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레이드 ENT, AI 앱 ‘핑크버스’ GPT 스토어 출시
입력 : 2024.01.12 08:47:53
AI+엔터테인먼트 결합…현실감 넘치는 몰입 경험
142조원 규모 생성형 AI 시장 선점 출사표
애플 비전프로에 최적화된 콘텐츠 제작
142조원 규모 생성형 AI 시장 선점 출사표
애플 비전프로에 최적화된 콘텐츠 제작

블레이드 ENT(블레이드엔터테인먼트)는 엔터테인먼트에 AI(인공지능) 기술을 접목한 프로젝트인 ‘핑크버스(Pinkverse)’를 GPT 스토어에 출시했다고 12일 밝혔다.
핑크버스는 블레이드 ENT에서 제작 중인 버츄얼 걸그룹이다. 하이테크 기술과 전문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이 결합한 신개념 융합 사업의 일환이다. 핑크버스의 공식 데뷔 및 음반 출시는 올해 5월로 예정돼 있다. 회사는 핑크버스를 통해 최근 MZ세대의 메인컬쳐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버츄얼 아이돌 시장을 선점할 계획이다.
오픈AI(OpenAI)에서 출시한 GPT 스토어는 오픈AI의 GPT 모델을 활용해 다양한 플러그인을 제공하는 플랫폼이다. GPT 스토어를 통해 체험할 수 있는 ‘핑크버스’는 고도화된 AI 기술을 통해 사용자들에게 몰입감을 제공한다. 핑크버스 세계관에서 양방향 소통을 통해 멤버들의 개성, 스토리, 음악적 특징 등을 경험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애플에서 2월 출시할 예정인 ‘비전프로(Vision Pro)’에 최적화된 미래형 버츄얼 아이돌 모델을 제시할 계획이다. 애플의 비전프로 론칭이 가시화되면서 이를 활용한 OSMU(원소스 멀티유즈) 전략으로 다양한 엔터 분야로 카테고리 확장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특히 애플 비전프로를 활용한 캐릭터IP(지식재산권) 산업은 큰 성장 가능성을 갖고 있다. 블레이드 ENT의 버츄얼 캐릭터 IP는 애니메이션, 만화, 영화, 게임 등 다양한 매체에서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애플 비전프로와 결합해 더욱 현실적이고 몰입감 있는 경험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블레이드 ENT 관계자는 “AI 기술을 통해 사용자와 버츄얼 캐릭터 사이에 깊은 유대감이 형성되고,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들에게 새로운 버츄얼 문화를 제공할 예정”이라며 “팬들에게 새로운 형태의 상호작용을 통해 기존과는 다른 엔터테인먼트 경험을 제공하면서 버츄얼 아이돌 문화가 더욱 확장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시장조사업체 그랜드뷰리서치는 글로벌 생성형 AI 시장 규모가 2022년 약 13조원에서 2030년 약 142조원으로 연평균 35%의 높은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상규 기자
기사 관련 종목
07.11 15:30
빌리언스 | 318 | 1 | -0.31% |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뜨거운 코스피, 조정 받을 때 됐다?...공매도, 전면개재 이후 최고치
-
2
'6만전자' 불장 속 바닥찍고 7만원벽 뚫을까…"V자반등 가능성"
-
3
머스크의 xAI, 그록의 '히틀러 소환'에 "진심사과…시스템 수정"
-
4
GS건설, 잠실우성 1·2·3차·신당10구역 동시 수주
-
5
침수 막자니 식수원 줄고…세계유산 울산 암각화에 남은 과제
-
6
[전국레이더] 빵·호텔·티켓·스포츠…MZ 취향 겨냥한 고향기부 답례품
-
7
고물가에 집밥수요 쑥…상반기 대형마트서 한우 매출 1위
-
8
'SKT 위약금 면제' 마지막 주말…이통3사 "뺏고 지켜라"
-
9
코스피 공매도 잔고 9조원으로 '쑥'…공매도 재개 이후 최고치
-
10
'소비쿠폰' 경기지역화폐로 받아도 신용카드와 사용처 동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