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시요약(5) - 특징 종목(코스닥)
입력 : 2023.11.02 17:10:13
제목 : 증시요약(5) - 특징 종목(코스닥)
특징종목 | 이슈요약 |
유투바이오 (221800) 8,550원 (+94.32%) | 코스닥 이전 상장 첫날 급등 |
▷금일 코넥스시장에서 코스닥시장으로 이전 상장한 동사의 주가는 공모가 4,400원을 상회한 6,000원에 시초가를 형성한 뒤 급등 마감. 한편, 동사는 체외진단검사 서비스 및 의료IT 서비스 전문 업체로 주요 사업으로는 일반진단 및 분자진단검사서비스인 체외진단검사서비스 사업과 건강검진/의료기관용 EMR 연동SW로 대표 되는 의료IT솔루션서비스 사업으로 구분. 그 외 검체를 보유한 협력의료기관과의 협업을 통한 제약임상, 마이크로바이옴을 신성장동력사업으로 추진중임. | |
큐리언트 (115180) 4,380원 (+29.97%) | 면역항암제 '아드릭세티닙(Q702)' 면역항암학회서 발표 예정 소식에 상한가 |
▷동사는 언론을 통해 오는 3일(현지시간)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열리는 '2023 미국면역항암학회'(SITC)에서 면역항암제 아드릭세티닙(Q702)의 임상 1상 데이터를 발표하고, 머크(MSD)와 공동개발 중인 키트루다 병용 임상 스터디를 공개한다고 밝힘. 동사는 대장암, 췌장암 등 말기암 환자를 대상으로 미국 내 대형 병원들에서 이드릭세티닙 단독 투여 임상1상을 진행해 왔으며, 2023년에는 미국 머크(MSD)의 면역항암제인 키트루다와의 병용 투여 임상을 미국과 한국 대형 병원들에서 시작한 바 있음. ▷이와 관련, 동사의 관계자는 "새로운 기전의 경구용 면역항암제로 우수한 안전성과 단독 투여 효능을 뚜렷히 보여 준 예가 많지 않다"며 "아드릭세티닙이 보여준 임상 결과는 신개념 면역항암제로서의 가능성을 크게 보여준 것"이라고 밝힘. 이어 "현재 미국 메이요 클리닉, 엠디앤더슨 암센터 등 세계적 병원들과 공동 개발하고 있는 혈액암 치료제로서의 아드릭세티닙의 효능도 곧 결실을 맺을 것으로 본다"고 덧붙였음. | |
유진 테크놀로지 (240600) 21,200원 (+24.71%) | 신규상장 첫날 급등 |
▷금일 코스닥시장에 신규 상장한 동사의 주가는 공모가 17,000원을 상회한 24,550원에 시초가를 형성한 뒤 급등 마감. 한편, 동사는 2차전지 정밀금형 부품 및 소재 전문 업체로 2차전지 제조에 소요되는 정밀금형 및 공정 기계부품, 자동화장비, 리드탭의 제조 및 판매를 주력사업으로 영위. | |
에프에스티 (036810) 21,300원 (+19.66%) | 330억원 규모 신규시설 투자 결정에 급등 |
▷펠리클 생산 능력 확대 목적으로 330.00억원(자기자본대비 13.43%) 규모 신규시설(신규시설투자) 투자 결정 공시. | |
엘앤케이바이오 (156100) 8,180원 (+18.38%) | 美 시장 진출 가시화 전망 등에 급등 |
▷신한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국내 유일 척추 임플란트 Full 라인업 구축 업체로 척추 임플란트 시장 70%를 차지하는 미국 시장에 국내 최초로 진입했다고 밝힘. 시술 빈도가 가장 높은 패스락-TM 제품은 올해 3월 FDA 승인후 500건 이상의 수술 실적을 기록했으며, 최소칩습수술 관련 Expandable 제품군도 FDA 승인을 획득했다고 설명. 이어 고부가가치인 Expandable 제품군을 필두로 미국, 일본, 호주 등 다양한 국가에 판매계약을 추진 중으로 코로나 이후 이연된 수술 수요 회복, 소송 비용 감소, 고마진 제품군 확대로 매출 성장과 수익성 개선이 동시에 이뤄지고 있다고 밝힘. ▷아울러 세계 최초 곡선형 높이확장형 케이지(XTP)를 개발하여 미국 대형병원과 프로젝트를 진행 중으로 현재 미국의 10대 병원 중 절반과 이미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며, 이를 통해 월 50억 이상의 프로젝트 매출 발생, 글로벌 인지도 확보, 메이저 병원 및 의사와의 신뢰도 형성이 기대된다고 설명. 이에 2024년 매출액 612억원(+75% YoY), 영업이익 123억원(흑전 YoY)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 |
