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전장★테마동향
입력 : 2023.09.11 11:14:39
제목 : 오전장★테마동향
테마 동향 | 주 요 테 마 |
강세 테마 |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스마트팩토리(스마트공장), 공작기계, 건설기계, 우크라이나 재건, 모듈러주택, 3D 프린터, 생명보험, 줄기세포, 면역항암제, 페인트, 항공기부품, 치매, 증강현실(AR),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전력설비, 웹툰, 조선, 비만치료제 등... |
약세 테마 | 비료, 렌터카, 터치패널(스마트폰/태블릿PC 등), 리튬, 통신, 육계, LED장비, MLCC(적층세라믹콘덴서), 반도체 재료/부품, 폐배터리,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 요소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PCB(FPCB 등), 2차전지, 수산, 골판지 제조, 음식료업종 등... |
특징 테마 | 이 슈 요 약 |
우크라이나 재건/ 건설기계/ 모듈러주택 | 尹 대통령, 대규모 우크라이나 공적 개발 원조(ODA) 프로그램 발표 소식에 상승 |
▷윤석열 대통령은 인도 방문 마지막날인 지난 10일(현지시간) 20국(G20) 정상회의에서 전쟁 중인 우크라이나에 내년에 3억 달러를 지원하고 2025년 이후 20억달러(약 2조7,000억원)를 추가로 지원하는 공적 개발 원조(ODA) 프로그램을 발표했음. 윤 대통령은 “지난 7월 키이우를 방문해 ‘우크라이나 평화 연대 이니셔티브’를 발표했다”면서 “앞으로도 대한민국은 국제사회와 연대하여 안보, 인도, 재건 분야를 망라한 포괄적 지원 프로그램을 이행해나갈 것”이라고 밝힘. ▷이어 윤 대통령은 우크라이나 지원과 관련해 “내년에는 인도적 지원을 포함한 무상 개발 협력, 국제금융기구를 통한 지원 등 3억 달러를 추가로 지원할 계획이고 20억 달러 이상의 중장기 지원 패키지를 마련하여 우크라이나의 재건을 적극 돕겠다”고 언급. ▷이 같은 소식 속 에스와이, 서연탑메탈, HD현대건설기계, HD현대인프라코어, 삼부토건, 혜인 등 우크라이나 재건/ 건설기계/ 모듈러주택 테마가 상승. 한편, 에스와이는 아랍에미리트(UAE) 로얄패밀리오피스(UAE 로얄오피스)의 공장 전격 방문 소식 등도 긍정적으로 작용. | |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 두산로보틱스 기업공개(IPO) 기대감 등에 상승 |
▷하반기 기업공개(IPO) 시장 최대어로 평가받고 있는 두산로보틱스가 공모절차를 밟고 있는 가운데, 시장에서는 두산로보틱스의 IPO가 흥행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두산로보틱스는 9월 11일부터 15일까지 기관투자자 대상 수요예측을 거쳐 9월 21일부터 22일 이틀간 일반투자자 대상 공모 청약을 실시할 예정. 희망 공모 가격은 2만1,000~2만6,000원, 예상 시가총액은 1조3,600억∼1조6,850억 원으로 추정. ▷한편, 메리츠증권은 두산로보틱스에 대해 중국을 제외한 세계 협동로봇 시장 점유율 5.4%이며 4위 수준이라고 언급. 연간 영업이익의 흑자전환 시기는 2025년으로 예상되고 흑자전환 후 2026년 예상 EPS는 427원으로 급성장을 보일 것으로 전망. ▷이 같은 소식에 두산로보틱스 최대주주인 두산을 비롯해 에스피시스템스, 티피씨글로벌, 스맥, 뉴로메카 등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테마가 상승. | |
조선/ 조선기자재 | 신조선가 상승세 지속 및 카타르 LNG 운반선 2차 발주 기대감 등에 상승 |
