모빌리티 토레스 전기차 출시 2024-04 전기차(EV) 전용 공장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 시험생산 돌입 |
관련테마
※ 테마와 관련된 상세한 설명과 자료는 증권사 HTS나 인포스탁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Copyright ⓒ True&Live 증시뉴스 점유율1위, 인포스탁(www.infostock.co.kr)
기사 관련 종목
05.23 15:30
상신이디피 | 7,040 | 40 | -0.56% |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전문가들 "한은, 0%대 저성장 위기에 29일 기준금리 낮출것"
-
2
환율 7개월 만에 최저…지난주 원화 절상폭 주요 통화 중 2위
-
3
카드론 급확대·건전성관리 미비…금감원, 현대카드에 경영유의
-
4
미국 중국 조선업 견제에 글로벌 선사 앞다퉈 한국에 발주 러시
-
5
'연 9% 금리' 청년도약계좌 200만명 돌파…'투자형' 도입은 유보
-
6
한은 올해 성장전망 뚝 떨어진다…전문가들 "0%대 가능성"
-
7
“깡통 차던 신용불량자, 개미들 롤모델 됐다”…단타왕의 필승 매매법은?
-
8
배달앱 딜레마 빠진 자영업…"주문액 30%가 수수료·배달비"
-
9
출구 없는 내수 부진 배경엔 '인구 충격'…정부, 영향 분석 착수
-
10
소비 찬바람에 골목 카페 줄었다…1분기 식당·편의점도 감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