루닛 (328130) 156,200원 (+17.44%) | 비소세포폐암 치료효과 예측 연구 결과 발표 소식에 급등 |
▷동사는 언론을 통해 '2023 미국면역항암학회'(SITC)에서 인공지능(AI) 바이오마커 '루닛 스코프'를 활용한 비소세포폐암 등 여러 암종의 치료효과 예측 연구 결과 6건을 포스터로 발표한다고 밝힘. 연구팀은 루닛 스코프를 활용해 EGFR 변이 비소세포폐암 환자 76명의 TKI 치료 전후의 TIL 분포를 평가하고, 그 분포 정도에 따라 면역활성·면역결핍·면역제외 등 3가지 면역표현형으로 분류했으며, 그 결과 루닛 스코프가 분류한 면역활성 환자군이 면역결핍 환자군에 비해 면역항암요법에 대해 더 높은 전체 반응률(ORR, 40.0% 대 7.5%)과 무진행 생존기간(PFS, 4.1개월 대 1.4개월)을 나타냈다고 언급. 이는 EGFR 변이에 대한 표적항암제 치료 후 내성이 생긴 환자에게 면역항암제 후속 치료가 유의미한 것을 입증한 결과라고 설명. ▷이와 관련, 서범석 동사 대표는 "지난해 SITC에서 3편의 연구 초록 발표에 이어 올해는 보다 다양한 암종으로 연구를 확장한 결과, 학회로부터 6편의 연구를 채택받고 발표하게 됐다"며, "면역항암 분야를 대표하는 학회로 떠오른 SITC 학회 참석을 통해 AI 바이오마커 플랫폼 루닛 스코프의 가치를 지속 입증하는 동시에 전 세계 의료 관계자들과의 다양한 협업을 적극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밝힘. | |
파로스아이바이오 (388870) 11,250원 (+15.38%) | AI 신약 개발 플랫폼 '케미버스' 활용 신약 개발 성과 발표 소식 등에 급등 |
▷동사는 언론을 통해 'AI 파마 코리아 콘퍼런스 2023'에서 신약 개발 비용 시간을 대폭 줄인 인공지능 신약 개발 플랫폼 ‘케미버스(Chemiverse™)에 대해 설명한다고 밝힘. 케미버스는 약 69억 건의 단백질 3차원 구조와 화합물 빅데이터를 탑재했고, 챗지피티에 사용된 트랜스포머 생성 모델 등 최신 AI 알고리즘을 활용해 신약 개발 과정에 필수적인 9개 기능을 갖춘 모듈로 이뤄진 플랫폼이라고 언급. 동사는 케미버스를 활용해 신약 개발에 드는 비용과 시간을 각각 최대 80.2%, 63.6% 절감했다고 설명. ▷또한, 케미버스를 활용해 연구 개발한 일부 파이프라인은 임상 시험 단계에 진입했다고 밝힘. PHI-101은 케미버스의 적응증 확장 모듈을 활용해 재발성 난소암으로도 국내 임상 1상을 진행 중이며, PHI-501은 고형암 치료제로 내년 중 임상 1상 IND 제출을 목표로 전임상 연구 중이라고 밝힘. ▷이와 관련, 채종철 동사 CSO 겸 전무 이사는 “연구 성공률을 높이고 물질 가치를 극대화하는 AI 플랫폼은 신약 개발의 패러다임을 변화시키고 있다”며, “AI 신약 개발 기업으로서 첫 신약 출시 과업을 달성해 국내 바이오텍 기술력을 한 단계 끌어올리는 날이 조속히 다가오길 기대한다”고 밝힘. | |
큐리옥스바이오시스템즈 (445680) 33,000원 (+13.60%) | 27.20억원 규모 공급계약 체결에 급등 |
▷전일 장 마감 후 Curiox Biosystems China Co., Ltd.와 27.20억원(최근 매출액대비 37.60%) 규모 공급계약(HT 및 Buffer Exchanger 장비 판매 계약) 체결(계약기간:2023-11-01~2026-10-31) 공시. | |
아스플로 (159010) 9,440원 (+11.58%) | 3분기 실적 저점 통과 전망 등에 급등 |
