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시요약(5) - 특징 종목(코스닥)
입력 : 2024.01.15 17:05:33
제목 : 증시요약(5) - 특징 종목(코스닥)
특징종목 | 이슈요약 |
에코앤드림 (101360) 34,250원 (+15.71%) | 전구체 증설에 따른 실적 퀀텀 점프 전망 등에 급등 |
▷한국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오랜 기다림 끝에 지난 12일 전구체 생산 Capa 증설을 위한 1,800억원 신규 시설 투자를 공시했다며, 이는 전구체 사업의 본격화 신호탄을 쏘아 올린 것이라고 언급. 이와 관련, 동사가 23년6월 새만금에 4.5만평 부지를 확보했고, 이에 따라 당초 전구체 생산 Capa는 연 2.5만톤으로 증설될 것으로 예상됐지만, 금번 시설 투자 규모가 1,800억원으로 확인되며 생산 Capa는 연 3.5만톤으로 기존 예상 대비 1만톤 확대되었다고 밝힘. ▷아울러 이번 CAPEX가 고객사와의 5년 간의 장기 공급 계약을 바탕으로 진행됐다고 파악되는 만큼, 올해는 기존 연 5천톤 Capa로 초기 물량을 대응할 것으로 전망. 시운전을 마친 설비인 만큼 올해 1월부터 바로 전구체 매출이 반영될 것으로 전망. ▷2024년은 전구체 생산이 개시됨에 따라 매출액 1,490억원(+174.2% YoY), 영업이익 102억원(흑전)을 전망하며, 2025년 하반기에는 연 3.5만톤 Capa 시대가 개막될 것으로 전망. 이는 풀캐파 기준으로 7천억원이 가능한 수준이라고 밝힘. | |
크라우드웍스 (355390) 42,850원 (+12.17%) | GPT스토어 개화 최대 수혜 분석 등에 급등 |
▷하나증권은 동사에 대해 2017년에 설립된 거대언어모델(LLM) 데이터 업체로, 오픈AI의 GPT스토어 출시에 따른 최대 수혜가 전망된다고 밝힘. 이와 관련, 과거 동사는 LLM 학습용 데이터 라벨링, LLM 설계 컨설팅 데이터 구조화 및 구축이 매출의 대다수였으나, 올해부터 LLM 모델 파인튜닝, GPT 서비스 연동, GPTs 개발 및 유지 보수 등 고부가가치 사업 진출을 통해 전 밸류체인에 걸친 사업을 영위하는 GPT 업체로 거듭날 것이라고 밝힘. ▷특히, GPT스토어의 경우, AI 앱이 고도화될수록 고품질의 데이터셋과 모델 파인튜닝이 필수적이라며, 동사는 네이버 하이퍼클로바를 비롯해 국내외 주요 AI 업체와의 LLM 데이터셋 구축 및 파인튜닝 프로젝트 레퍼런스와 노하우를 보유한 국내 m/s 1위 업체로 시장을 선점하고 있다고 설명. ▷2024년 실적은 매출액 353억원(+54.8%, YoY), 영업이익 71억원(흑전, YoY)으로 전망한다며, 기존 사업인 데이터 라벨링 수요 증대 및 신규 사업인 LLM 플랫폼 매출 가시화에 기인한다고 분석. | |
아이티센 (124500) 6,740원 (+7.32%) | 부산디지털자산거래소, 토큰증권(ST) 기반 거래소 추진 기대감에 강세 |
▷일부 언론에 따르면, 지난달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한 부산디지털자산거래소가 토큰증권(ST) 기반 거래소로 추진될 것으로 전해짐. 부산시와 우선협상대상자인 부산BDX컨소시엄(BDX)은 토큰증권 거래 등 주요 의제에 대한 합의를 이뤄, 이르면 이달 중 최종 협약 뒤 거래소 건립의 실무 작업이 시작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양측은 부산시 김광회 경제부시장과 BDX 대표 운영사인 박정재 동사 대표를 공동 단장으로 하는 협상단을 꾸렸으며, 부산시와 BDX는 3차례 부산디지털자산거래소 설립 실무 협상을 진행했다고 알려짐. 운영 협약이 완료되면 BDX가 운영자로 확정되며, 부산디지털거래소 실무추진단이 꾸려진다고 전해짐. | |
