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시요약(4) - 특징 종목(코스피)
입력 : 2024.01.11 17:08:39
제목 : 증시요약(4) - 특징 종목(코스피)
특징종목 | 이슈요약 |
태영건설 (009410) 3,765원 (+18.77%) | 워크아웃 개시 여부 1차 채권단 협의회 앞두고 급등 |
▷이날 태영건설 1차 채권단 협의회가 진행될 예정. 태영건설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은 금일 제1차 채권자협의회를 열고 투표(서면결의)를 통해 워크아웃 개시 여부를 결정하며, 워크아웃은 신용공여액 기준으로 채권단 75%의 동의를 얻어야 개시됨. 산업은행과 은행권의 채권 보유 비중은 33% 수준인데, 여기에 국내 금융지주 계열사와 국민연금, 주택도시보증공사(HUG) 등 금융당국의 영향력이 직간접적으로 미치는 채권단 비중을 고려하면 무난히 가결 기준인 75%를 넘길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 | |
롯데정보통신 (286940) 39,150원 (+6.24%) | 메타버스 플 랫폼 ‘칼리버스’ 공개 모멘텀 지속 및 자회사 EVSIS, LS일렉트릭과 전기차 충전 인프라 사업을 위한 MOU 체결 소식 등에 강세 |
▷언론에 따르면, 지난 10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정보기술(IT)·가전 전시회 ‘CES 2024’에서 동사의 전기차 충전 플랫폼 자회사인 EVSIS가 LS일렉트릭과 전기차 충전 인프라 사업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한 것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EVSIS는 메가와트 충전기의 지속적인 품질 향상을 위해 전력기기 및 시스템 전문기업 LS일렉트릭과 협력해 반도체 변압기 기반 차세대 충전기를 고도화할 계획으로 알려짐. ▷아울러 양사는 이번 MOU를 통해 효율적인 전력공급이 가능한 차세대 전력망인 마이크로그리드 기반 충전사업에도 진출할 예정으로 전해짐. ▷한편, 전일 동사는 자회사인 칼리버스와 함께 CES 2024에서 메타버스 플랫폼 ‘칼리버스’를 전격 공개했다는 소식에 급등세를 기록한 바 있음. | |
DL (000210) 51,000원 (+4.94%) | 올해 증익 전망 등에 상승 |
▷대신증권은 24년 태양광 모듈 수요 증가(465GW, YoY +17.5%)로 동사의 POE 판매량 동반 증가가 기대된다고 전망. 특히, 동사가 제시한 목표치 10만톤 달성 시 24년도 POE를 통한 OP 1,291억원을 추정하며, 이에 PB 증설분(2만톤) 감안 시 24년도 DL케미칼 예상 OP 1,712억원(YoY +76.6%)으로 전망. 이는 범용 PE 시황이 23년도와 유사한 경우를 가정한 것으로 전반적 화학 제품 수급 회복 시 추가적인 업사이드도 기대된다고 분석. ▷아울러 Kraton 24년 예상 OP 342억원(흑전)으로 전망하며, 동사의 폴리머 사업부는 원재료(BD) 가격 변동에 따른 래깅효과가 실적 변동 주요 요인이라고 설명. 또한, 북미 지역 4Q23 BD 판가(726.9달러/톤, QoQ +36.1%)가 상승하며 4Q 이후 부정적 래깅 효과는 소멸할 것으로 전망.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65,000원[유지] | |
아세아제지 (002310) 42,250원 (+3.43%) | 20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신탁계약 체결 결정에 상승 |
▷전일 장 마감 후 200.0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신탁계약 체결 결정(기간:2024-01-10~2025-01-09, NH투자증권(NH INVESTMENT & SECURITIES CO., LTD.)) 공시. | |
카카오 (035720) 60,800원 (+2.70%) | 우호적 대외환경 속 사업 방향 가시화 전망 등에 소폭 상승 |
▷흥국증권은 동사에 대해 자체 AI모델과 오픈소스 모델의 병용으로 호출비용 1원 이하의 비용 효율적인 마이크로버티컬AI 서비스가 가능할 것으로 분석. Open AI의 GPT 스토어에 동사의 콘텐츠봇의 스토어 입점이나 카카오톡의 API 활용 및 플랫폼 활용 등이 가능할 것이라며, 이를 통해 글로벌 AI 생태계에서 경쟁력있는 AI 서비 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 ▷추가적으로 혈당관리 헬스케어 서비스 ‘파스타’가 2월 초 국내 오픈할 예정이라며, 연내 일본, 미국 시장 진출을 계획하고 있다고 밝힘. 이를 통해 New Initiatives인 카카오브레인, 카카오헬스케어의 사업 방향이 가시화된 상황으로 판단된다고 분석. ▷이에 금리 인하 가능성이라는 대외환경과 경영 쇄신을 통해 매출 증가 및 비용통제로 영업 레버리지가 날 수 있는 대내 조건의 변화를 감안해 목표주가를 상향 조정한다고 밝힘.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56,000원 -> 74,000원[상향] | |