▷키움증권은 동사에 대해 3분기를 기점으로 실적 저점을 통과할 것으로 전망. 반도체/디스플레이 업황 부진 여파로 삼성전자 등 글로벌 고객사 인프라 및 장비 투자가 지연되었을 뿐만 아니라 장비 고객사들이 기존 공급 업체들의 재고 소진에 집중하며, 당초 기대했던 동사의 시장 점유율 확대가 제한적이었기 때문이라고 설명. ▷이에 내년 매출액 1,267억 원(+40%YoY), 영업이익 205억 원(+85%YoY)으로 큰 폭의 성장이 전망된다고 밝힘. '삼성전자 P4 인프라 투자’ 및 ‘글로벌 장비 업체 내 점유율 확대 효과’가 본격화될 것으로 전망. 주가는 2024E P/E 6.0배로, 올해 고점 대비 약 50%의 하락은 과도하다고 판단. 3분기 실적 저점 통과가 예상되고, 4분기부터 내년까지의 실적 성장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동사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고 분석. | |
디와이피엔에프 (104460) 19,730원 (+10.04%) | 실적 턴어라운드 본격화 기대감 등에 급등 |
▷NH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실적 턴어라운드가 본격화될 것이라고 밝힘. 2023년 하반기 들어 지연된 프로젝트 발주가 재개되며 동사 수주잔고는 최대치를 경신 중이며, 실적 또한 저점을 지났다고 판단한다고 언급. 우크라 전쟁으로 지연된 발틱 프로젝트의 진행도 점차 재개될 것으로 보이며, 2024년에는 중동을 비롯한 석유화학산업 프로젝트 또한 활발히 진행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설명. ▷아울러 2차전지 및 폐배터리 관련 수주도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는 바 실적 턴어라운드와 더불어 밸류에이션 re-rating 또한 기대된다고 밝힘. 또한, 현재 개인 투자자 CFD(차액결제거래) 반대매매 영향으로 주가가 급락한 이후 분기 영업적자 기록하며 반등하지 못하고 있지만, 실적 측면에서 저점을 통과해 관심을 가지기 좋은 시점이라고 밝힘. | |
가온칩스 (399720) 34,700원 (+9.98%) | AI 훈풍에 美 팹리스 3나노 시장 공략 소식 등에 급등 |
▷일부 언론에 따르면, 동사가 최첨단고정인 3나노 시장 공략에 역량을 집중한다며, 4나노 개발을 건너뛰고 바로 3나노 공정을 개발한다고 전해짐. 내년부터 인공지능(AI) 반도체를 설계하는 글로벌 주요 팹리스 업체들이 3나노 제품을 개발해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으로 동사는 내년 1분기 신설 예정인 미국 법인을 중심으로 글로벌 거래선 확보에 주력할 계획이라고 알려짐.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주력으로 하는 개발은 AI가 들어간 차량용 반도체로 그 외에도 최근 개발 중인 10여가지 과제 중 AI 기능이 안 들어간 것이 없다”라며, “현재 4나노 개발비를 담당하는 고객사들이 한정돼 있어 지금 AI쪽에서는 4나노보다는 3나노를 보고 준비하는 단계”라고 밝힘. | |
지아이이노베이션/디티앤씨알오 | 옴니아메드, 폴리머나노파티클(PNP)을 이용한 mRNA전달 플랫폼 및 코로나19 백신 관련 최신 연구결과 발표 소식 속 관련주로 부각되며 급등 |
▷옴니아메드는 금일 언론을 통해 독일 베를린에서 열린 제11회 국제 mRNA 콘퍼런스(11th International mRNA Health Conference)에서 폴리머나노파티클(PNP)을 이용한 mRNA전달 플랫폼 및 코로나19 백신 관련 최신 연구결과를 발표했다고 밝힘. ▷이와 관련, 이번 컨퍼런스에서 옴니아메드가 발표한 내용은 올해 4월 산업통상부 주관 이종기술융합형 사업에 선정돼 지원받는 연구과제에 대한 것으로 옴니아메드 가 주관기업, 디티앤씨알오와 지아이셀이 공동연구개발 기업으로 참여 중인 것으로 알려짐. 특히 옴니아메드와 지아이셀은 해당 연구 과제를 통해 PNP를 이용한 mRNA 전달 플랫폼 기술을 지아이셀의 동종유래 NK 세포치료제에 적용하고 항암 활성, 체내 지속성 등이 강화된 차세대 동종유래 NK 세포치료제 개발을 추진하는 것으로 전해짐. ▷이 같은 소식에 공동연구개발 기업인 디티앤씨알오와 지아이셀의 투자사인 지아이이노베이션이 시장에서 부각. [종목]: 지아이이노베이션, 디티앤씨알오 | |