삼륭물산 (014970) 3,875원 (+7.19%) | 최대주주 변경 예정 속 강세 |
▷최대주주 변경 공시를 통해 기존 최대주주 조락교의 별세로 인하여 최대주주가 변경될 예정이며, 향후 조락교의 상속지분에 대한 상속절차 완료 후 재공시 예정이라고 밝힘. | |
한글과컴퓨터 (030520) 25,300원 (+6.53%) | 클라우드 SaaS, AI 시장 성장 수혜 기업 분석 등에 강세 |
▷KB증권은 동사에 대해 전자문서 기반 업체에서 꾸준한 연구개발, 활발한 인수합병 등을 통해 클라우드 SaaS, AI 기업으로 거듭나고 있는 가운데, 글로벌 시장 트렌드가 클라우드로 변화함에 따라 국내 소프트웨어 클라우드 전환을 주도해 나가는 대표 사업자로서 관련 수혜가 전망된다고 밝힘. ▷또한, 고객사의 다양한 LLM과 호환 가능한 한컴 AI 허브 ‘한컴독스 AI’의 활약이 기대된다며, 한컴AI는 문서의 데이터화를 통해 고객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강점을 보유하고 있다고 밝힘. 이어 한컴 문서의 AI 적용과 이를 확장한 개념인 지능형 자동화가 한컴얼라이언스 내에서 최적화된다면, 단기적으로는 국내 사용자들에게 한컴은 최선의 선택이 될 것이며 중장기적으로는 해외 시장으로의 고객 저변 확대까지 고려해볼 수 있다고 밝힘. 아울러 올해 상반기 중 한컴 어시스턴트의 베타 버전이 출시될 예정이라고 밝힘. | |
오픈엣지테크놀로지 (394280) 23,550원 (+5.37%) | 올해 실적 턴어라운드 전망 등에 상승 |
▷현대차증권은 동사에 대해 2024년 매출액은 348억원(+103.8% yoy), 영업이익률은 12.8%를 기록하며 턴어라운드가 확실할 것이라고 언급. 이와 관련, 최근 IT 기기 전반적으로 전력 효율 문제가 대두되면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외 영역에서 LPDDR 탑재율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 동사의 실적 개선에 기여할 것이라고 설명. ▷아울러 CXL 메모리 컨트롤러 IP가 본격 양산, 로열티 매출이 발생하는 2025년을 기점으로 동사의 실적 점프업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언급. 이와 관련, 현재 양산 중인 HBM 외에 LPDDR6, CXL, PIM 등 새로운 디바이스가 출시되면서 동사의 IP 역시 지속 채택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동사의 경쟁력은 더욱 강화될 것이라고 설명.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30,000원 -> 42,000원[상향] | |
위세아이텍 (065370) 9,890원 (+4.88%) | AI 산업 선도 국내 100대 기업 선정 소식 속 상승 |
▷동사는 언론을 통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사단법인 지능정보산업협회가 주관하는 '2024 Emerging AI +X TOP 100'에 3년 연속 선정됐다고 밝힘. 'Emerging AI +X TOP 100'이란 AI 기술을 기반으로 다양한 산업(X)과의 융합을 통해 미래 혁신을 주도할 것으로 기대되는 국내 100대 기업이며, 동사는 크로스-인더스트리 부분 내 AI 개발 환경(AI Development Environment) 분야에서 선도 기업으로 꼽혔음. ▷이와 관련 동사 김다산 대표는 “올해 데이터품질, 빅데이터 분석 등 자사 주력 솔루션에 생산형 AI 기능을 더욱 보강하고, AI 개발 플랫폼인 와이즈프로핏을 SaaS 방식으로 제공하고자 글로벌 앱마켓 등에 등재하는 등 더욱 적극적으로 AI사업 영역을 확대할 예정이다”라고 밝힘. | |
