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양 시장 침체에…올해 들어 이틀에 3개꼴 건설사 폐업
1∼9월 종합건설업체 폐업 신고 405건…작년 2배분양물량, 작년 절반 수준…건축착공면적도 2009년 이후 최저
권혜진
입력 : 2023.09.24 06:01:02
입력 : 2023.09.24 06:01:02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권혜진 기자 = 분양 시장 침체 속에 올해 문을 닫은 건설사 수가 2006년 이래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국토교통부의 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KISCON)에 따르면 1∼9월(22일 기준) 종합건설업체의 폐업 신고건수(변경·정정·철회 포함)는 모두 405건으로, 2006년의 435건 이래 최대치로 집계됐다.
이는 작년 동기의 211건에 비하면 거의 2배 가까이 많으며, 단순 계산하면 매일 건설사 1.5곳이 문을 닫는다는 의미다.
이처럼 건설사의 폐업 규모가 급증한 배경으로는 분양 감소가 주원인으로 지목된다.
부동산R114에 따르면 지난 1∼9월 분양 물량은 13만5천181가구로, 작년 같은 기간(25만2천190가구)의 절반 수준이다.
연말까지 예정된 분양 물량을 더해도 24만1천608가구에 그쳐 작년(37만1천52가구)보다 13만가구 가까이 줄어들 전망이다.
아파트 외 다른 건축 시장도 비슷한 상황이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건산연)이 국토교통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올해 1∼7월 건축 착공면적은 4천58만6천㎡로 작년 동기 대비 39.9% 줄었다.
글로벌 금융위기로 건설 시장 전반이 침체됐던 2009년 1∼7월 이후 최저치다.
공종별로 보면 주거용이 41% 감소한 가운데 비주거용도 39.5% 줄었다.
비주거용 중에서는 상업용이 44.5%, 공업용이 32.7% 각각 감소했다.
같은 기간 건설경기 선행지표인 건설 수주도 105조5천억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21.9% 줄어 침체 상황을 나타냈다.
공공이 3.1% 감소하는 데 그쳤으나, 민간은 27.4% 급감했다.
건설 수주는 건설경기의 선행지표 격이어서 결국 건설경기 침체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원자재 가격 인상과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시장 경색도 건설업계의 자금난을 가중하는 요인이다.
업계 일각에선 시공능력평가 상위권에 있는 건설사 중에도 PF로 인해 경영난에 처한 곳이 있다는 소문이 돌고 있다.
박철한 건산연 연구위원은 "공사 현장은 줄고, 신규 수주도 없고, 결국 업체들이 폐업할 수밖에 없다"면서 "요즘 건설업 경기가 워낙 안좋다는 말이 많은데 통계상으로도 그런 상황이 나타나는 것"이라고 말했다.
lucid@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다음달 물량 쏟아진다”…더본코리아 등 68개사 5.6억주 의무보유 해제
-
2
파미셀, 67.98억원 규모 공급계약(정밀화학 중간체) 체결
-
3
크라우드웍스, ‘리얼 월드 엔터프라이즈 AI’ 컨퍼런스 성료
-
4
한투파PE, 오아시스 지분 매각 추진
-
5
안랩(053800) 소폭 상승세 +3.40%, 5거래일만에 반등
-
6
삼성자산운용, ‘테슬라커버드콜채권혼합액티브’ 순자산 3000억 돌파
-
7
제이에스코퍼레이션, 25년1분기 연결 영업이익 283.32억원
-
8
라온테크, 25년1분기 별도 영업이익 2.09억원
-
9
세아메카닉스, 임원ㆍ주요주주 특정증권등 소유주식수 변동
-
10
동구바이오제약, 회사합병 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