에스앤에스텍 (101490) 41,700원 (+9.02%) | 3분기 호실적에 급등 |
▷23년3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385.43억원(전년동기대비 +22.06%), 영업이익 57.20억원(전년동기대비 +16.47%). | |
파두 (440110) 32,950원 (+8.03%) | 네이버·아마존·美 최대 우주항공기업 등 글로벌 톱티어 기업 고객사 확보 부각 등에 강세 |
▷일부 언론에 따르면, 동사가 국내와 글로벌 시장의 메이저 기업들을 잇따라 고객사로 확보하고 있는 가운데, 최근 네이버와 비밀유지계약(NDA)을 맺고 동영상 처리 전용 반도체를 탑재한 스트리밍 서버를 개발 중이라고 전해짐. 올해 말에서 내년 1분기 사이 프로토타입 제품을 양산하고 내년 하반기와 2025년 사이에 국내 데이터센터를 우선 타깃팅해 본격 공급에 나선다는 계획이라고 알려짐. ▷또한, 아마존과도 납품 계약을 맺은 것으로 파악된다며, 이 역시 상장 당시 투자설명서에서 어느 정도 밝힌 내용으로 동사는 미래 매출 추정 근거로 고객사 중 한 곳인 ‘HDC사-A’를 꼽았는데 이 업체가 아마존인 것으로 추정된다고 전해짐. 아울러 미국 최대규모 우주항공 기업에도 이미 납품을 진행 중인 것으로 파악된다며, 위성에 들어가는 SSD컨트롤러를 올해 하반기부터 이미 납품하고 있다고 알려짐. | |
브이원텍 (251630) 8,670원 (+6.38%) | 자회사 시스콘, AMR 사업 고성장 전망 등에 강세 |
▷이베스트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내년부터는 2차전지 검사장비 본업 성장과 자회사 AMR/AGV 사업부 매출 고성장이 기대되는 상황이라고 밝힘. 자회사 시스콘의 AMR 고성장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는 가운데, AMR/AGV 신규수주는 자동차향 주요 프로젝트 수주로 2022년 115억원 → 2023E 305억원 → 2024F 700억원으로 급증할 것으로 전망. 시스콘은 2024년 예상 매출 600억원(1H23 수주잔고 219억원), 영업이익 흑자전환이 전망되고 있다고 밝힘. ▷2H23~1H24는 AMR 사업부의 신규수주가 급증하고, 2024년은 수주잔고가 매출로 전환되는 시기로 동사 매출성장률은 2024년이 2023년 대비 더 가팔라 질 수 있을 것으로 전망. AMR 사업의 주요 프로젝트를 수주했다고 가정한 2024년 연결 매출은 1,183억원(+47% yoy), 영업이익 105억원(+400% yoy) 수준으로 이는 2024F 기준 동사 주가수준은 13배라며, AMR 자회사의 성장성과 영업가치를 감안하면 저평가 구간이라고 판단한다고 밝힘. | |
바이오니아 (064550) 32,200원 (+5.92%) | 비에날씬 매출 확대 기대감 등에 상승 |
▷키움증권은 동사에 대해 3분기 실적도 외형성장을 지속한 가운데, 4분기는 비에날씬의 면세점 오픈에 따른 성장 효과로 소폭 개선된 실적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최근 국내 건기식 시장의 특징은 양극화, 전반적인 부진이 나타나지만 인기 제품의 성장성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체지방 감소 기능성을 인증 받은 유일한 건기식인 비에날씬으로 관련된 매출은 올해 2,300억원 이상의 매출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 ▷ CosmeRNA의 경우 국내 판매를 위한 방향성을 찾고 있으며, 일본 및 다른 지역들의 B2B 판매루트 확장을 계획하고 있어 관련 성과가 수반된다면 별도 기 준 실적개선이 나타날 수 있다고 밝힘. ▷한편, 지난 10월31일 23년3분기 실적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737.41억원(전년동기대비 +35.07%), 영업이익 40.29억원(전년동기대비 -3.35%), 순이익 22.41억원(전년동기대비 -77.61%). | |