포바이포 (389140) 13,410원 (+4.77%) | 화질 개선 AI 솔루션 픽셀(PIXELL), CES서 호평 소식 등에 상승 |
▷동사는 언론을 통해 자체 개발한 딥러닝 AI 기반 화질 개선 솔루션 '픽셀(PIXELL)'이 CES 현장에서 이목을 모았다고 밝힘. 동사가 이번 CES에서 선보인 화질 개선 AI 솔루션 픽셀은 수만 건의 초고화질 영상을 학습한 AI가 채도·선예도·명암·노이즈 등을 미세하게 조정하는 방식으로, 화질을 고도화해 인간이 눈으로 보는 실제와 유사한 수준으로 영상 화질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이 가장 큰 특징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임정현 부사장은 "상대적으로 작은 규모의 부스임에도 미국, 유럽, 아시아 등 전세계 곳곳에서 방문한 관련 기업들과 200건 이상의 미팅을 진행할 만큼 현지 반응이 뜨거워 놀랐다"며 "영상 콘텐츠의 활용도와 수요가 어느때보다 높아진 만큼 기존 시장 뿐 아니라 예상치 못한 영역에서도 실질적인 시장 기회를 발굴할 수 있었던 기회였다"고 밝힘. | |
티앤알바이오팹 (246710) 10,660원 (+4.72%) | 美 대학과 뇌 오가노이드 개발 상호 협력 소식에 상승 |
▷동사는 언론을 통해 한국공학대학교 공동연구팀, UCSD(캘리포니아대학교 샌디에이고) 의과대학 엘리슨 무오트리 교수팀과 뇌 오가노이드(장기유사체) 개발을 위한 공동연구 MOU(양해각서)를 체결했다고 밝힘. 무오트리 교수는 뇌 오가노이드 연구를 고도화하기 위해 동사와 한국공학대학교가 보유한 역분화 줄기세포 기술, 생체재료 기술, 3D 바이오프린팅 기술을 융합해 3차원 뇌 오가노이드를 개발하는 데 상호 협력할 예정이라고 언급.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당사는 역분화 줄기세포 기술과 이러한 세포를 3차원으로 조직화하는 데 필수적인 세포외기질 소재 기술, 세포를 3차원으로 쌓고 형상화하는 데 핵심인 3D 바이오프린팅 기술을 모두 보유하고 있다”면서 “피부, 간, 혈관 조직 개발에 이어 이번 공동연구 협약으로 뇌 분야까지 기술력을 확장하고, 동물실험을 대체하는 오가노이드 상업화에도 주력하겠다”고 밝힘. | |
아프리카TV (067160) 104,200원 (+4.62%) | 골드만삭스, 트위치 사업 철수에 따른 수혜 분석 등에 상승 |
▷언론에 따르면, 외국계 증권사 골드만삭스가 동사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내놓은 것으로 알려짐. 트위치 사업 철수로 인해 스트리머와 사용자 유입 효과가 기대된다며, 매수 의견과 목표주가 13만원을 제시. ▷스트리머 이적 등을 통해 발생하게 될 신규 사용자 유입이 가입자당 평균 매출액 변화로 이어져 단기 수익에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이며, 트위치 스트리머 유입과 이에 따른 사용자의 연령층 변화가 의미 있는 수익 창출 가능성이 있는 가상 스트리머까지 확장될 것으로 전망했음. 또한, 월 순방문자 추세, 올해 2분기 론칭 예정인 글로벌 플랫폼 숲의 성과, 광고 시장의 전환 등이 주가 상승의 핵심 촉매가 될 것으로 관측했음. | |
바이오솔루션 (086820) 19,490원 (+4.22%) | 차세대 무릎 연골재생 세포치료제 '카티라이프' 美 임상 2상 환자 투약 완료 소식에 상승 |