▷전일 언론에 따르면, 조선사의 수익성을 가늠하는 주요 지표인 신조선가(새로 건조하는 선박의 가격) 지수가 31주째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국내 조선업계가 본격적인 실적 상승기에 진입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음. 이는 지난 3년간 수주 러시로 각국 조선소의 건조 슬롯이 꽉 차고 가격 프리미엄까지 높아진 영향으로, 향후 카타르발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2차 등 굵직한 발주 프로젝트들도 작년대비 높은 가격으로 수주가 기대되고 있음. ▷영국의 조선·해운시황 분석기관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최근 신조선가 지수는 174.05를 기록했으며, 올해 1월27일 이후 31주째 상승세를 이어갔음. 아울러 카타르발 LNG선 2차 물량은 약 40척으로 업계에서는 선가당 2억3,500만~2억4,000만달러가 될 것으로 보고 있음. 이는 지난해 국내 조선 3사에 발주됐던 1차 물량이 1척당 평균 2억1,500만달러에 발주됐던 것과 비교해 3,000만달러 가량 높은 금액임. ▷이 같은 소식에 금일 HD현대중공업, 현대미포조선, 한화오션, 오리엔탈정공, 케이프, 성광벤드 등 조선/조선기자재 테마가 상승. | |
리모델링/인테리어 | B2C 건자재 업체 실적 개선 기대감 등에 일부 관련주 상승 |
▷한화투자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주요 B2C 건자재 업체들의 2분기 실적은 시장 기대치를 모두 상회했다며, LX하우시스는 실적 서프라이즈를, 한샘과 현대리바트는 영업이익 흑자전환을 기록했다고 밝힘. 이는 원재료 가격 안정과 주택 거래시장 회복 등이 공통적으로 작용됐다고 분석. ▷아울러 향후 1~2년 간 건설지표 악화 여파로 B2B 부문은 Q 감소가 예상되는 반면, B2C 부문은 주택 매매거래량 회복에 따라 실적 정상화가 기대된다고 밝힘. 이에 B2C 부문의 탑라인 회복과 함께 B2B/B2C 매출 믹스 변화에 따른 이익률 개선이 기대된다고 밝힘. ▷이 같은 분석 속 금일 벽산, 희림, 현대리바트, KCC 등 일부 리모델링/인테리어 테마가 상승. | |
2차전지 등 | 리튬 가격 급락세 및 글로벌 전기차 보조금 축소 영향 등에 하락 |
▷유진투자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리튬 현물 가격 급락세가 지속되고 있다고 밝힘. 탄산리튬 현물가격은 2.7만달러/톤으로 전년비 60% 이상 하락했으며, 선물 가격도 내년 1월물 기준 첫 거래일(7/21) 개장 가격이 238,900위안에서 지난 금요일 176,500위안으로 급락했다고 언급. 또한, 중국 내 공급과잉에 비해 수요 증가 폭이 낮은 상태여서, 리튬 가격은 당분간 약세 국면 반전이 어려울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힘. ▷아울러 독일의 보조금 삭감에 이어 미국 전기차 시장의 40% 차지하는 캘리포니아도 주정부 보조금을 대폭 축소키로 했다며, 전기차 구매 시 대당 최대 7,500달러의 추가 보조금을 받았으나, 예산 부족으로 수령 요건을 대폭 강화했다고 설명. 이에 리튬 가격 하락으로 인한 전기차 가격 인하에도 불구하고, 보조금 축소로 전기차 판매가 예상 대비 증가를 보이기 어려울 것으로 분석. ▷글로벌 대부분의 전기차/배터리 관련 업체들의 주가가 2021~2022년 피크 기록 후 조정중에 있다며, 한국 배터리 양극재 업체들의 주가 급등 현상은 상대적으로 높은 성장세를 감안해도 펀더멘탈로 설명하기 어렵다고 밝힘. ▷한편, 최근 발표된 2차전지 관련 지표들이 부진한 모습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올해 2차전지 수출은 3월까지만 전년동월대비 증가했고, 4월부터 8월까지는 5개월 연속 감소한 것으로 전해짐. 아울러 4월 4.4%였던 전년동월대비 수출 감소율은 6월 17.0%, 8월 21.3% 등으로 점점 확대되고 있으며, 전체 수출에서 2차전지가 차지하는 비중도 연초 1.7%에서 8월 1.4%로 줄어든 것으로 전해짐. ▷이에 금일 천보, 솔브레인, 나노신소재, 에코프로, 엔켐, 포스코퓨처엠 등 2차전지/ 리튬/ 전기차 등 테마가 하락. |
[인포스탁 테마분류를 통해서 상세한 기업개요 및 테마개요/관련종목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Copyright ⓒ True&Live 증시뉴스 점유율1위, 인포스탁(www.infostock.co.kr)
기사 관련 종목
02.05 15:30
에스와이 | 4,015 | 20 | +0.50% |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