아이티엠반도체 (084850) 20,750원 (+5.22%) | 5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신탁계약 체결 결정에 상승 |
▷50.0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신탁계약 체결 결정(기간:2023-11-02~2024-05-02, 대신증권 주식회사(DAISHIN Securities Co., Ltd.)) 공시. | |
딥노이드 (315640) 24,100원 (+5.01%) | 산업 AI 부문 성장 본격화 기대감 등에 상승 |
▷키움증권은 동사에 대해 적용 산업 확대로 산업 AI 부문 성장이 본격화될 것으로 분석. 이와 관련, 다양한 산업에서 AI 적용을 통한 사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려는 수요가 증가 중이며, 특히 관제 및 보안 산업과 스마트 팩토리 구축 등을 위한 제조 산업을 중심으로 AI 기술 적용이 활발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고 언급. ▷아울러 동사의 매출액은 23년 70억원(YoY +120%), 24년 200억원(YoY +186%)을, 영업이익은 23년 적자 규모 축소에 이어 24년 70억원으로 흑자전환을 전망. 이와 관련, 최근 75억원 규모의 2차전지 비전 시스템 공급 계약 공시를 통해 24년 성장 가시성이 높아졌다고 언급. | |
에이프로 (262260) 12,990원 (+4.59%) | 611.67억원(최근 매출액대비 77.04%) 규모 2차전지 활성화장비 공급계약 체결 등에 상승 |
▷NextStar Energy Inc.와 611.67억원(최근 매출액대비 77.04%) 규모 공급계약(2차전지 활성화장비) 체결(계약기간:2023-11-02~2024-07-01) 공시. ▷한편, 전일 L-H Battery Company, Inc.와 434.55억원(최근 매출액대비 53.74%) 규모 공급계약(2차전지 활성화장비) 체결(계약기간:2023-11-01~2026-01-31) 공시. 언론에 따르면, L-H 배터리컴퍼니는 LG에너지솔루션과 혼다의 전기차 배터리 합작법인이라고 전해짐. | |
스코넥 (276040) 6,280원 (+4.49%) | '2023 디지털퓨쳐쇼'에서 VR·XR 대표작 3종 시연 소식 속 상승 |
▷동사는 언론을 통해 ‘2023 디지털퓨쳐쇼’에서 ‘미래 공간 재편성’ 테마에 참여해 VR 1인칭슈팅게임(FPS) ‘모탈블리츠(Mortal Blitz) ’와 XR 방 탈출 게임 ‘이스케이프룸 온라인(Escape Room Online)’, VR 아케이드 게임 ‘비트세이버(BEAT SABER)’를 시연한다고 밝힘. 모탈블리츠는 2015년 동사가 세계 최초로 상용화한 VR FPS 게임이며, 이스케이프룸 온라인은 최대 4명까지 멀티 플레이가 가능한 방탈출 게임이고, 비트세이버는 리듬 게임 장르 특성을 VR로 구현한 아케이드 게임이라고 언급. ▷특히, 모탈블리츠는 2017년 소니 플레이스테이션 VR 스토어에 론칭 이후 북미, 유럽, 일본 시장 다운로드 1위를 기록한 바 있으며, 비트세이버는 화려한 시각효과와 높은 게임성으로 중국, 홍콩, 마카오, 인도네시아 등에 수출을 진행했다고 밝힘. ▷이와 관련, 황대실 동사 대표는 “VR 및 XR 기기의 대중화는 우수한 콘텐츠의 개발과 생태계 조성에 달렸다”며, “국내 개발사 및 글로벌 빅테크 기업과의 기술 협력을 통해 VR·XR 콘텐츠 개발과 주도권 확보에 속도를 높일 것”이라고 밝힘. | |
CBI (013720) 1,890원 (+4.48%) | 투자사 구보, 3.6조 가치 텅스텐 광업권 및 채굴권 권리 확보 소식에 상승 |