▷동사는 언론을 통해 자가늑연골 세포치료제 '카티라이프'의 미국 임상 2상 환자에 대한 투약을 완료했다고 밝힘. 카티라이프에 대한 미국 식품의약국(FDA) 2상은 2019년 11월 임상시험계획 승인을 받은 뒤, 미국 캘리포니아, 텍사스 등 4곳의 임상시험기관에서 20명의 무릎연골결손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됐다며, 미국에서 12일(현지시간) 마지막 환자의 투약이 완료됐고 앞으로 48주간의 관찰기간 후 임상이 완료된다고 언급.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FDA 2상 마지막 환자 투여로 본격적으로 해외진출 준비가 완료됐고, 미국 정부가 골관절염 치료제 분야에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어 시장 상황이 긍정적"이라며 "카티라이프의 우수한 연골 재생 효과와 무릎 기능 및 증상 개선 효과는 국내 임상결과를 통해 증명된 만큼 FDA 2상도 무난하게 진행될 것"이라고 밝힘. 이어 향후 라이선스 아웃 또는 현지 빅파마와의 협업을 통한 FDA 임상 3상을 진행할 계획이라 고 설명. | |
뷰웍스 (100120) 27,700원 (+3.94%) | 치과용 동영상 디텍터 부문 사업 호조 전망 등에 상승 |
▷교보증권은 동사에 대해 지난해 4분기 매출액은 612억원(YoY -6%, QoQ +19%), 영업이익은 93억원(YoY -8%, QoQ +60%)으로 컨센서스에 부합하는 실적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부문별 매출전망을 보면 치과용 동영상 디텍터 부문에서 글로벌 신규 고객사 확장에 따라 YoY 20% 성장한 116억원으로 전망되며, 이는 분기 최고 매출을 경신할 것으로 전망되고 이런 추세로 3~4년간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 ▷올해 매출액은 YoY 8% 증가한 2,358억원, 영업이익은 YoY 72% 증가한 365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매출 성장의 주요 원인은 치과용 동영상 디텍터의 높은 성장, 산업용 디텍터의 성장, 의료용 정시영상 디텍터의 회복때문으로 분석. 또한, 올해 신제품인 바이오 이미징 슬라이드 스케너, 長형 디텍터, 플렉서블 엑스레이 디텍터 등을 선보이는 해로 신제품 효과에 의한 추가 매출 성장도 기대할 수 있다고 밝힘.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43,000원[유지] | |
서울바이오시스 (092190) 4,210원 (+3.44%) | 지난해 4분기 호실적에 상승 |
▷지난 12일 장 마감 후 지난해 4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466.23억원(전년동기대비 +20.9%). ▷동사는 언론을 통해 매출액 증가 원인으로는 와이캅 기술 기반 LED 제품의 선방 때문이라고 언급. 특히, 와이캅 픽셀(WICOP Pixel)은 CES 2023에서 혁신상을 받아 이미기술력을 인정 받은 마이크로 LED용 기술제품으로 꾸준한 연구 개발 끝에 기존 제품 대비 30% 이상의 성능 향상을 실현했다고 밝힘. ▷최은호 상무는 "마이크로 LED 수요시장의 성장률이 급속도로 빨라지고 있다"며, "우리 회사는 빠른 시장 선점을 위해 와이캅 기반 LED에 대한 모든 IP(특허)와 자체생산라인을 완비한 상태"라고 언급. 동사는 앞으로도 지속적인 연구 개발을 통해 글로벌 마이크로 LED시장을 선도할 계획이라고 밝힘. | |
실리콘투 (257720) 8,730원 (+2.71%) | 올해에도 호실적 전망 등에 소폭 상승 |