하이브 (352820) 256,000원 (+2.20%) | 올해 이익 증가 지속 전망 등에 소폭 상승 |
▷한국투자증권은 지난 하반기부터 엔터 업종 전반의 성장 둔화 우려가 부각되고 있는 상황이지만, 동사의 이익 증가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 이는 저연차 라인업 위주의 포트폴리오로 팬덤 확대 여력이 높고, 위버스 수익화, 게임사업 퍼블리싱 본격화로 이익률 개선이 전망되며, 빌리프랩 연결 효과가 온기 반영되기 때문으로 분석. 여기에 상반기 신인 3팀 데뷔에 따라 아티스트 포트폴리오는 더 넓어지며, 해외 레이블 인수에 따른 음원/매니지먼트 매출액 증가도 기대할 수 있다고 설명. 이에 2024F 영업이익 28% 증가를 전망하며, 엔터 4사 중 올해 영업이익 증가율이 가장 높을 것으로 추정. ▷한편, 매출액 6,075억원(+14% YoY, +13% QoQ), 영업이익 863억원(+70% YoY, +19% QoQ)으로 영업이익이 컨센서스 886억원에 부합할 것으로 전망. 특히, 정국, 세븐틴, TXT, 엔하이픈 등 주요 보이그룹의 앨범 발매 영향으로 앨범 판매량이 분기 최대치인 1,370만장을 기록, 2,808억원(+90.7% YoY)의 최대 음반원 매출을 달성할 것으로 예상.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365,000원[유지] | |
삼성 그룹주 | 홍라희·이부진·이서현 삼성 일가, 삼성전자 블록딜 소식에 하락 |
▷업계에 따르면, 홍라희 전 리움 삼성미술관 관장과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 이서현 삼성복지재단 이사장 등 세 모녀가 상속세 마련을 위한 총 2조1,689억원 규모 삼성전자 지분 매각에 성공했음. 시간외대량매매(블록딜)로 할인율은 10일 종가인 7만3,600원 대비 1.2% 할인된 가격인 주당 7만2,716원에 형성됐다고 전해짐. 주관사 측은 2%대 할인율을 목표로 블록딜에 돌입했지만, 매각 규모의 7~8배에 달하는 15조원 이상의 기관투자가 수요가 몰리면서 낮은 할인율로 전량 매각에 성공했다고 알려짐. ▷이 같은 소식 속 삼성생명, 삼성물산, 삼성에스디에스, 삼성전자 등 일부 삼성 그룹주가 하락. [종목]: 삼성생명, 삼성물산, 삼성에스디에스, 삼성전자 | |
PI첨단소재 (178920) 27,800원 (-5.76%) | 4분기 실적 부진 전망 등에 하락 |
▷한국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4분기 매출액은 563억원(-8% QoQ +6% YoY), 영업이익은 25억원(-40% QoQ, -79% YoY)으로 영업이익이 컨센서스(42억원)를 소폭 하회할 것으로 전망. 이는 재고조정이 끝났고 가동률은 지난 상반기 대비 개선된 것으로 추정되나 4분기 매출액과 가동률 회복세가 둔화된 영향 등으로 분석.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44,000원 -> 36,000원[하향] |
Copyright ⓒ True&Live 증시뉴스 점유율1위, 인포스탁(www.infostock.co.kr)
기사 관련 종목
07.04 15:30
태영건설 | 2,835 | 20 | -0.70% |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정치 혼란 해소된 덕?”…원·달러 환율 1300원대 돌아온 이유
-
2
“7월은 주식 투자하기 좋은 달”...올해도 서머랠리 올까
-
3
[샷!] 외국인이 한국 오면 꼭 하는 이것
-
4
"종이 회의자료 없앤다"…경북도, 사무직 직원 태블릿PC 지급
-
5
[전국레이더] "바가지 없고, 즐길거리 풍성"…피서객 유치 총력전
-
6
올들어 서울에 빌라 입주 1천800가구뿐…4년전 6분의 1 토막
-
7
대형마트들 3천원대 치킨전쟁…배달치킨보다 싸 완판행렬
-
8
정부, '사상최대' 폴란드 K2전차 수출 금융지원 나선다
-
9
“대출 6억 규제 효과 강력하네”...주담대 신청액 절반 이상 ‘뚝’
-
10
카카오, 사내 'AI 마일리지'로 개발 혁신 시동…하반기 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