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젠 황제주 자리도 위태롭다…힘 빠진 에코프로, 이유가?
백지연 매경닷컴 기자(gobaek@mk.co.kr)
입력 : 2023.09.07 21:16:31 I 수정 : 2023.09.07 21:23:11
입력 : 2023.09.07 21:16:31 I 수정 : 2023.09.07 21:23:11

7일 증권가에 따르면 에코프로는 전일 대비 4만4000원(4.19%) 내린 100만60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에코프로는 지난 1일부터 이날까지 5거래일 연속 하락세다. 기간을 넓혀 보면 이달 들어서만 19.97%가 빠졌다.
황제주 자리도 위태롭다. 특히 에코프로는 이날 장중 99만7000원까지 밀리면서 황제주 자리를 내놓기도 했다.
에코프로의 시가총액도 지난 1일 31조3940억원에서 이날 26조7874억원으로 14.67% 줄었다. 주가가 큰 폭으로 하락하면서 지난 4일 에코프로는 코스닥 시장에서 시가총액 상위 2위로 밀려나기도 했다. 이 기간 에코프로비엠이 코스닥 시가총액 1위로 올라섰다.

이 기간 외국인 순매도 상위 종목에 포스코DX와 에코프로비엠이 나란히 1·2위로 이름을 올린 점도 눈길을 모은다. 외국인은 이달 들어 이들 종목을 각각 1167억원, 1054억원 어치 순매도했다.
포스코DX는 이차전지 관련주로 분류된다. 에코프로비엠까지 순매도하면서 이차전지 관련주에 대한 팔자세를 본격화하고 있다는 평가다.
국내 배터리 업계의 점유율이 하락이 우려될 수 있다는 소식에 투자심리가 더 빠르게 얼어붙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국내 업계는 삼원계 니켈·코발트·망간(NCM) 배터리를 주력하고 있다. 하지만 중국 업체들이 주도하는 리튬인산철(LFP) 배터리의 제조원가가 더 저렴한 탓에 전기차 업체들의 해당 배터리 채택도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최근 국내 이차전지 수출이 부진하다”며 “국내 이차전지 밸류 체인 관련주들을 중심으로 단기적인 수급 변동성을 유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기사 관련 종목
07.01 15:30
에코프로 | 45,500 | 350 | +0.78% |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美FBI, 취업사기·가상화폐 탈취 北일당 수배…보상금 68억원
-
2
美서 쿼드 외교장관회의…관세 갈등 속 인태지역 협력 모색
-
3
[속보] 트럼프 "상호관세 유예 연장 생각 안 하고 있어"
-
4
[속보] 트럼프, 日 상호관세율 당초 24%에서 30~35%로 상향 가능성 시사
-
5
트럼프감세법안 美상원 통과…찬반 동수서 부통령 찬성표로 가결(종합2보)
-
6
머스크의 xAI, 채권발행·대출 포함 100억달러 자금 조달
-
7
[뉴욕유가] 美 지표 호조 속 트럼프 "비축유 채우겠다"…WTI, 0.5%↑
-
8
트럼프 "상호관세 유예연장 생각 안해…日에 30~35% 부과할수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