▷한국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지난해 4분기 매출은 1,165억원(+149.9% YoY), 영업이익은 130억원(+189.6% YoY, OPM 11.1%)을 기록하여 양호한 실적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특히, 4분기 미국의 연말 소비가 시장의 우려 대비 매우 양호했던 가운데, 미국 매출은 전년동기대비 210.4% 증가한 423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또한, 올해에는 조선미녀와 코스알엑스 뿐 아니라 새로운 히어로 브랜드들이 동사의 매출 증가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 지난해 4분기부터 현재까지 미국 아마존 세럼 판매 부분에서 믹순(Mixsoon)과 스킨1004가 높은 순위를 기록 중이며, 대표 적인 K-인디 화장품 브랜드인 코스알엑스는 이미 영국 아마존에서 큰 인기를 얻고 있다고 밝힘.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14,000원[유지] | |
뷰노 (338220) 38,450원 (+2.12%) | 뷰노메드흉부 CT AI, 日 보험급여 대상 인정 소식 등에 소폭 상승 |
▷동사는 언론을 통해 AI 기반 흉부 CT 영상 판독 보조 솔루션 '뷰노메드 흉부 CT AI'가 일본에서 보험 급여 대상으로 인정받았다고 밝힘. 동사의 제품이 해외에서 건강보험을 적용받은 건 이번이 처음으로 일본은 일정 조건을 갖춘 의료기관에 '영상진단관리 가산3'이라는 자격을 부여하는데, 이 자격이 있는 의료기관은 AI 소프트웨어 활용 시 보험수가를 청구할 수 있다고 설명. ▷이와 관련, 이예하 대표는 "이번 일본 보험급여 적용은 뷰노의 해외 매출 비중을 높이는 중요한 모멘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라며 "지난해 일본 의료 시장에서 제품 의 경쟁력을 확인한 만큼 현지 파트너와 협력을 강화해 적극적인 영업과 마케팅을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힘. | |
신원종합개발 (017000) 3,220원 (-3.45%) | 케이엠지테크원 파산신청 속 하락 |
▷지난 12일 장 마감 후 케이엠지테크원이 파산신청 공시. 이와 관련, 동사는 본 신청인 케이엠지테크원과 1월5일 파산신청을 한 대림로얄테크원이 동사의 동일 현장의 동일 하도급계약을 체결한 회사로 관계회사임을 인지하여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동사의 법률 대리인을 통해 이미 채무 부존재 소송 등을 제기한 상황이며 향후 모든 민·형사상 조치를 통해 적극 대응할 예정이라고 밝힘. | |
FSN (214270) 2,525원 (-3.81%) | 총 100억원 규모 CB 발행 결정에 하락 |
▷지난 12일 장 마감 후 운영자금 확보 목적으로 유멘1호 투자조합, 티사이언티픽 등 대상 총 100억원 규모의 사모 전환사채권 발행 결정(전환가액:2,943원, 전환청구일:2025-01-19 ~ 2026-12-19) 공시. |
Copyright ⓒ True&Live 증시뉴스 점유율1위, 인포스탁(www.infostock.co.kr)
기사 관련 종목
05.23 15:30
에코앤드림 | 20,600 | 450 | -2.14% |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김문수, '최대 치적' 삼성 평택캠퍼스 방문…수도권 집중 공략
-
2
브리트니 스피어스, 기내 흡연으로 경고받자 승무원 비난
-
3
美中 관세 휴전 후 물동량 '깜짝 반등'…지속성엔 의문
-
4
40조 배터리 ESS 시장 '활짝'…K-배터리 中 공세속 안방 지킬까
-
5
서울시민 주거여건·금융부담 분석해 주택정책 체감도 높인다
-
6
서울 강남구 아파트, 토허제 해제 때 대비 평균 62% 상승
-
7
"서울 생활의 멋과 여유…'서울에디션 25' 뽑아주세요"
-
8
서울시여성가족재단, 구글 클라우드와 손잡고 여성 IT인재 육성
-
9
“손실 무서워 계좌 볼 엄두도 안났는데”…서학개미 속 썩인 이 주식, 한 달만에 부활
-
10
풍력·태양광 상반기 입찰 공고…풍력평가에 '안보지표' 첫 반영