▷동사는 언론을 통해 지분 투자 기업 구보가 확인된 매장량이 200만톤에 이르는 국내 2위 텅스텐 광산으로 알려진 영월군의 상동광산과 울진 쌍전광산의 광업권과 채굴권 일체를 권리를 독일 기업 크로니메트(CRONIMET)와 싱가포르계 크리트민(Critmin)으로부터 되찾아왔다고 밝힘. 텅스텐은 모든 무기에 필수적인 소재로, 우크라이나-러시아, 이스라엘-하마스 간의 전쟁과 무기확보 경쟁 등으로 인해 각종 무기류 가격이 폭등하고 있는 가운데 동사는 텅스텐 광산 기업의 최대주주로서 방산 소재 관련 수혜 기업으로서의 가치를 높이게 됐다고 설명. ▷호주계 텅스텐 전문기업인 ITS의 2019년 보고서의 보고서의 추가 조사된 매장량을 포함하면 쌍전광산의 확인된 매장량은 200만톤 규모에 달하며, ITS 보고서는 또한 동서 연장부와 하부에 대한 굴진·시추탐사를 진행할 경우, 최대 매장량은 2590만톤에 이를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힘. 이는 국내 최대 텅스텐 광산인 상동광산에 필적할만한 규모라고 설명. ▷이와 관련, 구보 관계자는 “텅스텐 정광 1톤당 국제 시세는 약 3400만원으로 쌍전광산의 최대 텅스텐 매장량 2590만톤의 가치는 평균품위 0.41%를 적용해 단순 계산할 경우 3.6조원의 가치에 이른다”며 “여기에 희토류와 함께 공급위험도가 가장 높은 핵심전략자원으로서의 전략적 가치를 더한다면 그 가치는 수배에 이를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힘. | |
오브젠 (417860) 21,250원 (+4.17%) | 삼정KPMG와 초거대 AI 기반 비즈니스 혁신 MOU 체결에 상승 |
▷삼정KPMG는 언론을 통해 인공지능(AI) 마케팅 솔루션 기업인 동사와 초거대 인공지능 기반 비즈니스 혁신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힘. 이번 MOU를 통해 양사는 네이버 클라우드의 '하이퍼클로바X', 오픈AI의 '챗 GPT'와 같은 초거대 AI를 활용해 기업 고객을 위한 최적의 비즈니스 개발 및 사업화를 위해 협력해 나갈 방침임. ▷이와 관련, 삼정KPMG는 고객사의 AI 기반 비즈니스 사례를 발굴해 디지털 전환에 동사 솔루션을 활용할 수 있도록 협력하고, 동사는 기존의 마테크(MarTech) 및 AI 역량을 통해 생성형 AI를 활용한 자연어 기반 마케팅 지원 서비스를 위해 노력할 예정. | |
동구바이오제약 (006620) 4,985원 (+3.64%) | 2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신탁계약 체결 결정에 상승 |
▷20.0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신탁계약 체결 결정(기간:2023-11-02~2024-05-02, 하나증권 주식회사(Hana Securities Co., Ltd.)) 공시. | |
올릭스 (226950) 13,750원 (+3.38%) | 바이오 유럽서 글로벌 파트너링 추진 계획 소식 등에 상승 |
▷동사는 언론을 통해 오는 6일부터 8일까지 독일 뮌헨에서 열리는 '바이오 유럽(Bio-Europe) 2023'에 참가한다고 밝힘. 이번 행사에 참석해 최신 신약개발 기술 동향을 파악하고, 글로벌 제약·바이오 기업들과 자사의 치료제 기술이전 및 플랫폼 기술을 이용한 파트너링 가능성에 대한 비즈니스 논의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언급.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행사를 앞두고 많은 문의를 받았던 OLX301A(건성 및 습성 황반변성 치료제)의 아시아 지역 권리와 OLX702A(NASH 및 비만 치료제)의 라이선스 아웃과 더불어 자사의 RNA 간섭 치료제 전달 플랫폼 기술을 이용한 치료제 공동 연구개발에 대한 파트너링에도 주력할 예정"이라고 밝힘. | |
웰킵스하이텍 (043590) 851원 (-14.90%) | 25% 비율 감자 결정에 급락 |
▷전일 장 마감 후 25% 비율의 감자 결정(기준일:2023-12-26, 상장예정:2024-01-19) 공시. |
Copyright ⓒ True&Live 증시뉴스 점유율1위, 인포스탁(www.infostock.co.kr)
기사 관련 종목
04.18 15:30
유투바이오 | 3,185 | 35 | -1.09% |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